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신학을 석명(釋明)한 신학자, 박윤선
이상규 (고신대 교수)
Ⅰ. 개혁주의 신학자 박윤선
한국교회에는 몇 가지 신학적 조류가 있어 왔다. 연세대학교의 유동식 교수는 그의 『한국신학의 광맥』에서 한국개신교 신학의 흐름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 ‘진보적 사회 참여의 신학’, 그리고 ‘종교적 자유주의 신학’으로 대별하고,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에 초석을 놓은 이로 길선주(吉善宙)와 박형룡(朴亨龍)을, 진보적 사회 참여의 신학의 초석을 놓은 이로 윤치호(尹致昊)와 김재준(金在俊)을, 종교적 자유주의 신학의 초석을 놓은 이로 최병헌(崔炳憲)과 정경옥(鄭景玉)을 들었다. 위의 3가지 조류는 한국교회 신학의 태동기를 중심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그 이후의 한국교회 신학적 조류를 정교하게 구분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유동식의 분류를 따른다면 길선주와 박형룡으로 대표되는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이 초기 한국교회의 신학이었고 한국교회 신학! 적 전통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전통이 이 글에서 말하려는 ‘개혁주의 신학’을 포함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개혁주의 신학은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과는 다르다.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은 1920년대 미국교회의 신학논쟁에서 분명하게 석명된 신학으로서 문화와 사회에 대한 분리주의적, 반지성주의적 성격이 있고, 문화에 대한 책임을 경시한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과 선택, 하나님의 영광을 신자의 삶의 목표로 여기기 때문에 개혁주의자들은 삶의 전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문화적 사명을 중시하는 신학이다. 이 신학이 한국교회 초기 선교사들의 사상에서 연원하지만 이 신학을 보다 분명히 해설하고 한국교회 현실에서 체계화한 이는 박윤선(朴允善, 1905∼1988) 박사였다고 볼 수 있다. 박윤선은 40여년 간의 교육활동과 저술, 성경주석의 집필, 목회활동을 통해 개혁주의 신학을 소개하고, 해명•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혁주의적 삶을 통해 한국교회에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에 대한 모범을 보여 주었다.
Ⅱ.그의 신학적 여정
1905년 평북 철산군에서 출생한 박윤선은 선천의 신성중학교를 거쳐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34년 신학교를 졸업하고, 두 차례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 유학하였다(1934∼1936, 1938∼1939). 특히 이 기간 동안 메이첸(J. Gresham Machen, 1881∼1937)의 문하에서 헬라어 공부와 신학 연구에 주력하였다. 박윤선는 2차 미국 유학시에는 반틸(Conelius van Til)의 문하에서 변증학을 배웠는데, 반틸의 영향으로 신학이란 어떤 자연론적인 유추나 철학적 사변에서 출발하지 않고 삼위일체 하나님을 전제한 성경계시에서 출발하는 전제주의(presup-positionalism)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또 반틸의 신학이 근거하고 있는 바빙크의 교의학을 접하게 되는데, 이것은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그의 첫 신학 논문인 “빨트의! 성경관에 대한 비평”과 그의 두 번째 신학 논문인 “빨트의 계시관 비평”은 이런 훈련의 결과였다. 박윤선의 철저한 계시의존사색도 이런 교육을 통해 얻는 것이었다. 그가 1936년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얻고 귀국하여 평양신학교에서 원어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신학교육의 시작이었다. 그가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 두 번째 유학하던 중 제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잠시 일본에 체류하다가 만주 봉천으로 갔는데, 1940년 3월 이 곳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또 봉천에 소재한 한인교회 교역자 양성기관인 만주신학원에서 박형룡과 함께 교수로 봉사했다.
해방과 함께 귀국한 박윤선은 1946년부터 1960년까지 14년간 고려신학교 교수 혹은 교장으로 봉사했다. 그가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교수로 봉직하고 있던 1953년 10월에는 화란 자유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는데, 이 때 그의 나이는 48세였다. 아내의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급거 귀국함으로써 화란에 체류한 기간은 불과 6개월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화란의 개혁신학을 직접 접하게 되고, 이 신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사실 박윤선은 화란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글을 섭렵하고 한국교회에 소개한 최초의 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가 화란학자들의 글을 접한 것은 화란 유학 시절이 아니라 1935년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유학시절이었다. 그는 이 때 화란의 개혁주의 신학에 심취하여 독학으로 화란어를 해독할 수 있게 되었고, 바빙크의 『교회교의학』(Gereformeerde Dogmatiek)을 접했는! 데, 그는 이 책을 가장 애독했다고 한다. 박윤선이 보수주의 신학자 박형룡(朴亨龍, 1897∼1979)과 다른 한 가지는, 박형룡은 미국의 구 프린스톤 신학(Old Princeton Theology)을 한국장로교회의 전통으로 확립하고 이를 보수하려는 입장이었으나, 박윤선은 화란에서 발전된 개혁주의 신학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는 점이다. 즉, 그는 구 프린스톤 신학에서 웨스트민스터신학교로 이어지는 미국 장로교 전통의 개혁주의 신학과, 특히 19세기 화란에서 발전된 개혁주의 신학, 이 두 흐름을 적절히 종합하였고, 이를 한국교회 현장에 이식하고 개화시켰다는 점이다. 박형룡은 정통주의, 보수주의 혹은 근본주의라는 용어를 선호이고 이를 혼용하였으나, 박윤선은 개혁주의 혹은 개혁파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이를 빈번히 사용하였다.
그가 고려신학교 교수로 봉직하고 있을 때인 1954년 9월에는 고려신학교 설립자인 한상동 목사와 같이 미국 훼이스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명예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6년부터 1960년까지 14년간 고려신학교에서 가르쳤던 박윤선은 1960년 고려신학교 교장 및 교수직을 사임하고, 1960년부터 1963년까지는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서 동산교회를 설립하고 목회자로 활동했다. 이 기간은 하나님의 말씀은 건조한 이론이 아니라 생명과 기쁨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는 기회였다고 술회했다. 1963년 총회신학교(현 총신대학교) 교수로 초빙받은 그는 이 때부터 1980년까지 이 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1979년에는 설립 50주년을 맞는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다시 명예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것은 그간의 그의 신학연구와 교육에 대한 인증이었다. 1980년 10월 말에?! ? 총신대학 대학원장직을 사임하고 김명혁, 신복윤, 윤영탁 등과 합동신학교를 설립하여 원장 혹은 교수로 봉사하였고, 명예원장으로 계시다가 1988년 6월 30일 세상을 떠났다.
대구밀알감리교회♡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