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원론
=================================================
1. 건축물의 화재안전대책중 공간적 대응이 아닌것은?
가. 피난계단 나. 특별피난계단
다. 방화구획 라. 제연설비
2. 건물 내부를 방화구획을 하는데 따른 효과로 볼수 없는것은?
가. 인접구역으로의 화재확대 방지
나. 후레쉬 오버의 억제
다. 화재의 제한
라. 화재진압 효과의 증대
3. 소화의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제거소화 나. 냉각소화
다. 질식소화 라. 표면소화
4. 화재시 소방기관에 통보하는 내용으로 중요 사항이 아닌것은?
가. 부상자와 위험물 등의 유무
나. 연소상황과 연소물건
다. 발화건물 등의 소재지와 명칭
라. 화재의 발생 사유
5. 불티가 바람에 날리거나 또는 화재 현장에서 상승하는 열기류 중심에 휩쓸려 원거리 가연물에 착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비화 나. 전도 다. 대류 라. 복사
6. 알킬알미늄 화재시 취하여야 할방법은?
가. 화점에 물을 주수(注水)하여 냉각소화한다.
나. 화점 주위에 이산화탄소를 방사하여 질식소화한다.
다. 주변의 연소(燃燒)를 방지하고 자연 진화되도록 내버려둔다.
라. 화점에 포말을 발사하여 질식 및 냉각소화한다.
7. 디토네이션(Detonation)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가. 발열반응으로서 연소의 전파속도가 그 물질내에서의 음속보다 느린 것을 말한다.
나. 물질내 충격파가 발생하여 반응을 일으키고 또한 그 반응을 유지하는 현상이다.
다. 충격파에 의해 유지되는 화학반응현상이다.
라. 반응의 전파속도가 그 물질내에서의 음속보다 빠른것을 말한다.
8. 하론 1301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 정도 되는가?
(단,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약28.8이며, CF3Br≒149 이다)
가. 4.17 나. 5.17 다. 6.17 라. 7.17
9. 목재 화재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고자 한다. 이때 소화효과로서 가장 크게 기대되는 것은?
가. 질식소화효과 나. 냉각소화효과
다. 부촉매소화효과 라. 희석소화효과
10. 분진폭발을 일으킬 수 없는 것은?
가. 유황가루 나. 알미늄분말
다. 플라스틱 라. 석회석분말
11. 방화진단의 조건으로 거리가 가장 먼것은?
가. 인접한 건축물의 구조
나. 건물의 실내장식
다. 항공장애등 설비의 유지 상황
라. 휴일과 야간의 수용인원 파악
12. 일반 건축물에 피뢰설비를 1개 설치하였을 경우 보호각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몇도로 하는가?
가. 30 나. 45 다. 60 라. 90
13. 연소를 이루기위한 열원으로서 전기에너지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가. 아크열 나. 유도열
다. 마찰열 라. 저항열
14. 목조건물의 화재가 발생하여 최성기에 도달할 때, 연소온도는 약 몇℃정도 되는가?
가. 300 나. 800 다. 1300 라. 1800
15.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성질로 틀린 것은?
가. 무색, 무취이다.
나. 물에 녹지 않으나 유기용매에 용해된다.
다. 공기중에서는 쉽게 연소, 폭발하지 않는다.
라. 천연고무를 잘녹인다.
16. 가연물질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있어야 한다.
나. 열의 축적이 용이하여야 한다.
다. 점화원인 활성화 에너지가 적어야 한다.
라. 산소와 결합할 때 발열량이 적어야 한다.
17. 일반 콘크리트 내화건물의 화재시 피난하는 사람에게 치명적으로 피해를 가장 많이 줄수있는 것은?
가. 열 나. 연기 다. 수증기 라. 소화약제
18.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을 크게 분류하면 4가지로분류할 수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암모니아, 시안화수소 등의 연소가스 및연기
나. 대기중에서 물질이 탈때나타나는 화염
다. 열(Heat)
라. 점화원
19.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
가. PVC나 폴리에틸렌의 저장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D급화재이다.
나.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가스인 수소를 발생하며, 발열한다.
