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노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2005 충남9급)
1. 노비는 소유주의 재산으로서 매매, 양도, 상속되었고 자기 재산을 가질 수 없었다.
2. 솔거 노비는 주인이 원하는 모든 노도을 제공하는 대신 의,식,주의 생계를 보장받았다.
3. 외거노비는 주인 땅의 일부를 사경지로 받아 그 수확물을 차지하고, 그 밖의 주인 땅에서 생산하는 수확물을 주인에게 바쳤다.
4.공노비는 독립된 가옥에 살면서 국가에 신공을 바치거나, 일정 기간 관청에 나가서 무보수로 노동을 제공했다.
이 문제에서 답이 1번인건 알겠는데요,
4번 보기에서 공노비가 관청에 나가서 무보수로 노동을 제공했다는게,, 음
고려때랑 조선이랑 노비제가 같다고 생각하고 푸니깐 고려때는 입역노비는 급료를 받고 생활했다고해서
조선때 무보수로 노동을 제공했다는걸 틀리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리구 신영식샘 2권 p.207에 외거 노비 중에는 경제적으로 양민 백정과 비슷하게 독립된 경제 생활을 영위해서
신분의 제약을 딛고 지위를 높인 사람이 있다고 했는데
군공을 세워서 노비들도 무관이 되는건(맞죠?) 아는데 다른 어떤 방법으로 신분상승을 했는지 궁금해요,,,,, 이때는 납속책이나 공명첩이 실시 안됐을때잖아요,
하,, 노비 넘 어려워용 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 노비가 가난한 주인을 죽이고 양민행세를 했다는 말이죵~? 감사합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