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이 가져다준 선물
1990 년대,
미국의 자선 사업가 케네스 벨링은 샌프란시스코 베이의 빈민가를 지나던 중, 지갑을 잃어버린 것을 알았다.
벨링의 비서는 '빈민가 사람들이 주운 지갑을 돌려 줄 리 없다며 포기하자'라고 했지만,
벨링은 지갑을 주운 사람의 연락을 전화기 앞에서 기다리기로 했다.
하지만 몇 시간이 지나도 전화 연락은 없었다.
비서는 ‘지갑에 명함이 있으니 돌려 줄 마음이 있었으면 벌써 연락이 왔을 겁니다’ 라며 퇴근을 종용했지만
벨링은 침착한 모습으로 전화를 기다렸는데 날이 어두워질 무렵 드디어 전화가 왔다.
지갑을 주운 사람은 남루한 차림의 어린 소년이었고, 돌려준 지갑에 든 돈은 그대로였는데 지갑을 건넨 소년이
주저하면서 말했다.
“혹시 돈을 좀 주실 수 있나요?”
비서는 "그럴 줄 알았다"며 소년을 비웃었지만, 벨링은 웃으며 소년에게 얼마가 필요한지 물었다.
“감사해요. 저에게 1 달러만 주시면 돼요.
지갑을 주운 후 연락하기 위해 공중 전화가 있는 곳을 찾긴 했지만, 전화를 걸 돈이 없어서 주변 가게에서 빌렸어요.
그 돈을 갚으려고요.”
소년의 말에 벨링은 속으로 감탄하면서 의아하여 물었다.
“내 지갑에 돈이 있었는데 왜 그 돈을 쓰지 않았니?”
그 물음에 소년은 환하게 웃으며
“그건 제 돈이 아니잖아요. 남의 지갑을 허락도 없이 열면 안 되잖아요.”
소년의 얘기를 들은 비서는 자신의 생각이 부끄러워 고개를 숙였다.
소년의 맑은 눈을 본 비서는 부끄러워 고개를 숙였고, 벨링은 감동한 나머지 소년을 꼭 끌어안아 주었다.
벨링은 즉시 지금까지의 자선 사업 계획을 변경하여,
빈민가에서 학교에 갈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그곳의 몇몇 학교에 투자를 했는데
벨링의 마음이 그렇게 바뀐 것은 바로 그 정직한 소년 때문이었다.
그 학교의 개학식 연설에서 벨링은 이렇게 말했다.
“다른 사람을 멋대로 추측하여 평가 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사람들 속에 내재한 선량함을 믿고 순수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해야 합니다.
그런 마음에 투자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가치 있는 일입니다.”
"하늘은 정직한 사람을 도울 수 밖에 없다.
정직한 사람은 신이 만든 것 중에서 최상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
- 세르반테스 -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옮긴 글>
두 번째 이야기
KAL 대한항공과 한진그룹이 탄생된 것도 정직한 말과 행동 때문입니다.
조그마한 자동차 정비 공장을 하던 조 중훈 사장은 김포 국제공항으로 가던 중
중년의 외국 여인이 고속도로에 멈추어 선 채 지나가는 많은 차량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것을 목격하였습니다.
당시 한국은 치안이 별로 좋지 않은 형편이었는데,
마침 조 중훈 사장은 난처한 입장을 당한 이 중년 여인을 도와서 차량을 고쳐주었고
그러자 여인은 핸드백에서 돈을 꺼내 주었습니다.
조 중훈 사장은 정중하게 거절하고 중년 여인께서 도로 한복판에 서 있어서 위험한 거 같아 도와줬을 뿐이니
가던 길을 그냥 가시라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중년의 외국 여인은 그럼 명함이라도 있으면 달라고 하여 명함을 건네고 헤어졌는데,
며칠 후 조그만 정비소에 미군 군용차 수십 대가 왔는데 중간의 세단 승용차에서 별 4개를 단 4성 장군이 내리고
뒤따라 함께 내린 분이 바로 고속도로에서 차를 고쳐준 중년 외국 여인이었습니다.
바로 미 8군 사령관의 부인이었습니다.
미 8군 사령관은 '제 아내를 위험에서 구해주어 너무 감사하다'면서 거액의 현금과 선물로 답례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많은 돈을 가지면 교만해져서 망한다면서 조 중훈 사장은 웃으면서 사양하였습니다.
그러자 당신이 원하는 것이 있으면 말해보라고 하자 '혹시 미 8 군에서 나오는 폐차가 있으면 나에게 팔아라.
그것을 수리해서 중고차로 팔겠다'라고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즉시 O.K 승낙이 떨어지고 폐차는 물론이고 몇 달 후에는 미 8군의 차량 수리도 해 주도록 맡겼고,
성실하게 수리를 해주면서 신용이 쌓이자 비행기 수리까지도 맡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KAL 대한 항공이 창설되었고,
이 기업이 오늘날 한진 그룹으로 성장한 것입니다.
정직과 진실 덕분에 인생이 역전된 일화입니다.
<받은 메일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