다. 가연물질의 연소색상중 가장 낮은 온도는 일반적으로 담암적색이다.
라. 우리나라의 화재발생 건수를 발생 장소별로 구분할때 그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사무실 건물이다.
20. 건축물에서 내화구조물로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가. 건축물의 옥외계단 나. 건축물의 벽체
다. 건축물의 기둥 라. 건축물의 보
=================================================
제2과목: 소방유체역학 및 약제화학
=================================================
21, 원관 속의 유체가 층류로 흐를때 최대속도( umax)와 평균속도 (V)와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가. 나. 다. 라.
22. 파이프내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파악할 수있는 기능을 갖지 않은 것은?
가. 벤츄리 미터 나. 사각 위어
다. 오리피스 미터 라. 로타 미터
23. 공기는 산소와 질소의 혼합가스로 체적의1/5이 산소이고 나머지는 질소이다. 표준상태(0℃ 760 mmHg)에서 공기의 밀도는 몇kg/m3 인가?
가. 24.4 나. 1.28 다. 0.43 라. 13.4
24. 그림과 같이 비중이 0.8인 기름이 노즐로부터 분출하고있다. 노즐 입구의 계기 압력이 P1= 686.5 kPa일 때, 노즐이 받는 힘은 몇N인가?
가. 3496 나. 1246 다. 946 라. 300
25. 폭w를 갖는 평행 평판 사이의 포물선 유속 분포가 다음과같을 때 운동량 수정계수 값은?

가. 2/3 나. 2/5 다. 6/5 라. 8/3
26. 다음은 어떤 열역학 법칙을 설명한 것인가?
″열은 그 스스로 저열원체에서 고열원체로 이동할 수없다.″
가. 열역학 제0법칙 나. 열역학 제1법칙
다. 열역학 제2법칙 라. 열역학 제3법칙
27. 비중이 0.01인 유체가 지름 30 cm인 관내를 98 N/s로흐른다. 이때의 평균유속은 몇m/s인가?
가. 4.254 나. 14.15 다. 849 라. 157.22
28. 소화약제 및 소화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소화약제라 함은 물기타 방염성이 있는 물질을 가공하여 소화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나. 소화약제에 의한 간이 소화용구라 함은 소화기 이외의 것으로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소화용으로 사용하는기구이다.
다. 자동 확산 소화용구라 함은 투척하여 자동적으로 소화하는 소화용구를 말한다.
라. 포소화약제라 함은 기제에 포안정제 기타의 약제를첨가한 액상의 것으로 물과 일정한 농도로 혼합하여공기를 기계적으로 혼입시킴으로서 포를 발생시켜 소화하는 약제를 말한다.
29. 온도가 T인 유체가 정압이 P인 상태로 관속을 흐를 때 공동현상이 발생하는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유체의 온도 T에 해당하는 포화압력은 Ps라한다.)
가. P>Ps
나. P>2Ps
다. P<Ps
라. P<2Ps
30. CO 5kg을 일정한 압력하에 25℃에서 6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kJ 인가?
(단, 정압비열은 0.837 kJ/kg ℃이다.)
가. 105 나. 146 다. 251 라. 356
31. 600 L/min의 유량으로 비중이 0.9, 점성계수가 0.06N.s/m2 인기름이 지름 100 mm인 관속으로 흐르고 있다.
관의 길이가 300 m라 하면 손실수두는 몇m인가?
가. 8.1 나. 8.3 다. 8.5 라. 8.7
32. 화학포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소화약제는 A약제, B약제 단독으로 발포해도 소화 효과가 있다.
나. 소화약제의 주성분은 황산 알루미늄과 탄산 수소나트륨이다.
다. 소화약제는 A약제와 B약제가 있으며 분말상태에서도 혼합 저장할 수있다.
라. 소화약제는 A약제와 B약제를 각각 수용액으로 만들어 따로 저장할 수있다.
33. 수평으로 놓인 관로에서, 입구의 관지름이 65mm, 유속이 2.5 m/s이며 출구의 관지름이 40mm라고 한다. 입구에서의 압력이 350 kPa이라면 출구에서의 압력은 몇kPa 인가?
