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환율이 38년 만의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엔화 상승을 노린 투자자들도 패닉에 빠졌다. 환차익을 노린 투자는 삼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엔화 약세가 심각해지면서 일본 수출품과 경쟁하는 한국 수출업계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엔화 예금 잔액은 지난달 27일 기준 1조 2924억엔으로 지난해 말의 1조 1330억엔과 비교해 1594억엔 늘었다. 일본 증시 투자액도 신기록을 경신 중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5월 일본 증권 보관금액은 41억 2340만 6676달러로 예탁결제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는 환차익을 노린 투자수요 증가 때문이다. 지금 엔화와 엔화 표시 자산을 사두면 향후 엔화가 과거 수준으로 정상화됐을 때 환차익을 노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문제는 바닥일 것으로 보였던 엔화 환율이 최근 더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0엔당 원화 환율은 1월 2일 919.69원에서 지난달 28일 855.6원으로 6.9% 상승했다. 올해 초 원화를 엔화로 바꿨다면 7% 가까운 손실을 낸 셈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달러 대비 엔화의 하락폭은 다소 과도하지만 통화가치는 복잡한 거시경제변수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저가매수 전략을 취하다 낭패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엔화가 언제 얼마나 재상승할지 예측하기 어려워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면 큰 손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엔화 약세 심화는 한국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포인트 떨어지면 한국의 수출가격은 0.41 포인트, 수출량은 0.2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시장에서 일본 상품의 가격이 낮아져 한국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산업마다 영향에는 차이가 있다. 한국무역협회가 집계한 한일 수출경합도를 보면 2022년 전 산업경합도는 0.458이었지만 석유제품의 경우 0.827에 달했다. 자동차·부품 수출경쟁도가 0.658로 뒤를 이었고 선박이 0.653, 기계류가 0.576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 경합도는 1에 가까울수록 수출시장에서 경합하는 품목의 비중이 크다는 의미다.
수입시장의 경우 엔화 약세를 등에 업은 철강제품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한국 철강업계를 위협하고 있다. 중국은 가격을, 일본은 품질을 내세우는 것이 기존 구도였지만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까지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