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종업원에게 계획기능을 부여하는 자주관리운동의 하나로 전개된 것으로 종업원들의 주의와 연구를 통해 작업상 발생하는 모든 결함을 없애는 것이다.
zd운동의 기원은 1962년 미국의 마틴사가 미사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납기단축에도 불구하고 종업원의 창의적 노력에 의해 결함없이 미사일을 완성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 운동의 목적은 고객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종업원에게 계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려는 것으로 인간의 사회적 욕구에 착안해 자발적인 행동을 유도하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품질관리 기법을 제조면에만 한정하지 않고 일반관리 사무에까지 학대 적용하여 전사적으로 결점이 없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zd운동의 창안자는 품질경 분야의 선구자인 크로스비(p.b. crosby)이며 그는 <품질은 무료 (quality is free)>라는 저서에서 zd란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보다 경제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품질의 4대 절대원칙 중 하나로 들고 있다.
이후 무결점 운동은 이후 미국 기업의 소집단 활동으로 시작되어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의 산업현장에서 활용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술의 무대에서는 완전무결의 성취가 불가능한 경우가 적지 않으며, 완전무결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비용상승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완전무결은 현실적으로 성취가능할 뿐 아니라 오히려 경제적이다'라는 크로스비의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섭시간에 경영자의 리더십 부족이라고 그랬던 것 같은데..... 일본은 주랑이나 데밍의 품질 교육시 라인계통의 운영자 및 실무 경영진이 교육을 받았지만 미국은 등한 시 했다. 그리고 일본은 품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 것이 지역적 특색 반도국이라는 특성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첫댓글 출처는? "1962년 미국의 마틴사가 미사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납기단축에도 불구하고 종업원의 창의적 노력에 의해 결함없이 미사일을 완성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 후 미국의 경영 기법이 일본에 뒤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섭시간에 경영자의 리더십 부족이라고 그랬던 것 같은데..... 일본은 주랑이나 데밍의 품질 교육시 라인계통의 운영자 및 실무 경영진이 교육을 받았지만 미국은 등한 시 했다. 그리고 일본은 품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 것이 지역적 특색 반도국이라는 특성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리더십과 교육훈련 그리고 지역적 특색에 대해서만 언급하셨는데 기본적으로 TQC가 일본기업에서 성장할 수 밖에 없었던 배경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