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성 운동,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장력(웨이트)은 변하지 않으면서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수축운동이다. 대부분의 웨이트 운동은 여기에 속한다. 무게를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운동하는 동안 무게는 일정하지만 근육의 길이는 관절을 통해 늘어나거나 줄어 들면서 근육에 자극을 주는 운동이다.
▶ 팔굽혀펴기, 턱걸이, 윗몸일으키기, 앉고 일어서기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근육의 길이나 관절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장력이 변하는 수축운동으로 근육을 자극시키는 운동방법이다. 정적 수축운동(Static contraction training)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양손과 양 발끝을 바닥에 대고 몸을 바닥과 수평으로 유지하며 복부에 힘을 주고 10초간 버티기를 한다. 이런 동작을 10번 되풀이 하면 복부를 비롯한 관련 근육들이 발달하게 된다. 주로 근력 컨디션 향상과 재활운동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운동을 할 때에 관절의 부담을 최소화 시키기 때문이다. 근육의 크기가 커지기 보다는 단단해 지게 하여 부상을 방지하고 균형있는 체형을 유지하게 한다.
▶ 매달리기, 양손을 잡고 당기거나 밀기, 다리 굽혀 서있기, 문틀 밀기, 벽밀기

우리 행동의 많은 부분이 등장성, 등척성운동에 포함된다. 문을 잡아당기는 것은 팔 근육의 등장성 수축을 요구한다. 그러나 문을 누군가 계속 열고 있어야 한다면 등척성운동이 된다. 여러분의 책을 집는 것은 등장성운동이고 그것을 여러분의 팔에 잡고 있는 것은 등척성운동이다. 두 종류의 수축은 가장 간단한 활동에서도 필요로 된다.
근력증가 운동의 효과는 먼저 근육에 있는 근육세포 내 근원섬유의 수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운동을 시작한지 6주에서 8주에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또한, 다른 조직에도 영향을 주는데, 근육 내 결체조직이 증가하고, 골의 강도와 골밀도가 증가하며, 관절면을 이루는 연골이 두꺼워지고 인대와 힘줄도 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