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42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질병통계 사망원인통계 즐겨찾기
본질적 양상은 재발성 강박관념과 강박행위이다. 강박관념이란 환자의 생각을 판에 박은 일정한 형태로 몰입하려는 사상, 개념이나 충동으로서, 그것들은 환자에게는 근심거리가 되어 번번이 실패하지만 이겨내려 노력한다. 그 관념은 본의 아니고 모순적이지만 환자 자신의 생각이라고 인지한다. 강박행동이나 의식은 자꾸 반복되는 판에 박은 듯한 것이다. 그러한 행위는 유쾌하지도 못하며 유용한 일의 수행도 되지 못한다. 그 환자에 있어서 강박행위의 기능은 발생을 두려워하는 어떠한 일; 자신에게 해를 주거나 자신에 의해 생길지도 모르는 일을 방지하는 역할이다. 보통 강박행동은 무의미하고 쓸데없는 듯 인지되어 환자는 저항을 반복적으로 시도하게된다. 불안이 거의 변함 없이 나타나며 강박행위를 막으면 불안은 더 심해진다.
강박반응성 신경증Anankastic neurosis
강박신경증Obsessive-compulsive neurosis
강박성 인격장애(F60.5)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F42.0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Predominantly obsessional thoughts or ruminations즐겨찾기
환자에게 근심이 되는 생각이나 영상, 행위충동 등의 형태를 나타낸다. 결정이 필요한 매일 매일의 생활을 사소하게 여기지 못하여 결정을 못내리고 끝없는 양자택일 속에서 헤매게 된다. 강박성 되새김과 우울병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우울성 에피소드가 없는 되새김일 때만 강박성 장애라고 진단할 수 있다.
F42.1현저한 강박행위[강박적 의식(儀式)]Predominantly compulsive acts [obsessional rituals]즐겨찾기
강박행위의 대부분은 씻는 것(특히 손을 씻음), 잠재적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복하여 점검하거나, 질서정연함과 단정함 등과 관련이 있다. 모호한 공개적 행동은 환자에게 또는 환자에 의해 일어날 위험의 공포이며 위험을 피하기 위해 무익하며 상징적인 의식을 행하게 된다.
F42.2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Mixed obsessional thoughts and acts즐겨찾기
F42.8기타 강박장애Oth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즐겨찾기
F42.9상세불명의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unspecified즐겨찾기
F43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첫댓글 https://cafe.daum.net/insuranceprofit/Bo3H/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