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사 : 명찰 내용으로 서로 소개하고 축복하며 포옹합니다.
2. 개막행사 : 복지예술단과 함께 노래, 단기 사회사업 설명, 준비 과정과 향후 계획 설명, 합동연수 안내
3. 기획 교육 : 첫날 저녁 기관별 기획 워크숍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진행합니다. 예컨대 단기 사회사업팀 운영 사례나 모범 계획안(시나리오) 따위를 소재로 교육합니다.
4. 기관별 기획 워크숍 : 기관별 단기 사회사업팀 활동 계획을 정교하게 구체화합니다. 4주간의 팀 운영, 생활에 관한 계획입니다.
5. 복지요결 : 복지요결 본문 곧 사람다움 사회다움사회사업 원론을 강독합니다.
6. 분야론 : 복지관, 시설, 지역아동센터, 홍보사회사업팀으로 나누어 복지관 사회사업론, 시설 사회사업론, 지역아동센터 사회사업론, 홍보 사회사업론을 공부합니다.
7. 분야별 사례학습 : 복지관, 시설, 지역아동센터로 나누어서 진행합니다. 해당 분야 주요 실천 사례들을 공부합니다.
8. 사업별 기획 워크숍 : 복지관, 시설, 지역아동센터, 홍보사회사업팀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이번 방학에 할 단위 사업의 4주간 진행 계획을 정교하게 구체화합니다.
9. 가상 보고서 워크숍 : (기관이나 사업별로 또는 개인별로) 클리어 파일이나 종이로 가상 보고서를 만듭니다. 8월에 온라인에 내놓거나 종이책으로 출판할 책의 틀을 짜고 일부 내용을 채워 넣는 겁니다.
예 : 서문, 목차, 문헌 연구, 선행 사례, 실천 기록,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강점, 배움, 희망과 구상, 당사자와 둘레 사람의 글, 동료들의 글…
이렇게 책의 얼개를 만듭니다. 앞표지와 등에 책 이름을 쓰고 꾸밉니다. 속지에 서문과 목차를 쓰고 본문 적당한 곳에 큰 제목 중간 제목을 써넣습니다. 이것을 동료와 나눕니다. 동료가 생각이나 정보를 보태 줍니다. 자기 책 구상을 설명하거나 책을 서로 돌려 보면서 다듬거나 구체화하는 겁니다.
10. 자율 활동 : 산책 하거나, 가상 보고서를 다듬거나, 교회·성당·사찰에 가거나, 다른 팀과 교류하거나, 충주지역 관광명소를 가 봅니다.
11. 공연과 파티 : ‘이벤트 사회사업 전문 회사 – 함께’와 복지예술단의 진행으로 공연을 함께 즐깁니다.
12. 출판기념회 : 몇 건을 선정하여 가상 출판 기념회를 합니다. 단기 사회사업을 잘 마치고 보고서까지 출판했다고 가정하고 출판기념회를 합니다. 진짜 그날인 것처럼, 진짜 출판기념회처럼, 출판 소감을 발표하고 책을 소개합니다. 감사 축하합니다. 기념사진도 찍습니다.
13. 가상 보고서에 편지 써 주기 : 모든 가상 보고서를 강당에 전시합니다. 둘러보며 편지(C-sheet)를 넣어 주거나 댓글(포스트잇)을 붙여 줍니다.
14. 배움과 희망 나눔 :
1) 배움 나눔 : 이번 방학 단기 사회사업(실습)을 준비할 때부터 합동연수 마칠 때까지 얻은 배움, 곧 책에서 보았거나 강의를 들었거나 실무자와 동료에게 배웠거나 스스로 깨달은, 발전 심화 정교화한 지식 기술 지혜 따위의 배움 가운데 두어 가지 골라서 동료들과 나눕니다.
2) 희망 나눔 : 단기 사회사업(실습) 현장에 가서 4주간 어떻게 하고(지내고) 싶은지 나눕니다. 남은 학창시절을 어떻게 배우고 누리고 싶은지, 졸업 후에 사회사업 어떻게 하고 싶은지 이야기해도 좋습니다. 동료들이 안아 주며 응원 축복합니다.
15. 폐막행사 : 복지예술단과 함께 노래, 작별 인사(축복 포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