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페이퍼를 완성해드릴 수도 없으니 이렇게 해보세요.
일단 단 한권으로 그들의 작품과 활동성향을 읽어낼 책은 없어요. 요즘 신간 중에 그런 책이 있는지 모르겠지만요. 다만 '작가세계'라는 문예지에서 매호마다 한 작가를 선정해 그의 작품세계와 문제의식을 다루곤 합니다. 그 책자에 개제된 내용들이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짧게 우리나라 여성작가에 대한 개념을 알려드리자면 박완서 씨는 전통사회의 붕괴와 그 역경을 헤쳐 나가는 한국적 여성관에 대한 작품이 그 주류를 이루어왔습니다. 공지영, 은희경, 신경숙 씨를 다룰 때는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 40대 여성들이 대부분 오정희 라는 작가의 모작으로부터 그 활동영역을 키워왔다는 점입니다. 결과적으로 오정희 라는 거대한 산이 우리 여성문학의 꼭대기에 들어앉아 있는 것입니다. 특히 신경숙 씨의 경우, 초기작들이 다 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신경숙 씨의 작품은 산업사회 속에서 소외된 채 자신들만의 목소리를 키워온 사람들에게 대한 소재가 많습니다. 그녀 자신이 여공생활을 하는 등 경제구조 사회의 폐단을 직접 살아왔기 때문일 것입니다.
공지영 과 은희경 씨는 박완서 씨와 가장 반대 개념의 작품활동을 해왔습니다. 그들은 현대 사회의 혼란기를 속에서 한 인간으로써 거듭나는 현대 여성이라는 관점을 작품에 심어왔습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우리나라 여성문학을 다룰 때, 박완서는 이른바 전쟁세대로 민족분열과 이데올르기의 상처를 떠안고 살아온 여성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면 됩니다. 오정희는 장편은 단 한편도 없이 몇몇 중편과 단편 위주의 활동으로 면면에서 드러나듯,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아주 작은 소재 속에서 향수 어린 작품을 주로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신경숙은 산업사회에서 희생된 여성의 가치와 그 현실을 다루어왔습니다. 공지영 과 은희경 의 경우는 현대사회의 가정 파괴 속에서 여성이 한 객체로써 살아가는 역동적인 내용에 그 촛점을 맞추어 온 것입니다.
자 이렇게 보면 우리 현대사가 그들의 작품에 눅눅히 녹아 있음을 잘 알 수 있겠죠? 이 글이 정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원본 메세지] ---------------------
안녕하세요, 리상입니다. 제가 이번에 ocu과목으로 여성과 문학이라는 것을 듣게 되었는데 10월 2일까지 리포트와 토론글을 써야해요..ㅠㅠ
박완서 공지영 신경숙 은희경을 비롯한 여성작가들의 여성문학을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시간은 없고, 읽은 것도 없고...
기껏 읽었다는 거는 봉순이 언니나 그 많던 싱아... 마이너리그 정도가 전부인데...
지망생님들... 개괄 정보나 이 한권에 페미니즘이 모두 녹아있다... 하는 그런 책 없을까요? 추천 좀 해주세요... 관련 사이트도 괜찮구...
부탁드립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