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F/A-18 의 모체가 된 YF-17.. F-5 프리덤파이터로 유명한 논스럽사가 개발한 경전투기로 미공군의 경전투기 사업에 뛰어들었으나 간발의 차로 재러럴다이나믹스의 YF-16 에 밀려 패하게 된다 이후 미해군의 경전투기 사업에 맥도웰사와 합작으로 참가 이를 따내게 되어 겨우 F-18 로 재탄생하게 된다]
[F/A-18 호넷은 F-14톰캣을 보조하고 A-6 인트류터 공격기를 대체하기 위한 기체로 설계되었지만 그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아 현재는 미해군& 해병대의 주력기체로 운영중이다]
[F/A-18 C 호넷은 뛰어난 기체설계와 강력한 2기의 GE F11O-400 엔진덕에 폭발적인 가속력과 운동성을 가진 고성능 기체가 될수 있었다]
[F/A-18C 형은 일명 나이트호크 라 불리는 기종으로 기존의 A형에 야간 능력과 다양한 무장탑재가 가능하게 되었다]
[호넷의 다양한 무장운영 능력은 미해군 어느 전투기도 따라올수 없는 강점중 하나이다. 최신형의 F/A-18E/F형의 경우 8톤의 무장탑재력을 가진다]
[F/A-18C 호넷은 진정한 다목적 멀티롤 파이터로 현재도 가장 신뢰하는 미해군의 든든한 날개 이다]
[F/A-18C 형 호넷은 1991년 걸프전을 통해 화려하게 데뷔한 이래 아프라기스탄전과 코소보전 그리고 최근의 이라크전에도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운 기체로 이만큼 실전 운영을 확실하게 한 기체는 F-16 정도일 정도로 신뢰성이 뛰어난 기체이다]
[F/A-18D 호넷은 단좌형인 C형을 복좌형화 시킨 타입이다 이는 A형의 복좌형인 B형과 같은 원리이다]
[같은 복좌형인 B형이 주로 파일럿 훈련용으로 쓰이는데 반해 D형은 전투폭격기 타입으로 운용되는게 틀림점 입니다.]
[D형은 C형의 후방의 연료탱크를 제거하고 후방석을 장착한 타입으로 성능상으로는 C 형과 거의 동일한 전투력을 지닙니다. 다만 전투반경면에서 연료탱크의 제거로 약 6% 정도의 차이가 있다]
[D형은 C형에서 운영하는 모든 무장을 그대로 운용할수 있고 여기에 별도의 무장사가 탑승하므로 1인용의 C형보다 전투력은 더 우수하다 그런 이유로 미해병대에서는 D형을 전투폭격기로 운영하고 있다]
[미해병대는 총 6개의 전투비행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은 단좌형인 C 형과 더불어 복좌형인 D형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1개 비행부대는 12대의 전투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라크 상공위를 선회중인 F/A-18C 호넷의 모습 무장으로 보아 CAS 임무중인듯 하다]
[착륙중인 호넷... 호넷은 경전투기로 개발되었으나 뛰어난 설계로 인한 고성능 기체로 현재 미해군 & 해병대의 주력 기체로 사용중이다]
[현재까지도 이를 능가할 레이더가 드문 AN/APG-73 레이더 이로 인해 정밀타격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게 되었다]
[호넷의 특징중 하나인 뛰어난 화기관제 능력은 APG-65 레이더에 기반한다 이는 F-15 에 탑재되는 APG-63 을 더욱 개량하면서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인 레이더 로 공대공 및 공대지 공대함 전투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FA-18C 형에 이르면 이도 개량하여 APG-73 으로 변화하게 된다]
[호넷의 진정한 장점은 사진처럼 다양한 무장을 할수 있는 범용성에 있다 하겠다.9개의 하드포인트에 총 7톤에 달하는 다양한 무장을 할수 있다]
[호넷은 다양한 무장을 할수 있는 멀티롤 기체인데 특히 사진처럼 비대칭 무장을 즐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체의 크기로 인한 항속거리 문제로 그런듯 하다]
F18 Hornet Fights SAM Missile's from Teunis Dokter on Vimeo.
