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본 메세지] ---------------------
영어 죽은 시인의 사회(http://cafe.daum.net/engdps
게 시 판 : { 우수-영시 }
번 호 : 566
제 목 : W. 블레이크 <순수의 노래> 서시
글 쓴 이 : pianoman
조 회 수 : 279
날 짜 : 2001/07/15 10:42:19
내 용 :
From Songs of Innocence
Introduction
-William Blake
Piping down the valleys wild
Piping songs of pleasant glee
On a cloud I saw a child,
And he laughing said to me,
"Pipe a song about a Lamb";
So I piped with merry chear;
"Piper pipe that song again"-
So I piped, he wept to hear.
"Drop thy pipe thy happy pipe
Sing thy songs of happy chear";
So I sung the same again
While he wept with joy to hear.
"Piper sit thee down and write
In a book that all may read"-
So he vanish"d from my sight.
And I pluck"d a hollow reed,
And I made a rural pen,
And I stain"d the water clear,
And I wrote my happy songs
Every child may joy to hear.
거친 계곡 아래로 피리를 불며
<<순수의 노래>>에서--
거친 계곡 아래로 피리를 불며
환희의 노래를 불다가
구름 위에 한 아이가 있음을 보았다
아이는 나에게 웃으며 말했다.
"어린 羊에 대해 노래를 들려주세요"
그래서 나는 즐겁게 피리를 불었다.
"피리부는 아저씨, 그 노래 다시 불러줘요"
그래서 나는 또 피리를 불었고, 아니는 울었다.
"피리를 그만두고요, 아저씨
기쁨의 노래를 불러줘요"
그래서 나는 같은 노래를 다시 불렀는데
그동안 아이는 노래를 들으며 기쁨으로 울었다.
"피리부는 아저씨, 이제 앉아서
누구나 읽을 수 있게 책 속에 노래를 쓰세요"
그리고 그 아이는 사라졌다
나는 속이 빈 갈대를 하나 꺾어
그것으로 田園의 붓을 만들었다
그리고 맑은 물을 물들여서
모든 아이가 듣고 기뻐하도록
내 기쁨의 노래들을 적었다.
*민음사에서 나온 번역시집을 보고 한글번역을 옮겼습니다.
원문은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5th Ed.에서 옮겨왔습니다.
번역시집의 원문에는 with merry cheer라고 되어있고 노튼에는 with merry chear라고
되어있는데 노튼의 것을 따랐습니다.
*I stain"d the water clear라는 표현은 글을 쓰기 위해 잉크를 만들었다는 뜻이거나 또는 블레이크가 板刻된 詩畵를 채색하기 위하여 물감을 준비했다는 뜻으로 번역자인 김종철씨가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며칠전에 친구와 얘기하다가 블레이크의 시를 언급했었습니다. 집에 와서 블레이크의 시를 오랜만에 읽었는데 같이 나누면 좋을 시가 많아서 몇 편 올리려고 합니다.
*블레이크 시인에 대한 설명은 제가 시집에서 발췌해 올리겠습니다만 은밤님이 250번글에서 Tyger를 번역하시면서 소개를 해놓으셨으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블레이크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은밤님이 시 낭독의 중요성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셨는데 이 시야 말로 (윌리엄 워즈워드의 시들과 더불어) 소리내서 읽을 때 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