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8월 29일 주일
(녹) 연중 제22주일
(녹) Twenty-second Sunday in Ordinary Time
굿뉴스 추천 성가
입당 성가영성체 성가예물준비 성가파견 성가
24번 | 내 맘의 천주여 | 340번 | 봉헌 |
219번 | 주여 몸과 맘 다 바치오니 | 496번 | 주님은 우리 사랑하셨네 |
212번 | 너그러이 받으소서 | 501번 | 받으소서 우리 마음 |
164번 | 떡과 술의 형상에 | ||
455번 | 주님을 따르려 모여 있는 우리 |
입당송
시편 86(85),3.5
당신께 온종일 부르짖사오니, 주님,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주님, 당신은 어질고 용서하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에게 자애가 넘치시나이다.<대영광송>
본기도
모든 선의 근원이신 하느님,
저희에게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을 심으시어
생생한 믿음으로 은총의 씨앗이 자라나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좋은 열매를 맺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말씀의 초대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가 내리는 주 하느님의 명령을 잘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제1독서). 야고보 사도는 말씀을 듣기만 하지 말고 실행하는 사람이 되라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에게,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킨다며,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 그를 더럽힌다고 하신다(복음).
로렌초 모나코, 모세, LORENZO Monaco, Moses, 1408-10, Tempera on panel, 63 x 45 c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모세, Michelangelo Buonarroti, Moses, 1515, Marble, height 235cm, S. Pietro in Vincoli, Rome 이탈리아 로마 성 피에트로 쇠사슬 성당
장 뒤베, 모세와 원로들, Jean Duvet, Moses and the Patriarchs, 1540s, Engraving, British Museum, London. 영국 런던 브리티시 박물관
제1독서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말에 무엇을 보태서는 안 된다. 주님을 명령을 지켜야 한다.>
▥ 신명기의 말씀입니다.
4,1-2.6-8
모세가 백성에게 말하였다.
1 “이스라엘아, 이제 내가 너희에게 실천하라고 가르쳐 주는
규정과 법규들을 잘 들어라.
그래야 너희가 살 수 있고,
주 너희 조상들의 하느님께서 너희에게 주시는 땅에 들어가
그곳을 차지할 것이다.
2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말에 무엇을 보태서도 안 되고 빼서도 안 된다.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내리는 주 너희 하느님의 명령을 지켜야 한다.
6 너희는 그것들을 잘 지키고 실천하여라.
그리하면 민족들이 너희의 지혜와 슬기를 보게 될 것이다.
그들은 이 모든 규정을 듣고,
‘이 위대한 민족은 정말 지혜롭고 슬기로운 백성이구나.’ 하고 말할 것이다.
7 우리가 부를 때마다 가까이 계셔 주시는,
주 우리 하느님 같은 신을 모신 위대한 민족이 또 어디에 있느냐?
8 또한 내가 오늘 너희 앞에 내놓는 이 모든 율법처럼
올바른 규정과 법규들을 가진 위대한 민족이 또 어디에 있느냐?”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Reading 1
Dt 4:1-2, 6-8
Moses said to the people:
“Now, Israel, hear the statutes and decrees
which I am teaching you to observe,
that you may live, and may enter in and take possession of the land
which the LORD, the God of your fathers, is giving you.
In your observance of the commandments of the LORD, your God,
which I enjoin upon you,
you shall not add to what I command you nor subtract from it.
Observe them carefully,
for thus will you give evidence
of your wisdom and intelligence to the nations,
who will hear of all these statutes and say,
‘This great nation is truly a wise and intelligent people.’
For what great nation is there
that has gods so close to it as the LORD, our God, is to us
whenever we call upon him?
Or what great nation has statutes and decrees
that are as just as this whole law
which I am setting before you today?”
화답송
시편 15(14),2-3ㄱ.3ㄴㄷ-4ㄱㄴ.5(◎ 1ㄱ)
◎ 주님, 당신의 천막에 누가 머물리이까?
○ 흠 없이 걸어가고, 의로운 일을 하며, 마음속 진실을 말하는 이, 함부로 혀를 놀리지 않는 이라네. ◎
○ 친구를 해치지 않으며, 이웃을 모욕하지 않는 이라네. 그는 악인을 업신여기지만, 주님을 경외하는 이들은 존중한다네. ◎
○ 이자를 받으려 돈놀이 않으며, 죄 없는 이를 해치는 뇌물 받지 않는다네. 이 모든 것 행하는 그 사람, 영원토록 흔들림 없으리라. ◎
Responsorial Psalm
Ps 15:2-3, 3-4, 4-5
R. (1a) The one who does justice will liv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Whoever walks blamelessly and does justice;
who thinks the truth in his heart
and slanders not with his tongue.
