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99568D3B5F0C47562C)
박원순 시장이 자살했습니다
삼청각(三淸閣) 인근 밑에 위치한 숙정문 肅靖門 돌담 밑에서 시신이 발견됬습니다 .
북한산에 위치한 삼청각ㆍ숙정문에 관한 역사적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1. 숙정문 (肅靖門)은 서울 성곽 4대문중 하나입니다.
원래는 북대문 또는 北淸門이라 했는데 인조이후에 숙정문이라 부르게 된거같습니다 ㆍ
남대문ㆍ동대문ㆍ서대문ㆍ북대문 즉 북대문이 숙정문입니다.
이성계 태조때 음양오행설에 따라 지어진 북대문이 숙정문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
동기는 숙정문ㆍ북대문을 열어놓으면, 개방하면
숙정문이 陰의 기운이라 조선 여성들이 바람이 나고 남 녀 간에 풍기가 문란해지니
문을 폐쇄하라고 신하가 이성계에게 건의 하여 그후부터 약 600년간 숙정문은
세인으로 부터 멀어지게됩니다.
실제로 북한산 북쪽에서 내려오는 계곡에 위치한 숙정문 일대에서 남녀간 밀애를
즐기면 액땜을 한다하여 그곳은 은밀한 남녀간의 情事를 나누던곳이라
남녀간의 性문제를 엄히 다스리려 했던 장소이기도합니다.
그곳에서 性문제로 박원순이 자살합니다.
박원순이 이 역사적 사실을 알고 자살 장소로 숙정문을 선택했는지 알길이 없습니다.
병조호란시에 중국에 조선 처녀 유부녀등 50만명이 성노리개 인질 포로로 중국에
끌려갑니다. 이 조선 처녀들이 중국에서 탈출 病死 귀국문제 사생아 출생이 사회
문제가 되자 북한산 줄기에 흐르는 물 홍제천 연신내 물로 여성 성기를 세척하면
다시 처녀로 인정한다는 인조의 王命도 발표합니다.
중국에서 고향으로 귀국한 여성을 환향녀 (還鄕女)라 불리었는데 이 발음이 화냥녀
로 불리게 되고 자식은 포로로 끌려간 화냥녀 還鄕女의 자식이라하여 호란때 포로로
잡혀간 처녀가 낳은 자식이라하여 멸시 대상으로 호로(胡虜)자식이라 부르게 됩니다.
숙정(肅靖)이란 뜻은 엄히 다스려 편안하게 하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병자호란시 1636년에 조선 처녀들의 性은 무자비하게 중국에 짓밟혀서
조선여인의 성에 관한 정숙한 이미지가 상실되어 그후에 숙정문으로 개명하면서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고남녀간의 풍기문란도 금지하기위해 북대문에서 숙정문으로
개명한것 같습니다.
2. 삼청각 (三淸閣)
삼청각은 삼청동에서 성북동으로 넘어가는 숙정문위에 있는 옛날엔 요정입니다 .
약 6천평
서울 4대 요정
1. 종로3가에 있던 오진암
2. 현재의 길상사 자리에 있던 대원각
3. 청운각
4. 삼청각
그당시 요정정치의 상징 4대 요정입니다
박정희ㆍ김종필ㆍ이후락ㆍ정일권ㆍ차지철 등 실세들이 이용했던 요정입니다
감사원 윗길 와룡공원 위에 자리잡은 삼청각은 경치가 매우 좋아 성북동 동대문이
한눈에 보이고 북악스카이웨이등에서 보면 서울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이곳은 인조 반정時 논공행상에 불만을 가진 이괄이 난을 일으킬때 그리고 68년
김신조 일당이 청와대를 습격할때의 루트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성균관 유생들이 스트레스를 풀기위해 이용했던 북한산 등반 코스입니다.
삼청각 요정은 그당시 국회에서도 큰 문제가 되었던 오빠의 손에 죽은 정인숙 사건이
발생했던 요정이기도합니다.
북한산 삼청동 반대편 성북동에 위치한 대원각은 약 7000평 지금의 길상사는 포철 신화
박태준 총리의 단골 요정입니다.
길상사는 김영한 (女)이라는 대원각 요정주인이 법정스님에게 기부하여 길상사로 바뀌
었는데 원래는 남로당 당수 사형당한 박헌영 집이 었습니다
어떻게 김영한 이름으로 넘어갔는지는 불분명합니다.박원순이 性문제로 歷史的인
성문제 시비가 있는 陰地의 지역...숙정문 삼청각 인근에서 자살한것이 아이러닉합니다.
옮긴글
첫댓글 종일 토록 비가 내린 장마철, 더욱 신록이 짙어진 풍경 입니다. 학교도 개학하여 아이들이 활기차게 등교하는 노란우산 쓴 아이와 엄마, 제자리한 일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허리통 없이 걷기를 했더니 수술부위의 통증이 느껴져 병원측의 관리 처럼 이달말 까지는 착용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맞이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