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광(夜光)이란 빛이 없어도 품은 빛을 내는 것이고,
형광(螢光)이란 빛이 있을 때만 반사하여 빛을 냅니다.
야광은 영어로 luminescence라고 하고, 야광색은 형용사형 luminescent를 써서 luminescent color라고 표현합니다.
형광은 어떤 종류의 물체가 엑스선이나 전자 빔 따위를 받았을 때 내는 고유한 빛을 말합니다. 형광은 영어로 fluorescence라고 쓰고, 형광색은 형용사형 florescent를 써서 fluorescent color라고 씁니다.
예) Luminescence is the creation of light by processes that do not involve heat. (야광은 열이 발생하지 않는 과정에 의해서 빛을 내는 것입니다.)
예) Fluorescence is the emission of light by a substance.
(형광은 물질에 의한 빛의 방출입니다.)
Photoluminescence : 발광(축광)
Photoluminescence is a process in which a molecule absorbs a photon in the visible region, exciting one of its electrons to a higher electronic excited state, and then radiates a photon as the electron returns to a lower energy state.
야광의 원리는 빛이 있을 때에 모든 빛을 다 반사시키는 것이 아니고 저장을 하고 있다가 어두울 때에 저장되어 있던 빛을 내게 됩니다.
그러므로 야광이라 하더라도 빛이 없는 곳에서 장시간 있게 되면 점점 빛이 약해 지면서 결국은 어두워집니다.
형광의 원리는 빛을 그대로 반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파장으로 변환하여 반사시키는 능력에서 기인합니다.
특히 눈에는 보이지 않는 자외선 등을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더 밝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형광펜으로 글씨를 쓰고 불을 끄면 당연히 안 보입니다.
야광은 축광이라고도 합니다. 빛을 모아 즉 축적해두었다가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발하는 물질입니다.
형광 : 물질들 중에서 반사율이 높아 같은 빛을 받아도 밝게 보이는 물질입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표지판이라든가, 청소부 점퍼에 보면 일반적으로 회색 비슷하게 약간 반짝이는 유리같은 성분을 보실수있는 데요. 이런것들이 형광입니다
축광(蓄光)=야광
빛을 받아 축광하고 나서 불을 끄면 빛을 희미하게 발하다가 서서히 어두워지는게 특징. 일반적인 야광이 이런 식이다.
보통 스트론튬화합물이 사용된다. 현재는 도료 형태의 고휘도 야광이 필요한 경우 신소재인 '슈퍼 루미노바'를 사용한다.
축광은 일반 빛에너지 태양광,형광등을 포함한 모든영역의 광원(밝음상태)을 에너지로 흡수하여 어두운곳에서 축광된 빛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스스로 발광하는 빛의 흡수→축척→발광을 반복적으로하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진다.
근래에 우수한 축광소재가 개발되어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자연채광이 차단된 지하공간이나 대형건물의 내부시설에 적용하면 정전시 비상 유도기능 및 일상적인 전원off시 보행안내를할 수 있는 휘도를 가진다.
축광 안료(顔料)
화학에서는 물건의 색상을 결정하는 색소를 성분에 따라 구분합니다.
물이나 오일 등의 용매에 용해되면 염료(dye)라 하고
녹지 않고 분산되면 안료(pigment)가 되는 것이지요. 한자에서 볼 수 있듯이 염료(染料)는 '물들이는 재료', 안료(顔料)는 '바르는 재료'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色素를 가지는 微粒子로서 염료처럼 피염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염착 되지 않고 物理的 方法(접착 등)에 의해 피염물 표면에 색소로 부착되어 고유의 색을 내는 것을 顔料라고 한다.
