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신동엽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송이 없이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네가 본 건, 먹구름
그걸 하늘로 알고
일생을 살아갔다.
네가 본 건, 지붕 덮은
쇠항아리,
그걸 하늘로 알고
일생을 살아갔다.
닦아라, 사람들아
네 마음 속 구름
찢어라, 사람들아,
네 머리 덮은 쇠항아리.
아침 저녁
네 마음 속 구름을 닦고
티 없이 맑은 영원의 하늘
볼 수 있는 사람은
외경(畏敬)을
알리라.
아침 저녁
네 머리 위 쇠항아릴 찢고
티 없이 맑은 구원(久遠)의 하늘
마실 수 있는 사람은
연민(憐憫)을
알리라.
차마 삼가서
발걸음도 조심
마음 모아리며.
서럽게
아, 엄숙한 세상을
서럽게
눈물 흘려
살아가리라.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자락 없이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고대문화>(1969)-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현실 참여적, 비판적, 저항적, 남성적, 격정적
◆ 표현
* 행간걸림의 기법을 통해 화자의 미세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의미의 다양한
울림을 얻음.
* 대립적 이미지로 주제를 부각시킴.(맑은 하늘 ↔ 먹구름, 쇠항아리)
* 단정적이고 강렬한 명령형의 어조로 저항적 의미를 드러냄.
* 시간의 흐름(과거→현재→미래)에 따른 시상 전개
* 경건한 정서와 의지적 태도
* 수미상관의 구조를 통해 주제 의식을 강조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하늘
→ 자유와 평화를 누리면서 인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사회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이 땅의 민중들은 아직 한번도 맑은 하늘 아래서 마음껏 자유와 평화를 누리며 살지
못했음을 의미, 설의법
* 먹구름 → 암담한 현실 상황
* 머리 덮은 쇠 항아리
→ 인간 본연의 삶을 억누르는 외부적인 요소
억압과 구속의 상황, 억눌려 살아야 했던 역사적 상황
* 닦아라, 사람들아 / 네 마음 속 구름 / 찢어라, 사람들아 / 네 머리 덮은 쇠 항아리
→ 상황의 극복을 위한 민족사적 과제 제시(이 시의 핵심에 해당함)
자유와 평화를 추구하며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행동에 대한 촉구(명령형)
* 외경(공경과 두려움)을 알리라
→ 진정한 자유와 평화가 얼마나 존엄하고 귀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 연민을 알리라
→ 진정한 자유와 평화의 가치를 모르고 사는 사람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느낄 것이다.
* 차마 삼가서 / 발걸음도 조심 / 마음 모아리며 // 서럽게 / 아, 엄숙한 세상을 / 서럽게 /
눈물 흘려
→ 자유와 평화가 없는 세상에서 서러움을 당하며 인고의 나날을 살 수밖에 없는 민족의
슬픈 현실
* 살아가리라.
→ ( 진정한 하늘을 볼 수 있을 때까지 )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함.
* 9연
→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세상이 아직 오지 않았으며,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
◆ 제재 : 하늘
◆ 주제 : 인간 본연의 참된 삶의 현장 갈구
구속과 억압의 역사를 비판하고 밝은 미래를 염원함.
[시상의 흐름(짜임)]
◆ 1∼3연 : 암울했던 과거의 삶(과거)
◆ 4∼6연 : 현실 극복의 결의 촉구(현재)
◆ 7∼8연 : 인고의 삶 - 현실극복의 의지(현재)
◆ 9연 : 밝은 미래의 희원(미래)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세상의 진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일생을 살아가는 민중들의 고단한 삶에 대한 시인의 슬픔과 애정을 표현한 작품으로, 장편 서사시 <금강>에 삽입(제9장 첫머리)되기도 하였다.
