|
인명 | 자 | 호 | 생몰년 | 본관 | 합격등급 |
김유신(金庾信) | 흥원(興元) |
| ? ~ ? | 김해(金海) | 갑과(甲科) 1[壯元]위 |
이영부(李英符) | 응서(應瑞) |
| 1487 ~ 1523 | 광주(廣州) | 갑과(甲科) 2[亞元]위 |
양팽손(梁彭孫)★ | 대춘(大椿) | 학포(學圃) | 1488 ~ 1545 | 제주(濟州) | 갑과(甲科) 3[探花]위 |
구수복(具壽福) | 백응(伯凝) | 병암(屛菴) | 1491 ~ 1545 | 능성(綾城) | 을과(乙科) 1위 |
권운(權雲) | 산룡(山龍) |
| ? ~ ? | 안동(安東) | 을과(乙科) 2위 |
윤구(尹衢) | 형중(亨仲) | 귤정(橘亭) | 1495 ~ ? | 해남(海南) | 을과(乙科) 3위 |
허보(許輔) | 찬지(贊之) |
| ? ~ ? | 하양(河陽) | 을과(乙科) 4위 |
김학증(金學曾) | 사확(士確) |
| ? ~ ? | 영양(英陽) | 을과(乙科) 5위 |
최순성(崔順成) | 성지(成之) |
| ? ~ ? | 전주(全州) | 을과(乙科) 6위 |
안수륜(安秀崙) | 대림(大臨) |
| 1483 ~ 1517 | 죽산(竹山) | 을과(乙科) 7위 |
윤종(尹淙) | 지옹(智翁) |
| ? ~ ? | 현풍(玄風) | 병과(丙科) 1위 |
윤개(尹漑) ★ | 여옥(汝沃) | 송파(松坡) | 1494 ~ 1566 | 파평(坡平) | 병과(丙科) 2위 |
조구령(趙九齡) | 자수(子壽) |
| ? ~ ? | 순창(淳昌) | 병과(丙科) 3위 |
박세평(朴世平) | 국형(國衡) |
| ? ~ ? | 순천(順天) | 병과(丙科) 4위 |
이전손(李傳孫) | 조윤(祚胤) | 신은(莘隱) | 1462 ~ 1529 | 영해(寧海) | 병과(丙科) 5위 |
이각(李殼) | 개보(介甫) |
| ? ~ ? | 한산(韓山) | 병과(丙科) 6위 |
이승수(李承須) | 자건(子健) |
| ? ~ ? | 양산(陽山) | 병과(丙科) 7위 |
박형린(朴亨鱗) | 지구(之衢) |
| ? ~ ? | 함양(咸陽) | 병과(丙科) 8위 |
윤형(尹衡) | 신수(莘叟) |
| ? ~ ? | 남원(南原) | 병과(丙科) 9위 |
윤시호(尹時豪) | 언필(彦弼) |
| ? ~ 1520 | 남원(南原) | 병과(丙科) 10위 |
안세호(安世豪) | 차준(次雋) |
| ? ~ ? | 죽산(竹山) | 병과(丙科) 11위 |
기형(奇逈) | 자고(子高) |
| ? ~ ? | 행주(幸州) | 병과(丙科) 12위 |
유용근(柳庸謹) | 규복(圭復) |
| 1485 ~ 1528 | 진주(晉州) | 병과(丙科) 13위 |
임원(林遠) | 치경(致卿) |
| ? ~ ? | 평택(平澤) | 병과(丙科) 14위 |
전구주(田九疇) | 석우(錫禹) |
| ? ~ ? | 담양(潭陽) | 병과(丙科) 15위 |
정서(鄭犀) ☆ | 비연(斐然) |
| ? ~ ? | 광주(光州) | 병과(丙科) 16위 |
한익지(韓翼之) | 국좌(國佐) |
| ? ~ ? | 청주(淸州) | 병과(丙科) 17위 |
권예(權輗) | 경신(景信) | 마애(磨厓) | 1495 ~ 1549 | 안동(安東) | 병과(丙科) 18위 |
박형간(朴亨幹) | 간지(幹之) |
| ? ~ ? | 밀양(密陽) | 병과(丙科) 19위 |
박양(朴讓) | 득지(得之) |
| ? ~ ? | 반남(潘南) | 병과(丙科) 20위 |
이현령(李玄齡) | 춘경(椿卿) |
| ? ~ ? | 이산(尼山) | 병과(丙科) 21위 |
이응(李膺) | 응지(膺之) |
| ? ~ 1520 | 원주(原州) | 병과(丙科) 22위 |
이문창(李文昌) | 언실(彦實) |
| ? ~ ? | 경주(慶州) | 병과(丙科) 23위 |
[참고인물]
★ 양팽손 [梁彭孫]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 능성(綾城) 출신. 직장 사위(思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사복시정 담(湛)이고, 아버지는 이하(以河)이며, 어머니는 해주 최씨(海州崔氏)로 증 조위사직 최혼(崔渾)의 딸이다.
1510년(중종 5)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으며, 또 현량과(賢良科)에 발탁되었다. 이후 정언(正言)·전랑·수찬(修撰)·교리(校理) 등의 관직을 역임했으며, 호당(湖堂:독서당을 고쳐 부른 이름)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하기도 하였다.
1519년 10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김정 등을 위해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 이 일로 인해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로 돌아와 중조산(中條山) 아래 쌍봉리(雙鳳里)에 작은 집을 지어 학포당(學圃堂)이라 이름하고 독서로 소일하였다.
이 무렵 친교를 맺은 인물들은 기준(奇遵)·박세희(朴世熹)·최산두(崔山斗) 등의 기묘명현들이었다. 특히, 능주로 유배되어온 조광조와는 매일 경론을 탐구하며 지냈다.
