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ㅇ 일본 경제산업성 제조산업국 소재산업과는, 세계의 석유화학제품의 향후의 수급 동향에 관한 연구회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에틸렌계, 프로필렌계 석유화학제품 및 방향족 제품에 대해, 2020년까지의 세계의 중장기적인 수급 동향을 정리하여 이하와 같이 보고함. □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 및 에틸렌의 수급 동향 ㅇ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수요 -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수요는, 동아시아에서 확대 둔화의 경향도 보이지만 계속해서 아시아의 수요 확대를 견인할 전망. - 2014년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 수요 실적은 원유와 석유제품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전년 대비 2.6% 증가로 견조하게 추이하여 1억 3,140만t이 되었음. - 2015년 이후는 2012년의 유럽에서의 금융 불안으로 발단된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서 회복 경향에 있는 가운데, 각국·지역별 수요를 전망하면, 2020년 말의 세계 전체의 수요량 합계는 1억 6,250만t(2014년 대비3,120만t 증가), 2014년~2020년의 수요의 신장은 연평균 3.6%가 될 전망. - 수요의 신장은, 지역별로 경향이 달라, 아시아 지역이 인도(연평균 6.0% 증가)와 중국(연평균 6.0% 증가)에 견인되어 연평균 4.7% 증가하고, 아프리카가 5.9% 증가, 중동이 5.0% 증가할 전망. - 한편, 북중남미가 2.6%로 견조하게 추이하고 CIS도 2017/2018년경부터의 성장이 기대되어 연평균 2.3% 증가의 추이가 예상됨. ㅇ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 - 북미의 셰일가스와 중국의 석탄화학에 의한 플랜트의 생산능력 증가가 주 요인이 되어 에텔렌을 포함한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은 증가할 전망. - 그러나, 북미에서는 왕성하게 계획된 셰일 관련 플랜트의 신증설 계획이 건설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원유가격 하락이 나프타에 대한 에탄의 우위성을 저하시켜 이것이 플랜트의 가동 개시 시기를 늦추게 하고 있음. -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은, 2014년 말 시점에서 1억 6,420만t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하였음. 현 시점에서 2020년까지 가동할 가능성이 높은 신증설 계획에 기초하면, 2020년 말의 생산능력은 1억 9,850만t(2014년 대비 3,430만t 증가)로, 연평균 3.2%로 증가할 전망. - 2014~2020년의 지역별 생산능력의 평균 성장률은, 아시아가 2.9% 증가, 북중남미가 4.0% 증가, 중동이 2.5% 증가, 유럽이 0.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특히 중국에서는 연율 3.8% 증가, 인도에서는 연율 7.3%증가로 높은 생산능력 증가가 전망됨. ㅇ 세계의 에틸렌계 유도품 수급 밸런스 - 중국에서는 석유화학에 의한 생산의 증가가 예측되고 있지만, 그 이상으로 수요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어,중국의 수입초과의 밸런스는 계속해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또, 중동과 북미의 에탄 등 저렴한 원료의 조달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생산의 확대가 수요의 확대를 웃돌아, 수출초과의 폭은 확대할 전망이지만, 원유가격 하락으로 인한 에탄크래커의 경쟁력 저하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에탄 공급력 저하 등의 불안정한 요소도 현재화되고 있음. - 현 시점에서 2020년 초까지 가동할 가능성이 높은 신증설 계획에 기초하면, 지역별로 이하의 경향이 보임. · 일본에서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수요는 2014년의 실적 500만t에서 일정수준 정도의 경제 성장을 전망해도, 2020년에 490만t으로 거의 동 수준으로 추이할 전망. · 중국에서의 에틸렌계 유도품의 공급은 2014년의 1,860만t에서 2020년에는 2,720만t으로, 860만t 확대함.