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 야후 보고서 평가한 일본 자본관계 재검토 목적 아니다 / 7/6(토) / 중앙일보 일본어판
일본 정부가 최근 라인야후가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제출한 행정지도 보고서를 평가했다. 마츠모토 타케아키 총무상은 5일의 기자 회견에서, LINE 야후에 관련해 「지도 사항의 개선을 향한 구체적인 대처가 나타났다. 일부는 실시, 앞당겨진 것을 확인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큐러티 통치의 확보를 향해서 대처가 진전하고 있는 등 구체적인 대처 내용이 나타나고 있어, 평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라인야후는 지난 3월과 4월 일본 총무성으로부터 두 차례 행정지도를 받았다. 일본 총무성은 행정지도를 통해 라인야후의 모회사 주식을 소프트뱅크와 절반씩 보유한 네이버와의 자본관계 재검토를 주문했다. 기업 지배구조에 관한 '이례적인 행정지도'가 있은 후 라인야후는 실제 소프트뱅크가 대주주가 되는 형태의 자본구조 개편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에 요청하기도 했다. 라인 야후는 1일 총무성에 제출한 보고서와 함께 "단기적인 자본 이동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마쓰모토 총무상은 이번 회견에서 지배구조 관계에 관한 질문을 받자 두 번째 행정지도 후 일본 정부가 제시한 입장을 그대로 고수하는 발언을 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한 것일 뿐 "자본적 관계 재검토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는 설명이다. 마츠모토 총무상은 「(네이버와의) 위탁 관계의 축소·종료 계획을 받았다」라고 해서 내용에 언급했다. 보고서에서 구체적인 네이버와의 계약에 국한하지 않고 라인 야후의 전체적인 대처를 확인했다는 얘기였다. 마츠모토 총무상은 「LINE 야후도 문제의 중대성을 받아 들여 신속한 대응을 진행시키고 있다고 보고서로부터 읽을 수 있고, 평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총무성의 평가로 라인 야후 사태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주식 매각 문제로 남게 됐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단기적으로 라인야후 주식을 팔지 않기로 했다고 발언하는 등 라인야후 지배구조 협상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