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無愁翁)
근심이나 걱정없이
지내는 복 많은, 늙은이
라는 뜻이다.
무수옹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함께 생각을 나누
고자 합니다.
옛날에 근심 걱정이
없는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노인에게는 열세명
의 자녀가 있었습니다.
아들 열둘에 딸이 한
명이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혼인을
해서 아들 딸 낳고서
유복하게 살았습니다.
그리고 하나같이 부모
에 대한 효성이 지극
했습니다.
어느 날 열세 남매가
모여서 부모님 모실 일
을 의논했습니다.
맏아들을 비롯한 열세
남매 모두가 부모님을
모시겠다고 나섰습니다.
결국 열세 남매가
돌아가면서 부모님을
모시기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열두 형제가 돌아가면
서 한 달씩 부모님을
모시고 4년마다 한번씩
윤달이 찾아오면 딸이
부모님을 모시기로
했습니다.
노인은 유람을 다니듯
한 달에 한 번씩 자식
집들을 옮겨다니며
극진한 대접를
받았습니다.
가는 곳마다 따뜻한 방
과 맛있는 음식, 그리고
손주들의 재롱이 노인
을 반겼습니다.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면서 감탄하며 한
마디씩 했습니다.
정말 근심 걱정이란
없는 노인이야”.그러니
무수옹(無愁翁)이지!
무수옹에 대한 소문은
돌고 돌아 임금의 귀에
까지 들어갔습니다.
“임금인 나에게도 근심
걱정이 적지 않은데
근심 없는 노인이라니
이게 무슨 말인고?
한번 만나보고 싶으니
불러들여라” 그렇게
해서 무수옹은 임금앞
에 불려갔습니다.
“정말 그대는 아무 걱정
이 없단 말이오?"
“몸이 건강하고 자식이
번창하며 먹고 입는 데
걱정이 없으니 마음에
거리낄 일이 없습니다.”
그러자 임금은 탄복을
하면서 무수옹에게
오색이 찬란한 구슬
하나를 선물로 내주
었습니다.
내가 주는 정표이니
다시 만날 때까지 잘
간직하도록 하오.”
황감합니다”
무수옹은 임금한테서
귀한 선물을 받아들고
대궐을 나서서 집으로
향했습니다.
집으로 가는 길에는 강
이 하나 있어 배를 타고
건너야 했습니다.
무수옹이 배에 올라타
자 뱃사공이 노를 저어
가면서 물었습니다.
“노인장은 어디를
다녀오시는 길입니까?”
허허. 대궐에 가서
임금님을 뵙고 오는
길이라오. 이렇게
선물까지 받았지요”
그러면서 노인은
뱃사공에게 오색이
찬란한 구슬을 보여주
었습니다. 그런데 사공
이 구경 좀 하겠다며
구슬을 받아서 만지다
가 강물에 빠뜨려 버리
고 말았습니다.
“아이구, 이걸 죄송해서
어쩝니까? 귀한
물건인데…….!”
무수옹은 깜짝 놀라
당황했지만 금방 체념
한 듯 말했습니다.
“어쩌겠습니까? 일부러
그런 것도 아닌걸요”
하지만 거기에는 숨겨
진 내막이 있었습니다.
임금이 미리 아랫사람
을 시켜서 사공으로
하여금 그 구슬을 강물
에 빠뜨리도록 한
것이었습니다.
노인에게 근심거리를
만들어 보기 위한
술책이었습니다.
무수옹이 구슬을 잃어
버리고 집에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임금
이 무수옹을 부른다는
전갈이 왔습니다. 전에
임금이 하사하신 구슬
을 반드시 가지고
오시라고 합니다.
그러자 무수옹은 그만
아주 난처한 지경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임금이 특별히 하사한
구슬을 소홀히 다루다
가 잃어버렸으니 큰 벌
을 받게 될 것이 분명
했습니다. 소식을 들은
열세 남매가 함께
모였습니다.
머리를 맞대고 함께
걱정을 했지만 뾰족한
방법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자 무수옹이
말했습니다.
“걱정들 말거라 어떻게
든 되겠지....”
그때 무수옹의 맏며느
리가 한자리에 모인
식구들 음식상을 차리
려고 생선을 여러마리
사가지고 왔습니다.
며느리가 무심코 생선
배를 가르는데 한 마리
뱃속에서 이상한 구슬
이 또르르 굴러 나왔
습니다.
이것 좀 보세요 글쎄
생선 뱃속에서 이게
나왔어요”
그러자 무수옹이 그
구슬을 보고서 말했습
니다. “얘야! 바로 그거
야! 그게 바로 임금님이
주신 구슬이란다” 그러
자 식구들이 다들 웃으
며 손뼉을 쳤습니다.
그리고 차린 음식을
맛있게 나누어
먹었습니다.
무수옹은 구슬을 품에
간직한 채 대궐로
들어갔습니다.
무수옹이 아무 근심도
없는 표정으로 임금
앞으로 나아가자 임금
이 의아하게 여기면서
말했습니다. 그 동안 잘
지냈는지 궁금하오?
내가 준 구슬은 잘 가지
고 있겠지요?”
“물론입니다” 무수옹은
품에서 오색찬란한
구슬을 꺼내 내밀
었습니다.
그러자 임금이 깜짝
놀라고 말았습니다.
“아니 그 구슬은 강물에
떨어졌다고 하던데…
그랬었지요 하지만
이렇게 되찾았답니다
무수옹은 생선 뱃속에
서 구슬을 되찾은 사연
을 아뢰었습니다.
그러자 임금은 무릎을
치면서 탄복했습니다.
“그렇구려
하늘이 준 복을 인간이
어쩌지 못한다는 사실
을 이제야 깨달았소,
노인장은 과연 무수옹
(無愁翁)입니다 그려!”
그렇게 해서 노인은
임금한테까지 무수옹
이라는 사실을 인정받
고 남은 평생을 아무
근심 걱정 없이 잘 살았
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
하늘나라에 가신 우리
어머님이 늘 하시던
말씀이 생각납니다.
걱정도 근심도 다 자기
마음속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걱정한다고 일이 해결
되면 하루종일 걱정
하겠다.''
걱정 근심이 없는 인생
이 어디 있겠습니까?
걱정도 근심도 기쁨도
행복도 다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것이니
마음을 잘 다스리는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옮김.
여기 강화에도 “무수웅” 이 한사람
있습니다.
바로 이영범 목사입니다 ㅎㅎ
어찌 근심 걱정 없이 사느냐고요?
이방법을 쓰고 삽니다.
예수님의 말씀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요 14:1)
“염려하지 말라. ---"마6:26-27)
베드로전서 5:7: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빌립보서 4:6-7: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모든 근심걱정 염려를 다 주께 맡시고 기도 하고 있습니다.
이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을 아직은 못 찾았습니다.
죄 짐 맡은 우리구주 어찌좋은 친군지
걱정근심 무거운 짐 모두 주께 맡기세
주께 고함없는고로 복을 얻지 못하네
사람들이 어찌하여 아뢸줄을 모르까
(찬송가 369장)
카친님! 내 방법을 강추 합니다.
“무수웅으로 사는 길”---
강화도령 (무수웅) 이영범 목사)

첫댓글
운명은 타고 나는 것일까요
이영범 목사 무수옹 ?
글쎄요 .
머물다 갑니다
자두나무님
고운걸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