梨 (배나무 : 이)
이 〈이〉자는 나무 목(木)변에서 7획을 찾으면 눈에 띈다.
▶이 글자가 지니고 있는 뜻은? 「배는 물이 많아 변비 예방이 이로운(利) 과실로서 나무(木)에 달리는 열매라는 뜻이다.」
▶배나무는 능금나무과 배나무 속에 속하는 나무의 총칭으로 재래종으로는 돌배나무. 남해배나무. 들배나무. 분배나무. 콩배나무 등을 들 수 있다. 개량종으로는 일본종. 서양종. 중국종이 있다.
▶배나무의 크기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보통 2∼3m로 잎은 달갈형이다.
꽃은 4∼5월쯤 피고 꽃아 지면 열매가 맺기 시작하는데, 이 열매가 늦가을쯤이면 탐스러운 배가 된다.
배는 둥근 모양으로 담갈색 또는 갈색 빛을 띤다. 다른 과일에 비해 즙(汁)이 많고 단맛이 좋아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고실네· 황실네· 청실네 등 여러 가지 배품종들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생산지에 따라서도 금화배· 함흥배· 봉산배 등이 널리 알려졌다.
서양배는 유럽 중부와 동남부 및 아시아 서부에 분포되어 있는 야생종을 기본종으로 하여 유럽 여러 나라에서 개량된 품종군들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배와 중국배는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에 맞지 않아 장려되지 못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들은 거의가 일본배이다.
▶열매의 과육에는 돌세포가 들어 있어 먹을 때 그 알갱이가 씹힌다. 열매에는 당분이 10~14% 함유되어 있고 칼륨과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배는 당분과 수분 함량이 많아 그 시원하고 달콤한 과즙 때문에 주로 생과로 널리 이용되며 통조림·넥타·잼 등도 만들어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날것으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배는 생과를 생식하는 것 외에도 김치나 동치미를 담글 때도 배를 넣고, 쇠고기 육회를 칠 때도 배를 썰어 넣으며, 냉면 등 요리에도 잘 이용하고 있다. 특히 쇠고기를 먹고 배를 한두 조각 먹으면 소화가 잘된다고 한다.
좀 과장된 이야기지만, 옛날에 어느 농부가 송아지를 배나무 밑에 매어 두고 잠깐 어디 볼일을 보고 왔더니 매어둔 송아지는 간 곳이 없고 고삐만 남아 있더라는 우스개 이야기가 있다.
즉 배나무가 송아지를 소화시켜버렸다는 것이다.
▶민간요법으로는, 아기들이 기침을 할 때 배 속을 파고 그 속에 콩나물과 꿀을 한 숫갈 넣은 다음 하룻밤 따뜻한 아랫목에 묻어 두면 그 속에 물이 고이는데, 그 물을 먹이면 가래가 삭고 기침이 멈춰진다고 한다.
지금 우리가 시장에서 사 먹는 배는 대부분 일본에서 품종 개량으로 교배된 것들인데, 신고, 장심랑, 만삼기, 금춘추, 이십세기 등 이다.
▶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옛날에 용왕의 아들 이무기는 항상 절 곁에 살면서 은근히 절의 일들을 많이 도우면서 살았다.
그러던 어느 해, 날이 무척 가물어서 모든 곡식이 말라들어 가고, 모든 채소가 타들어 갔습니다,
사람들의 근심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래서 절의 스님은 이무기에게 부탁하여 비를 내리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온 경내가 단비로 촉촉이 젖어, 말라들어 가던 곡식과 채소들은 다시 생기를 되찾았다.
그런데 하늘의 옥황상제는 이무기가 자기의 분수에 넘치는 일을 했다고 그를 죽이려 했다. 그래서 이무기는 그 다급함을 절의 스님에게 호소하자
스님은 이를 알고 이무기를 부처님을 모신 단 밑에 숨게 하였다. 그런데 조금 있으니 하늘의 사자가 절 뜰에 내려와서 이무기를 내놓으라고 하였다. 스님은 뜰 앞에 심어둔 늙은 배나무를 가르쳐 주었다.
하늘의 사자는 그 배나무에게 벼락을 치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벼락 맞은 배나무는 금방 시들기 시작하였으나 용이 한 번 어루만져 주니 곧 생기가 감돌고 탈 없이 잘 자랐다고 한다.
그 후부터 배나무는 용의 보호를 받는 요긴한 나무로 알려져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더욱 아낌을 받았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세계에서 가장 질이 좋은 배의 생산국이 바로 우리나라인데, 일본과 비교해서 가을철 강우량이 일본의 반 정도밖에 되지 않고, 따라서 가장 중요한 수확기 일조량은 일본의 두 배 정도나 된다고 한다.
그리고 강풍이나 태풍의 위협도 일본보다 훨씬 적어서 지리적으로 우리나라가 배 재배의 최적지라고 한다. 그래서 배의 생산량도 일본의 두 배 정도나 된다.
2016년 가을, 우리나라 진주햇배, 음성삼성배, 상주꿀배, 보은황토배가 대만 수출되고 있다. 세계 제일인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배를 맛있게 먹으며 오늘도 모두 좋은 날이 되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