2 F/A-18E/F 슈퍼 호넷 ¶
호넷과 슈퍼 호넷의 흡입구 비교 (+ 콕핏부터 주익까지 뻗은 스트레이크. 호넷이 코브라처럼 곡선형이라면 슈퍼 호넷은 직선형. 그 외에도 전반적으로 크기가 큰 편이아 알아보긴 쉽다)
제원 및 기타성능
전 장 : 18.5m(60.3ft)
기 고 : 4.87m(16ft)
날개길이 : 13.68m(44.9ft)
최대이륙중량 : 29,932㎏(66,000lbs)
최대추력 : 22,000lbs×2
엔 진 : General Electric F-414-GE-400 터보팬 엔진
최대속도 : Mach 1.8+
최대상승고도 : 15,240m(50,000ft)
최대비행범위 : 3,054㎞(1,660NM)
전투가능범위 : 2,346㎞(1,275NM)
설계하중 : +9.0G / -3.0G
미해군 F/A-18E/F Super Hornet 배치 비행대 내역
태평양함대
VFA-2 "Bounty Hunters" (F/A-18F)
VFA-14 "Tophatters" (F/A-18E)
VFA-22 "Fighting Redcocks" (F/A-18F)[70]
VFA-27 "Royal Maces" (F/A-18E)
VFA-41 "Black Aces" (F/A-18F)
VFA-102 "Diamondbacks" (F/A-18F)
VFA-115 "Eagles" (F/A-18E)
VFA-122 "Flying Eagles" (Fleet Replacement Squadron, operates F/A-18E/F)[71]
VFA-137 "Kestrels" (F/A-18E)
VFA-147 "Argonauts" (F/A-18E)
VFA-154 "Black Knights" (F/A-18F)
대서양함대
VFA-11 "Red Rippers" (F/A-18F)
VFA-31 "Tomcatters" (F/A-18E)
VFA-32 "Swordsmen" (F/A-18F)
VFA-81 "Sunliners" (F/A-18E) (Currently Transitioning)
VFA-103 "Jolly Rogers" (F/A-18F)
VFA-105 "Gunslingers" (F/A-18E)
VFA-106 "Gladiators" (Fleet Replacement Squadron, operates F/A-18A/B/C/D/E/F)
VFA-136 "Knighthawks" (F/A-18E)
VFA-143 "Pukin' Dogs" (F/A-18E)
VFA-211 "Fighting Checkmates" (F/A-18F)
VFA-213 "Black Lions" (F/A-18F)
Test and Eval! uation Units
VX-9 Vampires (Air Test and Eval! uation Squadron, operates F/A-18E/F and other aircraft)
VX-23 Salty Dogs (Air Test and Eval! uation Squadron, operates F/A-18E/F and other aircraft)
VX-31 Dust Devils (Air Test and Eval! uation Squadron, operates F/A-18E/F and other aircraft)
NSAWC (Naval Strike and Air Warfare Center), received F/A-18F, also operates other aircraft)
Each squadron has a standard unit establishment of 12 aircraft. The F/A-18E/F transition is still in progress as of early 2007
3 인터내셔널 슈퍼 호넷
4 도입국가
5.1 영화 ¶
- '긴급 명령(Clear and Present Danger)' (1994)
- '더 록(The Rock)' (1996)
- '인디펜던스 데이(Indepedence Day)' (1996)
- '에너미 라인스(Behind Enemy Lines)' (2001)
- '태앙의 눈물(Tears of Sun)' (2003)
5.2 게임 ¶
- 소닉윙즈 1
- 스트라이커즈 1999
- 에이스 컴뱃
- Flight Simulator X Acceleration
- US 네이비
- 제인스 F/A-18
- 배틀필드 2
- 배틀필드 온라인
- 배틀필드 3
- 머브러브 얼터너티브 : 미 해군에서 사용 중인 다목적 전술기로, 제2세대기로서는 F-15 다음가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F-15보다 싸기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나라에도 수출되었다.
[2] 뜻은 장수말벌
[3] 물론 일부 구성품 등은 노스롭이 제작하였다.
[4] 당연한게 일단 일반 F/A-18이 L형에 비해 항공모함 운용을 전제로 해서 더 튼튼한 데다가 미 해군이 사용하고 있는 만큼 향후 예비부품 등의 수급에 더 유리할 게 뻔한 탓이다.
[5] 다만 이건 서로 빌빌대는 수준의 저속에서의 이야기이고, 코너속도 부근인 380knot 부근에서는 F-16C가 F/A-18C보다 도리어 순간/지속선회율도 더 좋다. 날개 끝 파일런 뿐만 아니라 주익에 파일런을 달거나, 심지어 빈 연료통을 단 상태에서도 두 기종간 선회성능이 생각보다 큰 차이가 안난다.
[6] 물론 근거리 교전이라고 무조건 선회전 상황이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7] RWR도 만능이 아니고, 조기경보기도 개전 초기의 복잡한 전장상황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커버할 수는 없었을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8] 사진은 F/A-18F.
[9] 이런 불만은 주로 F-14나 A-6에 대한 향수 때문에 나온다. F-14나 A-6보다 행동반경이 짧다거나, 폭탄 탑재량이 적다거나 단점은 많았다. 문제는 F-14와 A-6를 각각 따로 놓고 보자면 각 분야에서 뛰어난 기체였는데, 이 둘이 하던 임무를 한 전투기가 동시에 하려면 F-15E나 끌고 와야할 판. 그런데 F-15E를 배위에 올리면 구조를 더 튼튼하게 만들려다 보니 중량증가로 배에서 뜨고내리기조차 버거워진다(실제로 F-15 제공형을 배 위에 올리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중량이 엄청 늘어나서 GG). 즉 현재로서 대안은 F/A-18E/F 이외엔 없는 상황….
[10] 느리다, 굼뜨다고는 해도 어디까지나 '호넷보다' 그렇다는 (호넷에 익숙한) 파일럿들의 불평일뿐, 슈퍼 호넷은 동세대 전투기 중에서 특별히 기동성이 떨어지는 전투기는 아니다.
[11] 슈퍼 호넷 후기 생산형은 AN/APG-79 AESA 레이더를 장착하여 공대공 능력이 거의 F-15와 맞먹는다.
[12] 드넓은 본토 방공만 생각한다면 장거리 방공전투기인 토네이도 ADV가 더 적합했겠지만, 캐나다군은 유럽 전장에서도 한몫을 해야 하는 입장이라 다방면에서 활약할 수 있는 호넷을 골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