축광안료는 무기안료로서 일종의 야광 안료이다. 이는 형광체와 기본성질은 동일하나 형광체 와는 달리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이전에 받은 빛에너지에 의해 야기된 에너지가 일정한 시간동안 다시 빛에너지로 방출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기존 야광재료와 비교하면 휘도와 잔광시간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내구성이 강하여 빛의 흡수 및 방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그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흡수할수있는 에너지원으로는 태양광, 수은등, 형광등 및 백열등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자연광및 백열등 인조광들이다.
효율로 보면 태양과 수은등, 형광등 순으로 백광색이 많이 포함된 빛의 순으로 나타난다. 즉 가시광 영역의 높은 에너지를 가진 빛 즉400nm 부근의 파장을 많이 가진빛일수록 에너지 흡수율이 높다.
축광안료는 빛의 세기에 따라 축광효율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태양광처럼 강한 빛에는 적은 시간에도 충분한 흡수가 이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약한 백열등에서는 보다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일반적인 형광등을 사용하는 실내 (200룩스이하)에서는 대략 20분 정도면 충분히 성능을 발휘한다.
축광안료의 물성별 분류
# Alkaline Aluminate
주요 성분이 Alkaline Aluminate 의 광물로서 인체에 무해하므로 여러분야에 걸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휘도는 기존의 ZnS계에 비해 탁월하여 암실에서 컴퓨터로 측정한 잔광시간은 16시간 이상입니다.
화학적으로 극히 안정된 결정체이므로 내열성, 내한성이 뛰어나고, 고온(500°C이상), 저온(-20°C이하)에서 축광성이 보존되며, 축광과 발광의 반영구적으로 보전됩니다.
그 발광 색상은 yellow-green, 그리고 purple 빛을 냅니다.
Coating, paint, plastic, ceramic, glass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 Silicate Aluminate
주요성분은 광물의 일종인 Silicate Aluminate 이며, 인체에 무해합니다.
보통의 화학물질에는 안정성을 보이지만, 물질의 특성상 철분 및 중금속과 닿으면 흑화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휘도는 기존의 Zns계에 비해 4~7배 가량 밝고 암실에서의 잔광시간이 9시간 이상입니다.
Alkaline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내구성을 요하는 제품에도 가능하나 fassion 이나 장식용 제품에 적용하는것이 효과적입니다.
발광색상은 Blue, Blue-Green, Green, 그리고 Yellow등입니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하지만, 적합한 grade의 제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합니다.
형광과 야광(축광)의 차이
형광은 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서 발광하는 것
축광은 빛을 잠시 축적해 두었다가 축적된 빛에너지가 어두운 ,암전상태에서 발광하게 되는 것
축광을 흔히 야광이라고 합니다.
주변에서 보는 형광펜이라든가 형광색상지 이런 것들은 빛을 주게되면 더욱 환하게 발광하죠
반면 야광스티커라든가 비상구 야광 표지판 같은 것은 암전상태에서 발광하죠
형광-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서 발광하는 현상.
물질의 반사색이나 투과색과는 다른 색조(色調)를 띠고 일반적으로 조사광(照射光)보다 파장이 길다.
예로 태양광선 아래 관찰되는 붉은색 잉크에서 볼 수 있는 초록색, 등유의 유청색(乳靑色)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이 많이 들어 있는 광선을 사용하면 많은 물질들이 다소간의 형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형광등 같은 것은 관 내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의 자극으로 생기는 형광(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것이다.
빛 이외에 X선, 방사선, 음극선 등도 형광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빛을 조사할 때 조사광을 제거해도
계속 발광하는 것을 인광이라 하며 조사광을 제거하면 바로 소멸해 버리는 것을 형광이라 하여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인광은 흔히 고체에서 볼 수 있으나 형광은 액체나 기체에서 많이 나타난다.
인광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밝기가 감소하나 형광은 밝기가 변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요약
형광은 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서 발광하는 현상으로 빛이 있을 때만 더 강하게 보이고 빛이 없으면 보이지 않는 반면에
야광은 불빛이 없을 때 빛이 보이는 것으로 야광팔찌 처럼 안어두우면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