또, 수요는 2020년에는 4,910만t이 되어 1,440만t 증가할 전망으로, 수요 초과 폭은 580만t 확대할 전망. · 중동에서의 공급 초과 폭은 확대를 지속, 2014년의 1,720만t에서 2020년에는 2,180만t에 달할 전망으로,아시아와 유럽의 수요 초과 폭을 웃돌 전망. · 이 밖에, 유럽에서는 수요 초과 폭이 2014년의 10만t에서 230만t으로 확대되고 북중남미에서는 공급 초과 폭이 310만t에서 600만t으로 확대할 전망. □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 및 프로필렌의 수급 동향 ㅇ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 수요 -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수요는, 에틸렌계 유도품과 마찬가지로 세계의 경제 성장에 따라, 아시아가 수요의 신장을 견인할 전망. 또, 원유가격의 하락이 산유국과 자원개발기업에 미치는 악영향과 수요를 환기한다는 호(好)영향도 주시할 필요가 있음. -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세계의 수요는, 2014년의 8,870만t에서 2020년에는 1억 1,410만t으로 증가하여 연평균성장률은 4.3%가 될 전망. - 지역별 수요의 확대는 아시아가 연평균 5.9%, 유럽이 0.9%, 북중남미가 2.2%, 중동이 5.4%, 아프리카가 4.7%로 증가, 종래 축소가 우려되었던 CIS도 3.0% 확대할 전망. ㅇ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 -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은, 에틸렌계 유도품과 마찬가지로 수요의 신장에 따라 견조하게 증가할 전망이지만, 중동이나 북미의 에탄크래커에서는 프로필렌은 거의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석유화학이나 프로판탈수소법(PDH)에 의해 프로필렌의 생산을 추진하는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는 추세에 있음. -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생산능력은, 2014년 시점에서 1억 1,170만t임. 현 시점에서 2020년까지 가동할 가능성이 높은 신증설 계획에 기초하면, 2020년 말의 생산능력은 1억 3,790만t으로, 연평균 3.6%로 증가할 전망. - 2014~2020년의 지역별 생산능력의 연평균성장률은 아시아가 4.7% 증가, 북중남미가 1.0% 증가, 유럽이 0.2% 증가, 중동이 3.3% 증가임. 에틸렌계 유도품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인도와 더불어 아세안에서 높은 생산능력의 증가가 예측됨. ㅇ 세계의 프로필렌계 유도품 및 프로필렌의 수급 밸런스 - 현 시점에서 2020년 초까지 가동할 가능성이 높은 신증설 계획에 기초하면, 지역별로 이하의 경향이 보임. · 일본에서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수요는 2014년의 실적 420만t에 비해, 2020년은 430만t으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추이할 전망. · 중국의 프로필렌계 유도품의 수요 초과 폭은 2009년부터 600만t대를 계속하고 있으나 2013년 이후 축소 경향이 지속, 2016~2018년경에는 300~400만t 규모가 되지만, 2020년에는 다시 500만t 규모로 확대할 전망. · 아시아 전체에서는 향후, 중국, 인도, 아세안 등에서 공급 증가가 예측되고 있는데, 2020년은 지역 전체에서 10만t의 수요 초과가 되어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을 전망. · 중동에서의 공급 초과 폭은 확대 경향을 유지하여 2020년에는 390만t에 달할 전망. □ 세계의 방향족 및 유도품의 수급 동향 ㅇ 세계의 방향족의 수급 동향 - 경제 성장에 따라 수요는 중국, 북중남미를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가 전망되는데, 셰일 개발의 진전에 따른 원료의 경질화의 진전이 예상되어, 특히 북미에서 생산의 신장이 정체되어 수입 초과의 경향이 강해질 것으로 전망. - 2014~2020년 수요의 연평균성장률 전망은, 벤젠 2.7%, 톨루엔 3.3%, 키실렌 5%로, 2014년의 보합 상황에서 회복할 전망. - 한편, 세계의 벤젠, 톨루엔, 키실렌의 2014~2020년의 생산량의 연평균성장률 전망은, 각각 2.4%, 2.6%, 4.6%로, 거의 수요의 증가와 동일수준으로 예측됨. ㅇ 세계의 파라크실렌, PTA의 수급 - 세계의 PTA 생산량, 수요의 절반 정도를 중국이 점하는 구조가 되고 있으며 그 원료인 파라크실렌에 대해 중국에서는 대폭의 수입초과 상황이 되고 있음. PTA의 플랜트의 신증설은 2016년에 일단락되지만, 파라크실렌의 신증설도 신전개가 적어, 이 경향은 더욱 확대할 전망. - 2020년 세계의 파라크실렌, PTA의 수요는 각각 4,680만t, 6,930만t으로, 그 60% 정도를 중국이 점하고 있음. - 한편, 2020년 세계의 파라크실렌, PTA의 생산량은 각각 4,910만t, 6,880만t으로, PTA 생산량의 절반은 중국이 점하고 있지만, 파라크실렌은 1/4정도에 그치고 있음.
자료 출처 : http://www.meti.go.jp/press/2016/07/20160708002/20160708002-1.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