(단, 마찰손실은 무시하고 밀도는 1000 kg/m3이다.)
가. 311 나. 321 다. 331 라. 341
34. 물을 펌핑하고 있는 어느 수평 회전축 원심펌프에서 흡입구측에 설치된 진공계가 460mmHg를 가리키고 있었다면 이펌프의 이론 흡입 양정은 몇m인가?
(단, 대기압은 표준대기압 상태이다.)
가. 6.25 나. 5.24 다. 4.07 라. 3.28
35. 점성계수를 직접 측정하는 데적합한 것은 ?
가. 피토트관(pitot tube)
나. 슈리렌법(schlieren method)
다. 벤튜리미터(venturi meter)
라. 세이볼트법(saybolt method)
36. 유체의 정압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가. 유체의 압력은 작용면에 수평으로 작용한다.
나. 개방된 용기(open vessel)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은밀도에 반비례한다.
다. 개방된 용기(open vessel)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은 유체의 깊이에 반비례한다.
라. 밀폐된 용기에서 어느 한점에 작용하는 압력은 모든 방향에 같은 크기로 작용한다.
37. 다음 분말약제의 입자크기와 소화효과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가. 입자는 10미크론 이하의 작은입자가 소화효과가 좋다
나. 입자는 클수록 소화효과가 좋다.
다. 입자는 20 ~ 25 미크론 정도가 소화효과가 좋다.
라. 입자의 크기와 소화효과는 관계가 없다.
38.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등 수용성 가연물의 소화에 가장적합한 포소화약제는?
가. 단백포 나. 수성막포
다. 불화단백포 라. 내알콜포
39.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가. 비점성 유체는 유동 시 마찰 저항이 유발되지 않는 유체를 말한다.
나. 비압축성 유체는 압력에 대해 체적이 일정하게 변한다.
다. 유체는 고체와 달리 전단 응력에 견디지 못한다.
라. 유체는 전단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결국 정지한다.
40 물이 들어 있는 U자관 속에 기름을 넣었더니 기름 25cm와 물 15cm의 액주가 평형을 이루었다면 이기름의 비중은?
가. 0.3 나. 0.6 다. 0.7 라. 1.7
=================================================
제3과목: 소방관계법규
=================================================
41.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때에는 해임한 날부터 몇일 이내에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가. 7 나. 15 다. 20 라. 30
42. 위험물탱크 안전성능시험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기술능력.시설 및 장비를 갖추어 시.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이경우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중요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는 때에는 그변경후 몇일 이내에 변경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가. 10 나. 20 다. 30 라. 40
43.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 중 잘못된것은?
가. 상시 50인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
나. 지하가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미터 이상인 것
다. 연면적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
라.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제곱미터 이상인것
44. 관계인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소방용 기계.기구등에 대한 성능시험은 어디에서 하는가?
가. 한국소방안전협회
나. 시.도지사의 위탁을 받은 한국방재시험연구소
다. 산업자원부가 지정한 한국기계연구소
라. 행정자치부장관의 위탁을 받은 기관
45.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지역은?
가. 공장, 창고 등이 밀집한 지역
나.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
다.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라.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46.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아닌 것은 ?
가. 소유자 나. 공사업자
다. 관리자 라. 점유자
47.구급대의 편성.운영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가. 소방서장은 필요한 때 의료기관으로부터 구급차를 지원 받을 수있다.
나. 구급대는 위급환자에 대해 신속한 치료가 그 목적이다.
다. 의료기관의 지원에 관한 사항은 관할 시.도지사와 협의하여 정한다.
라. 환자를 이송하던 중 환자가 사망한 경우는 국고에서 위자료를 지급한다.
48. 간선 또는 지선도로의 폭과 거리.교통의 상황.토지의 고저. 건축물의 개황 그밖의 소방활동에 필요한 지리의 조사에서 월몇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는가?
가. 1회 나. 2회 다. 3회 라. 4회
49.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의 기준면적은 학교의 지하층인 경우 바닥면적의 합계가 몇m2 이상인것인가?