1539년에 다시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1544년 김안로(金安老)의 사사 후 용담현령(龍潭縣令)에 잠시 부임했다가 곧 사임하고 다음해에 58세로 죽었다.
1630년(인조 8 김장생(金長生) 등의 청으로 능주 죽수서원(竹樹書院)에 배향되었으며, 1818년(순조 18)순천의 용강서원(龍岡書院)에 추향되었다. 작품으로는 <산수도> 1점이 전하며, 저서로는 ≪학포유집≫ 2책이 전한다. 시호는 혜강(惠康)이다.
★ 윤개 [尹漑]
본관 파평(坡平). 자 여옥(汝沃). 호 회재(晦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1516년(중종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좌랑으로 있을 때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에 관련되었으나 중국어를 잘하였으므로 외직에 좌천되는 것으로 그쳤다. 1545년(인종 1) 예조판서가 되어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의 제거에 가담하고 위사(衛社)공신에 책록되고 중추부지사로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졌다. 1551년(명종 6) 우의정, 1558년 좌의정이 되고 1563년 영평부원군에 진봉되어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그러나 선조 초에 을사 원흉으로 규탄받아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되었다.
▣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별시(別試)
인명 | 자 | 호 | 생몰년 | 본관 | 합격등급 |
심희전(沈希佺) | 운경(雲卿) |
| ? ~ ? | 삼척(三陟) | 1등(一等) 1[壯元]위 |
윤안인(尹安仁) | 달지(達之) |
| ? ~ ? | 파평(坡平) | 2등(二等) 1[亞元]위 |
정만종(鄭萬鍾)☆ | 인보(仁甫) |
| ? ~ ? | 광주(光州) | 2등(二等) 2[探花郞]위 |
심언경(沈彦慶) | 사길(士吉) | 東海浪翁 | ? ~ ? | 삼척(三陟) | 3등(三等) 1위 |
박원눌(朴元訥) | 질부(質夫) |
| ? ~ ? | 무안(務安) | 3등(三等) 2위 |
정세소(鄭世紹) | 효원(孝元) |
| ? ~ ? | 초계(草溪) | 3등(三等) 3위 |
이희민(李希閔) | 효옹(孝翁) | 추계(秋溪) | 1490 ~ ? | 합천(陜川) | 3등(三等) 4위 |
윤극인(尹克仁) | 입지(立之) |
| ? ~ ? | 파평(坡平) | 3등(三等) 5위 |
유희령(柳希齡) | 원로(元老) | 몽암(夢菴) | 1480 ~ 1552 | 진주(晉州) | 3등(三等) 6위 |
조세철(趙世哲) | 국언(國彦) |
| 1477 ~ ? | 풍양(豊壤) | 3등(三等) 7위 |
최극성(崔克成) | 자인(子仁) |
| ? ~ ? | 전주(全州) | 3등(三等) 8위 |
▣ 중종(中宗) 23년(1528) 무자(戊子) 별시(別試)
인명 | 자 | 호 | 생몰년 | 본관 | 합격등급 |
김만균(金萬鈞) | 중임(仲任) |
| ? ~ 1549 | 경주(慶州) | 갑과(甲科) 1[壯元]위 |
정환(丁煥) | 용회(用晦) | 회산(檜山) | 1497 ~ 1540 | 창원(昌原) | 을과(乙科) 1[亞元]위 |
하억수(河億水) | 언관(彦寬) |
| ? ~ ? | 진양(晉陽) | 병과(丙科) 1[探花郞]위 |
임수(林洙) | 학원(學源) |
| ? ~ ? | 순창(淳昌) | 병과(丙科) 2위 |
정욱(鄭郁) ☆ | 종주(從周) |
| ? ~ 1545 | 광주(光州) | 병과(丙科) 3위 |
유사(柳泗) | 중연(仲沿) | 설강(雪江) | ? ~ ? | 서산(瑞山) | 병과(丙科) 4위 |
서위(徐偉) | 대이(大而) |
| ? ~ ? | 이천(利川) | 병과(丙科) 5위 |
조광원(曺光遠) | 회보(晦甫) |
| 1492 ~ 1573 | 창녕(昌寧) | 병과(丙科) 6위 |
공상린(孔祥麟) | 응성(應聖) |
| ? ~ ? | 곡부(曲阜) | 병과(丙科) 7위 |
나세찬(羅世纘) | 비승(丕承) | 송재(松齋) | 1498 ~ 1551 | 금성(錦城) | 병과(丙科) 8위 |
이문건(李文楗) | 자발(子發) | 휴수(休叟) | 1494 ~ 1567 | 성주(星州) | 병과(丙科) 9위 |
김강(金綱) | 강지(綱之) |
| ? ~ ? | 광산(光山) | 병과(丙科) 10위 |
권응정(權應挺) | 사우(士遇) | 묵암(默菴) | 1498 ~ 1564 | 안동(安東) | 병과(丙科) 11위 |
김승숭(金承嵩) | 경인(景仁) |
| ? ~ ? | 성주(星州) | 병과(丙科) 12위 |
최환(崔渙) | 문원(文源) |
| ? ~ 1555 | 흥해(興海) | 병과(丙科) 13위 |
최흥윤(崔興潤) | 윤지(潤之) |
| ? ~ ? | 하양(河陽) | 병과(丙科) 14위 |
손인호(孫仁好) | 안수(安叟) |
| ? ~ ? | 청주(淸州) | 병과(丙科) 15위 |
양인(梁訒) | 노흠(魯欽) |
| ? ~ ? | 나주(羅州) | 병과(丙科) 16위 |
윤선(尹璇) | 정규(廷奎) |
| ? ~ ? | 파평(坡平) | 병과(丙科) 17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