이 시의 중심 모티프는 먹구름 낀 하늘 아래에서 머리에 쇠항아리를 덮고 살아야만 했던 이 땅의 민중들의 삶이다. 이 시에서 '맑은 하늘'은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참세상을 말하며, 이에 대립되는 '먹구름'은 '지붕 덮은 쇠항아리'와 함께 민중들을 구속하고 억압하는 암담한 현실 상황을 상징한다. 4연에서 시적 화자는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민족사적 과제를 '먹구름을 닦고 쇠항아리를 찢는 것'으로 제시하면서, 그렇게 해야만 그들이 삶의 외경과 연민을 아는 참다운 인간적인 삶을 누릴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시적 화자는 자유와 평화를 상실하고 인고의 나날을 살아왔던 민중들의 삶을 돌아보며, 자신이 꿈꾸는 세상이 아직도 도래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현실 극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대립적 시어의 상징적 의미
이 시의 핵심이 되는 시어는 '하늘'과 '먹구름', 그리고 '쇠항아리'이다. 먼저 '하늘'은 1960년대의 민중들이 추구했던 닫힌 시대적 상황에서의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것을 상징한다. 그리고 '먹구름'과 '쇠항아리'는 민중이 진짜 하늘을 볼 수 없게 하는 방해물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쇠항아리'의 '쇠'는 우선 군사정권하의 총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즉, 우리 민족에게 시련을 주는 부정적인 존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항아리는 무언가를 덮는 이미지로 하늘을 보지 못하게 밝은 시야를 가리는 부정적 역할을 한다.
◆ 민중에 대한 연민과 애정
이 시는 이땅에 살고 있는 민중들의 역사적, 사회적 삶과 관련이 있다. 이 땅의 민중들이 한 번도 자유와 평화를 누리고 마음껏 이상을 펼칠 수 있는 삶을 살아보지 못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여 쓰여진 작품이다. 즉, 한번도 제대로 자유를 누리지 못한 삶을 살아온 백성들에 대한 따뜻한 애정에서 이 시는 출발한다. 시인은 '누가 구름 한 송이 없는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라고 묻고 있는데 이는 현재 상황으로는 도저히 맑은 하늘을 볼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한 맑은 하늘은 1894년 동학 농민 혁명, 1919년 3월 1일 독립 운동, 1960년 4 · 19 혁명에만 잠깐 빛이 났을 뿐이다. 시인은 진정으로 순수한 인간 본연의 마음, 이상적 현실을 염원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소개]
신동엽 : 시인
출생 : 1930. 8. 18. 충청남도 부여
사망 : 1969. 4. 7.
가족 : 아들 신좌섭
데뷔 :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작품 : 도서, 기타
충청남도 부여(扶餘) 출생.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건국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고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장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大地)》가
당선되어 데뷔하였다. 이후 1961년부터 명성여고 야간부 교사로 재직하면서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하고, 허구성을 비판하는 시를 짓기 시작한다.
그 후 아사녀(阿斯女)의 사랑을 그린 장시 《아사녀》, 동학농민운동을
주제로 한 서사시 《금강(錦江)》 등 강렬한 민중의 저항의식을 시화(詩化)하였으며,
시론(詩論)과 시극(詩劇)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시론으로는 《시인정신론(詩人精神論)》
등이 있고,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은 시극동인회에 의해 상연되었다.
특히 4·19혁명의 정신을 되새기며, 인간 본연의 삶을 찾기를 희망한
시 <껍데기는 가라>를 《52인 시집》(1967)에 간행하며 그의 시적 저항정신은
더욱 확고해졌다. 1969년 4월 간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약 20여 편의 시를
발표했으며, 사후 유작을 모아 간행된 《신동엽전집》(1975)이 있다.
주요작품으로 《삼월(三月)》 《발》 《껍데기는 가라》 《주린 땅의 지도원리(指導原理)》
《4월은 갈아 엎는 달》 《우리가 본 하늘》 등이 있고, 유작(遺作)으로
통일의 염원을 기원하는 《술을 마시고 잔 어젯밤은》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동엽 [申東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