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터키계 북 키프로스, 평화 로드맵 5단계 제시하며 통상력 강화의지 | ||||||||||||||||||||||||||||||||||
---|---|---|---|---|---|---|---|---|---|---|---|---|---|---|---|---|---|---|---|---|---|---|---|---|---|---|---|---|---|---|---|---|---|---|---|
작성일 | 2014-07-21 | 국가 | 터키 | 작성자 | 김재우() | ||||||||||||||||||||||||||||||
터키계 북 키프로스, 평화 로드맵 5단계 제시 - 그리스계 남 키프로스와 평화회담 물꼬를 틀 전망 - -양측 간의 평화협정에 가속도가 붙을 것 - ☐ 터키계 북키프로스의 대변인, 약 50년간 분쟁에 해결책을 제시할 평화로드맵 5단계 제시 ○ 5단계 로드맵을 통한 평화협정은 양측의 평화적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며, 제3국 혹은 UN의 중재 하에 의한 협상이 될 예정 - 키프로스의 양측 대표는 지난 2월 수도 니코시아에서 양국 간의 평화적 분쟁 해결을 위한 회담을 가짐. - 지난 4월 키프로스가 남·북으로 분단된 1974년 이래 처음으로 북 키프로스의 그리스정교 예배에 남 키프로스 그리스 정교 신도가 참여, 터키계 무프티(이슬람 율법가) 대표도 참석하는 등 지속적으로 화합의 물꼬를 트는 상황 - 2월 회담 후 북 키프로스 측은 올해 안에 양측의 협력이 진전될 5개의 방안을 제시, 논의 중 북 키프로스 측에서 제시한 5단계 로드맵
☐ 터키계 북 키프로스는 1974년 이래로 약 40년간 분리·독립된 상태이며 양측은 끊임없는 마찰을 빚음. ○ 키프로스는 비단 터키계·그리스계 양측 간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터키·그리스 간의 외교 마찰이 빈번한 지역임. 키프로스 분쟁의 역사 ○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부통령의 키프로스 방문으로 인해 양측 간의 더욱 활발한 논의가 진행될 것 - 조 바이든 부통령의 방문은 1962년 린던 존슨(Lyndon Johnson) 미국 대통령 방문 이후로 40년 만의 미국 최고 인사급 방문임. - 조 바이든 부통령은 남 키프로스와 북 키프로스를 차례로 방문하며 양국 간 분쟁의 적극적인 중재를 회피할 것임을 시사 - 미국은 1974년 이래로 터키군에 의해 점령된 바로샤(Varosha)섬의 재건을 위해 약 100만 달러를 지원할 예정이며 타당성 조사를 위해 대표단을 파견할 예정 키프로스 국가정보
○ 키프로스는 지중해 동부에 있는 지중해에서 3번째로 큰 섬나라로, 북쪽에는 터키, 동쪽에 시리아, 레바논 및 이스라엘, 서쪽에는 그리스, 남쪽에는 이집트가 있음. - 지리적으로는 서남아시아로 분류되나 EU에 가입된 상태로 유럽으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임. 키프로스 내 북 터키계·남 그리스계 영토 - 국토의 60%를 남 키프로스, 35%는 북 키프로스가 점령 중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우리나라는 1960년 키프로스 공화국만을 공식적으로 승인했으며, 1995년 12월 28일에 수교를 맺음. - 한국가스공사는 키프로스 가스개발에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 ENI와 함께 진행 중(3개 광구) ☐ 시사점 ○ 키프로스 분쟁이 평화적으로 진전되어 가지만 여전히 터키와 그리스 간의 최대 화두이며, 터키는 유로존 간접 진입을 위해 통일을 적극 지원할 전망 - 현재 키프로스에는 3만 명의 터키군이 주둔, 남·북 키프로스의 국경에는 850여 명의 유엔 평화유지군이 주둔 중 - 키프로스는 지리적으로 터키에 더욱 인접(터키 본토로부터 약 60㎞, 그리스 본토로부터 약 700㎞ 떨어짐)해 터키가 군사적 우위에 있으나 외교적으로는 그리스계 남 키프로스만이 UN과 유럽연합에 가입해 우위에 있는 실정 - 지난 5월 유엔 인권법원은 터키에 1974년 침공으로 인한 피해보상액 1270억 원을 키프로스에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으나 터키는 법적 강제성이 없다며 무시함. - 터키는 앞으로 유로존 간접 진입을 노리며 키프로스 통일을 적극 지원할 전망 - 최근 이탈리아는 터키의 EU 가입 중요성을 언급하며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대한 사과 사건 및 키프로스 평화무드 등 터키가 많은 변화를 시도한다고 밝힘. 자료원: Zaman News(현지 영자신문), 터키 로이터 통신, Trade map, IMF 등을 토대로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