가. 700 나. 800 다. 900 라. 1000
50.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가. 누전경보기
나. 연소방지설비
다. 자동화재속보설비
라. 비상방송설비
51. 소방법상의「관계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위험물 저장소 주위
나. 건물의 옥상
다. 항해중인 상선
라. 주민대피용 방공호 내부
52. 다음중 위험물 취급 건축물에 채광ㆍ조명 및 환기설비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채광면적은 최소로 한다.
나. 환기는 강제배기방식으로 한다.
다.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한다.
라. 점멸스위치는 출입구 바깥부분에 설치한다.
53. 소방용수시설의 수원에 대한 기준으로 맞지 않는 것은?
가. 지면으로부터 낙차가 6m이하일 것
나.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이상일 것
다. 소방펌프자동차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있을 것
라. 흡수에 지장이 없도록 토사, 쓰레기 등을 제거할수 있는 설비를 할것
5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사용전원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몇분 이상 경보할 수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25 나. 20 다. 15 라. 10
55. 위험물제조소에서 위험물을 취급할 때에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설비를 하여야 하여야 한다.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있는 방법이 될수없는 것은?
가. 접지를 한다.
나. 공기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한다.
다. 공기를 이온화한다.
라. 종단저항을 설치한다.
56. 제5류위험물로 자기반응성 물질은?
가. 염소산염류 나. 과염소산염류
다. 질산염류 라. 유기과산화물류
57. 방화관리자를 30일이내에 선임하여야 하는 기준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가. 신축 등으로 처음 방화관리자를 선임하는 경우에는 완공일
나. 증축 또는 용도변경으로 1급 또는 2급 방화관리대상물이 된때에는 그공사의 완공일
다. 증축 또는 용도변경으로 방화관리등급이 변경되는때에는 건축허가일
라. 방화관리자를 해임한 때에는 그해임한 날
58. 감지기의 설치장소로서 옳은 것은?
가. 보상식 스포트형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섭씨30도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나. 스포트형 감지기는 50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 하도록 부착할 것
다. 감지기는 천정 또는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라.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2.0미터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59. 화재현장에서 소화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규정하고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가. 피난명령 나. 소화종사명령
다. 소방응원 라.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60. 주유취급소의 고정주유설비중 자동차 등에 직접 주유하기위한 고정주유설비의 주위에는 주유를 받으려는 자동차등이 출입할 수있도록 너비 몇m이상, 길이 몇m이상의콘크리트로 포장한 공지를 보유하여야 하는가?
가. 너비:12m, 길이:4m 나. 너비:12m, 길이:6m
다. 너비:15m, 길이:4m 라. 너비:15m, 길이:6m
=================================================
제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원리
=================================================
61. 연결 살수설비의 구조를 이루는 부속물이 아닌 것은?
가. 폐쇄형 헤드 나. 송수구역 선택 밸브
다. 단구형 송수구 라. 준비작동식 밸브
62. 간이소화용구인 마른모래 50ℓ,5포와 삽을 비치한 상태일때 능력단위는 얼마인가?
가. 1.5 단위 나. 2단위
다. 2.5 단위 라. 4 단위
6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용기의 허용 충전비는 얼마인가? (단, 고압용기식이다.)
가. 1.5 이상 1.9 이하 나. 1.2 이상 1.5 이하
다. 1.0 이상 1.3 이하 라. 0.8 이상 1.0 이하
64. 스프링클러 설비의 시험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시험배관은 알람 밸브로 부터 수리적으로 가장 먼곳에있는 헤드의 가지관에서 연장하여 설치한다.
나. 시험배관은 준비 작동식 설비에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 시험배관의 말단에는 실제 그 구역에 설치된 헤드와 동일한 오리피스를 가진 개방형의 헤드를 설치하면된다.
라. 시험배관을 이용한 알람밸브의 기능시험은 매일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65. 수류를 살수판에 충돌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무슨 형이라 하는가?
가. 디프렉타형 나. 충돌형
다. 슬리트형 라. 분사형
66. 성능이 같은 두대의 소화펌프를 양정이 Hm인 것을 병열로 연결하였을 때의 양정은?