R. The one who does justice will liv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Who harms not his fellow man,
nor takes up a reproach against his neighbor;
by whom the reprobate is despised,
while he honors those who fear the LORD.
R. The one who does justice will liv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Who lends not his money at usury
and accepts no bribe against the innocent.
Whoever does these things
shall never be disturbed.
R. The one who does justice will liv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알론소 카노, 성 대 야고보, Alonso Cano, St James the Greater, c. 1635, Oil on canvas, 54 x 36 cm, Musée du Louvre, Paris.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엘 그레코, 사도 성 대 야고보, El Greco, Apostle St James the Greater, 1610-14, Oil on canvas, 97 x 77 cm, Museo de El Greco, Toledo. 스페인 톨레도 엘그레코 미술관
제2독서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 야고보서의 말씀입니다.
1,17-18.21ㄴ-22.27
나의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17 온갖 좋은 선물과 모든 완전한 은사는 위에서 옵니다.
빛의 아버지에게서 내려오는 것입니다.
그분께는 변화도 없고 변동에 따른 그림자도 없습니다.
18 하느님께서는 뜻을 정하시고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시어,
우리가 당신의 피조물 가운데 이를테면 첫 열매가 되게 하셨습니다.
21 그러므로 여러분 안에 심어진 말씀을 공손히 받아들이십시오.
그 말씀에는 여러분의 영혼을 구원할 힘이 있습니다.
22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말씀을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사람이 되지 마십시오.
27 하느님 아버지 앞에서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은,
어려움을 겪는 고아와 과부를 돌보아 주고,
세상에 물들지 않도록 자신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Reading 2
Jas 1:17-18, 21b-22, 27
Dearest brothers and sisters:
All good giving and every perfect gift is from abov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lights,
with whom there is no alteration or shadow caused by change.
He willed to give us birth by the word of truth
that we may be a kind of firstfruits of his creatures.
Humbly welcome the word that has been planted in you
and is able to save your souls.
Be doers of the word and not hearers only, deluding yourselves.
Religion that is pure and undefiled before God and the Father is this:
to care for orphans and widows in their affliction
and to keep oneself unstained by the world.
복음 환호송
야고 1,18 참조
◎ 알렐루야.
○ 하느님 아버지는 뜻을 정하시고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시어 우리가 피조물 가운데 첫 열매가 되게 하셨네.
◎ 알렐루야.
Alleluia
Jas 1:18
R. Alleluia, alleluia.
The Father willed to give us birth by the word of truth
that we may be a kind of firstfruits of his creatures.
R. Alleluia, alleluia.
얀 로이켄, 바리사이와의 토론, Jan Luyken, Jesus 12. Disputes with the Pharisees, Phillip Medhurst Collection
자메 티소, 바리사이들을 꾸짖음, James Tissot, Curses Against the Pharisees, 1886-1894, Opaque watercolor over graphite on gray wove paper, 16.2 x 23.8 cm, Brooklyn Museum, New York. 미국 뉴욕 브루클린미술관
에른스트 짐머만, 바리사이와 토론 중인 예수, Ernst Christoph Philipp Zimmermann, Jesus' Controversy with Pharisees, (catholictruth.net)
복음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7,1-8.14-15.21-23
그때에 1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예수님께 몰려왔다가,
2 그분의 제자 몇 사람이 더러운 손으로, 곧 씻지 않은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보았다.
3 본디 바리사이뿐만 아니라 모든 유다인은 조상들의 전통을 지켜,
한 움큼의 물로 손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으며,
4 장터에서 돌아온 뒤에 몸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 밖에도 지켜야 할 관습이 많은데,
잔이나 단지나 놋그릇이나 침상을 씻는 일들이다.
5 그래서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예수님께 물었다.
“어째서 선생님의 제자들은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더러운 손으로 음식을 먹습니까?”
6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이사야가 너희 위선자들을 두고 옳게 예언하였다.
성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다.
7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
8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14 그러고 나서 예수님께서는 다시 군중을 가까이 불러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모두 내 말을 듣고 깨달아라.
15 사람 밖에서 몸 안으로 들어가 그를 더럽힐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오히려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 그를 더럽힌다.
