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사
수다사는 통일신라시대에 하동 쌍계사를 중창한 진감국사 혜소 스님이 창건한 사찰로, 도리사와 더불어 선산 지역의 가장 오래된 절 가운데 하나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계속해서 법등을 이어왔으며, 임진왜란 때는 의승군이 결집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호국사찰이다.
경내에는 고로쇠나무, 배롱나무, 단풍나무 등 나무와 꽃이 가꾸어져 사찰을 잘 장엄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법회를 통해 지역주민과 함께 하고 있다. 지정문화재로는 명부전을 비롯하여 전부 4점의 지방지정문화재가 있다.

수다사 안내석

수다사 일주문

수다사 포대화상

수다사 대웅전
대웅전(大雄殿)은 팔작지붕에 앞면과 옆면 각 3칸 규모의 건물이다. 겹처마 다포 형식이다. 임진왜란 직전인 1572년(선조 5)에 지은 건물로, 비록 일부 부재는 최근에 교체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창건 당시의 건축 구조와 기법을 잘 간직하고 있어서 중요한 건축문화재가 되어 있다. 전각 안팎에 가지가지 벽화가 장엄되어 있어 건물의 아름다움을 더욱 높이고 있는데, 특히 내부 좌우 벽에 커다랗게 그려진 문수동자상과 보현동자상은 가장 뛰어나다.
안에는 1649년(인조 27)에 만든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을 독존으로 모셨는데, 현재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334호로 지정되어 있다. 나발이 있고 원만한 상호(相好)가 돋보이며, 수인(手印)은 구품인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되고 깔끔한 조각이 돋보인다. 본래는 삼존상으로 모셨지만 관음보살상은 대구 서봉사(棲鳳寺) 관음전에, 대세지보살상은 구미 원각사(圓覺寺) 원통전에 모셔졌다. 둘 다 이운된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여래좌상이 앉아 있는 대좌 역시 나무로 만든 것인데, 팔각연화대좌를 기본으로 하였다. 대좌의 일부가 최근에 보수되기는 했지만 세부 처리가 매우 뛰어난 조선시대 대좌 가운데서도 우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대웅전 안에는 그 밖에 최근에 조성한 후불탱과 삼장탱,신중탱,산신탱이 봉안되어 있다. 예전에 걸려 있어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336호로 지정된 후불탱은 1731년(영조 7)에 그린 것인데, 지금은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 동종은 1772년(영조 48)에 만든 것으로 현재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 후기 사찰 동종의 단아함이 잘 묻어나 있다.

수다사 대웅전 벽화

수다사 요사

수다사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시도 유형문화재 제334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형면에서 약간 앞으로 구부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은 무릎과 넓은 무릎폭 등에서 조선 후기 목조불상의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원각사 대세지보살상의 복장유물 가운데 포함된 조성기에 순치 6년이라는 조성시기가 기록되어 있고, 조성기의 종이질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조성시기가 17세기 무렵이라는 점이 확인된다. 이 불상은 미술사적 측면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수다사 대웅전내 벽화

수다사 동종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5호
건륭(乾隆) 37년(1762년)이란 명문(銘文)이 있어 조성연대를 확실히 알 수가 있다. 또한 조선 중기에 조성된 범종이 많이 있지만, 이 수다사 동종은 형태, 크기, 문양에 있어서 조선시대 범종 가운데 우수작에 속한다.

명부전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39호
명부전은 맞배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로 익공계 건축이다. 1750년(영조 26)에 중수하였고 1982년에 전면 중수하였다. 안에는 목조 지장보살좌상과 협시로 무독귀왕·도명존자가 봉안되었고, 그 주위로 시왕 10위, 인왕상 2위, 사자상(使者像) 등을 봉안하였다. 명부전 바깥 처마 아래에 걸려 있는 명부전중수기 현판이 1750년에 기록되었고, 또한 지옥도를 그린 외벽화에 1771년에 해당하는 연호가 적혀 있어 대략 이 무렵에 조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외벽화 지옥도는 이러한 내용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극히 드문 예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전에는 동자상 6위도 있었는데 지금은 직지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운되었다.

수다사 명부전 벽화

수다사 명부전내 지장보살상

수다사 명부전내 시왕상

수다사 명부전내 시왕상

수다사 산신각

수다사 산신각내 산신탱

수다사 전경

수다사 석탑

수다사 삼성각

수다사 삼성각내 독성탱

수다사 삼성각내 칠성탱

수다사 삼성각내 산신탱

수다사 삼성각내 물고기형상의 조각

수다사 요사
수다사 찾아가는 길
구미 시내에서 선산읍을 향한다. 읍을 지나서 무을면 구미 시내에서 절까지 약 50분 걸린다
첫댓글 절이 소박하니 좋네요. 연약이 연악산이군요.
ㅎㅎ 맞아요. 연악산 입니다.
우리 시골가는곳에 있어요...좋은곳,,,귀한것도.. 명부전이 유명,,,, 많아요...정만님,,언제 다녀 오셨데요?..._()()()_
창원하고 가까운 곳에 시골이 있군요. 조만간 창원도 갑니다.
수다사가 상주가는 길목에 있다 이말이지요. 수다사가 좋다는 말씀...
암자에 푸르럼이 짙으니 더욱 좋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