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론 대중화 시대를 연 프랑스 혁신 기업 Parrot - 민간용 드론이 제시한 새로운 미래 – - 트렌드세터·기술적 도약·공격적 마케팅으로 요약되는 Parrot의 혁신 전략 - □ 민간용 드론이 제시한 새로운 미래 ○ 무인조종기, 드론 - 드론(Drone)의 어원은 벌이 윙윙거린다는 뜻의 영어 단어에서 유래,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전파를 유도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 정의됨. - 최초의 드론은 군사용 목적으로 보급돼 무인 정찰·수색·비행 연습 시 표적기능 수행 등으로 쓰였으며, 2010년 기준 전체 드론의 90%가 군사용으로 집계됨. ○ 농업·물류 배송·미디어·레저 활동 등에서 새로운 판도 제시 - 기술 발전으로 드론 가격이 하락하면서 민간에서도 드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 짐. - 야마하는 농약 살포용 무인 항공기를 개발해 일본 전체 논의 40%에 달하는 영역에 비료와 살충제를 뿌림. 농업 분야에서 드론이 사용될 경우 인건비 하락, 생산 효율성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음. - DHL, 구글, 아마존은 물류 배송용 드론에 대한 개발을 진행 중이며, 아마존의 경우 2015년에 상용화를 할 계획임. - 미디어 및 영화산업에서도 드론을 ‘헬리캠’으로 사용해 생생한 화면을 전달함. -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SNS에 올리며 개인의 레저활동에 새로운 트렌드 제시 □ 트렌드세터·기술적 도약·공격적 마케팅으로 요약되는 Parrot 혁신 전략 Parrot 로고 
자료원: Parrot 홈페이지 ○ Parrot, 드론의 대중화를 위한 전략 수립 - 1994년 Henri Seydoux가 설립한 Parrot사는 무선, 블루투스를 바탕으로 자동차 운전자가 핸즈 프리(Hands-free)할 수 있게 돕는 기기를 개발·판매하는 기업. - 최근 ‘1인 1드론’ 시대를 준비하며 혁신적인 드론을 개발해 높은 호응을 얻고 있음. 경쟁사가 상업용 드론을 개발하는 것과는 달리, 개인 소비자를 타깃팅한 판매 전략을 수립함. - 2013년도 Parrot사의 드론 분야의 매출액은 4000만 유로를 기록해 전체 드론시장의 15%를 차지함. ○ 드론 시대를 개막한 트렌드세터, Parrot AR. 드론 2.0 Parrot AR. 드론 2.0 
자료원: Parrot 홈페이지 - 2010년도에 출시, 당시 블루오션으로 여겨지던 개인 취미용 드론시장을 공략해 레저용 드론의 시대를 연 제품으로 평가받음. - 현재 가장 인기있는 제품으로, 판매량이 70만 개에 육박 - 스마트폰·태블릿과 연동해 초보자도 쉽게 조종이 가능하며 비행 중 사진 캡처와 동영상 녹화·전송이 가능해 트렌드세터로써 기능을 함. ○ 드론 대중화를 위한 기술적 도약, Parrot Bebop 드론 Bebop 드론 
자료원: Parrot 홈페이지 - 2014년 4/4분기 출시 예정인 Bebop 모델은 Parrot사가 시장 장악 및 제품 개발에 상당한 열정을 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모델 - 타 제품보다 무게가 2배 적어 380g(바닥 보호기구 장착 시 400g)이 넘지 않음 - 경쟁 드론이 곤충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으로 호불호가 갈리나 Bebop 드론은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보임. - 4개의 와이파이 안테나를 장착, 두 개의 주파수를(2.4 GHz, 5 GHz) 이용, 드론만의 유일한 네트워크(Wi-Fi 802.11)이용으로 최대 300미터까지 조종이 가능함. -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는 14메가 픽셀로, ‘Fisheye’로 명명됨. 180° 촬영이 가능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촬영이 가능함. - 가격은 미정이지만 400~500유로 대로 예상됨. 드론의 단점은 운행시간이 10분을 넘지 못하는 것 ○ Parrot사의 공격적인 마케팅, Swinglet CAM, eBee, eBee Ag 드론 - 2012년도 스위스 스타트업 기업 SenseFly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500만 스위스 프랑을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공격적인 마케팅 면모를 보임. 이는 senseFly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의 가능성을 미리 전망해 미래 드론시장 점유하기 위한 전략임. - SenseFly는 세계에서 민간 분야 드론을 최초로 제조한 혁신적인 기업으로 Swinglet Cam, eBee, eBee Ag드론을 제작함. Swinglet CAM, eBee, eBee Ag드론   
자료원: SenseFly 홈페이지 Swinglet CAM, eBee, eBee Ag 드론 개요 | Swinglet CAM | eBee | eBee Ag | 크기(가로폭) | 80cm | 96cm | 96cm | 무게 | 500g | 630g | 700g | 조종 시간 | 30분 비행 | 45분 비행 | 45분 비행 | 속도 | 36km/h | 36~57km/h | 36~57km/h | 카메라 픽셀 | 16메가 픽셀 | 16메가 픽셀 | 12메가 픽셀 | 특이 사항 | -현재 출시된 드론 중 가장 가벼움. -Haiti 지진, Cote d’Ivoire 생태 보호 등 전 세계에 쓰임 | -손으로 날릴 수 있을 만큼 가벼움 | -농업용 분야를 위해 특화 개발된 드론으로 최대 1000헥타르(2,470 ac) 비행 가능 |
자료원: SenseFly 공식 홈페이지, 무역관 자체 분석자료 □ 시사점 ○ 한국은 드론 조종과 연동되는 와이파이 및 스마트폰·태블릿 기계가 잘 갖춰져 있어 드론 개발 이후 상용화 및 유통 전망이 밝음. ○ 드론이 대중화 될 미래사회를 대비한 첨단기술 및 전략의 필요성 - 첨단기술을 보유한 선진국과 저가부품 사용으로 가격적 측면에서 유리한 중국 등 타국과 경쟁을 위해 국내 기업 차원에서 새로운 기술 개발 및 전략 모색이 필요함. -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기업의 역할이 기대됨. - 민간용 드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드론 제작사는 제품 디자인 및 기능에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추세임. ○ 반면, 자유로운 이미지 촬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드론 추락·충돌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법 규정 및 대책 마련은 필요 자료원: Parrot 공식 홈페이지, SenseFly 공식 홈페이지, 르몽드, 레제코, France info, 코트라 파리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