21 안에서 곧 사람의 마음에서 나쁜 생각들, 불륜, 도둑질, 살인,
22 간음, 탐욕, 악의, 사기, 방탕, 시기, 중상, 교만, 어리석음이 나온다.
23 이런 악한 것들이 모두 안에서 나와 사람을 더럽힌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신경>
Gospel
Mk 7:1-8, 14-15, 21-23
When the Pharisees with some scribes who had come from Jerusalem
gathered around Jesus,
they observed that some of his disciples ate their meals
with unclean, that is, unwashed, hands.
—For the Pharisees and, in fact, all Jews,
do not eat without carefully washing their hands,
keeping the tradition of the elders.
And on coming from the marketplace
they do not eat without purifying themselves.
And there are many other things that they have traditionally observed,
the purification of cups and jugs and kettles and beds. —
So the Pharisees and scribes questioned him,
“Why do your disciples not follow the tradition of the elders
but instead eat a meal with unclean hands?”
He responded,
“Well did Isaiah prophesy about you hypocrites, as it is written:
This people honors me with their lips,
but their hearts are far from me;
in vain do they worship me,
teaching as doctrines human precepts.
You disregard God’s commandment but cling to human tradition.”
He summoned the crowd again and said to them,
“Hear me, all of you, and understand.
Nothing that enters one from outside can defile that person;
but the things that come out from within are what defile.
“From within people, from their hearts,
come evil thoughts, unchastity, theft, murder,
adultery, greed, malice, deceit,
licentiousness, envy, blasphemy, arrogance, folly.
All these evils come from within and they defile.”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물기도
주님,
저희가 드리는 예물을 거룩하게 하시고
이 제사로 거행하는 구원의 신비가
성령의 힘으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감사송
<연중 주일 감사송 7 : 그리스도의 순종과 우리의 구원>
거룩하신 아버지,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주 하느님,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세상을 더없이 사랑하시어
그리스도를 저희에게 구세주로 보내 주시고
죄 말고는 저희와 똑같은 처지에서 살게 하셨나이다.
그리하여 성자를 사랑하셨듯이 저희를 사랑하시고
저희가 순종하지 않아 죄를 지어 깨뜨린 계약을
성자의 순종으로써 다시 맺어 주셨나이다.
그러므로 주님, 모든 천사와 성인과 함께
저희도 주님을 찬양하며 환호하나이다.
영성체송
시편 31(30),20 참조
주님,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 위해 간직하신 그 선하심, 얼마나 크시옵니까!
<또는>
마태 5,9-10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리리라.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주님의 식탁에서 성체를 받아 모시고 비오니
이 성사의 힘으로 형제들을 사랑하며 주님을 섬기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오늘의 묵상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예수님께 몰려왔다가 그분의 제자 몇 사람이 씻지 않은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봅니다. “어째서 선생님의 제자들은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더러운 손으로 음식을 먹습니까?”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말하는 손 씻는 문제는 율법이 아닙니다. 오경 그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기에, 그들은 ‘조상들의 전통’이라고 한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사막 지대라 먼지바람이 많고 물이 귀한 곳입니다. 따라서 외출하고 돌아와서나 음식을 먹기 전에 몸을 씻는 것은 위생에 큰 도움을 주는 규정입니다. 그런데 이 규정이 왜 예수님과 제자들을 공격하는 수단이 될까요?
법의 자구 하나하나를 잘 지키는 것보다 그 정신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율법이 존재하고 지켜지는 이유는, 이스라엘 백성이 그들을 죽음의 땅에서 구출하시고 생명의 땅으로 들어가 살게 해 주신 하느님을 기억하고, 그분과 함께 살고 있음을 깨닫게 하고자 함입니다. 그런데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은 그 정신이 아니라 문자를 제 나름대로 해석하여 규칙을 더해 가고, 그것이 하느님의 뜻이라며 백성에게 강요합니다. 이 규칙들은 몇백 년의 시간을 거치며 ‘위대한 조상들의 전통’이 되어 백성을 옥죄입니다.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고 백성을 차별하고, 죄인 취급하며 폭력을 휘두르게 된 것입니다.
모든 규정과 율법은 그 기본 정신에 따라, ‘죽음의 땅에서 울부짖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느님께서 다가가시어 그들을 살리셨듯이’, 고통으로 울부짖는 이들에게 다가가고 그들을 살리는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성당이나 사회에서 지키고자 하는 것들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끊임없이 되물어야 합니다.
(서철 바오로 신부)
천주교 서울대교구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