가. 0.5Hm 나.1.0Hm 다. 1.5Hm 라. 2Hm
67. 바닥면적이 400m2 인 차고에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수원의 최저 수량은 몇m3인가?
가. 20 나. 30 다. 40 라. 80
68. 제연구역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가. 제연구역에 구획은 보, 제연 경계벽 및 벽으로 하여야한다.
나.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이 최대 50m인 원안에 들어갈수있어야 한다.
다. 하나의 제연구역 면적은 1,000m2 이하 이어야 한다.
라.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을 하여야 한다.
69. 호스릴 분말소화설비에서 하나의 노즐에 대한 소화약제의양으로 잘못된 것은?
가. 제1종 분말 50kgf이상
나. 제2종 분말 30kgf이상
다. 제3종 분말 30kgf이상
라. 제4종 분말 40kgf이상
70. 다음은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등에 설치하는 급기가압방식 제연설비의 측정, 시험, 조정 항목을 열거한 것이다. 맞지않는 것은?
가. 출입문의 크기, 개폐방향이 설계도면과 일치하는지여부 확인
나. 출입문과 바닥 사이의 틈새가 균일한지 여부 확인
다. 화재감지기 동작에 의한 설비 작동 여부 확인
라. 피난구의 설치 위치 및 크기의 적정 여부 확인
71.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 방법 중 맞는 것은?
가. 함의 재질은 강판 1.6mm 이상이어야 한다.
나. 하나의 소화전함에서 다음 소화전함까지는 25m거리 이내이어야 한다.
다. 개폐밸브의 위치는 항상 왼쪽에 있어야 한다.
라. 개폐밸브의 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1.5m 이하여야 한다.
72. 청정소화약제 중에서 IG-541의 혼합가스 성분비는?
가. Ar 52%, N2 40%, CO2 8%
나. N2 52%, Ar 40%, CO2 8%
다. CO2 52%, Ar 40%, N2 8%
라. N2 10%, Ar 40%, CO2 50%
73. 이산화탄소 소화기에 대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
가. 전기 화재에 적응성이 좋다.
나. 용기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의거 제조되고 250kgf/cm2의 내압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다. 충전비는 1.5 이상이다.
라. 약제의 충전량이 30kgf 이상시 대형 소화기로 분류된다.
74. 소방법 시행령 제23조의 규정에 의한 자체 소방대를 둔 위험물 제조소에 옥외소화전이 18개 설치되어 있다. 옥외소화전 함은 최소 몇개를 분산하여 설치 하여야 하는가?
가. 10개 이상 나. 11개 이상
다. 15개 이상 라. 18개 이상
75. 상수도 소화용수용 소화전 설치시 소화전 1개의 유효 거리는 얼마인가?
가. 140 m
나. 150 m
다. 160 m
라. 200 m
76.물분무 소화설비의 소화작용이 아닌 것은?
가. 차단효과 나. 냉각효과
다. 질식효과 라. 유화효과
77. 폐쇄형 스프링클러 설비 하나의 방호구역은 어느 것인가?
가. 바닥면적 4,000m2 나. 바닥면적 3,000m2
다. 바닥면적 2,000m2 라. 바닥면적 1,000m2
78. 포소화설비에 관하여 필요치 않은 부분은?
가. 포원액 교반장치 나. 포혼합장치
다. 포방출구 라. 가압송액장치
79. 다음중 수직 강하식 구조대의 대본체 재질에 관한 것으로 적당한 것은?
가. 대본체는 전체가 균질의 신축성이 풍부한 재질로 되었다.
나. 대본체는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협축부 만이 신축성이 많은 특수 심으로 되어 있다.
다. 협축부는 고무실이 들어 있는 면범포이다.
라. 대본체는 나이론 섬유로 되어 있다.
80. 가솔린을 저장하는 고정지붕식의 옥외탱크에 설비하는 포소화설비에서 포를 방출하는 기기는 어느 것인가?
가. 폼워터 스프링클러헤드
나. 폼워터 스프레이헤드
다. 포헤드
라. 고정포 방출구(폼챔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