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비에 관한 한자어 30개 🍀
1. 江左七賢(강좌칠현) :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 孤雲野鶴(고운야학) :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3. 國士無雙(국사무쌍) :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로 빼어난 선비.
4. 落榜擧子(낙방거자) :
과거에 떨어진 선비. 어떤 일에 참여하려다가 제외된 사람을 비유
5. 老士宿儒(노사숙유) :
학식이 많고 덕망이 높은 나이 많은 선비.
6. 陋巷簞瓢(누항단표)=簞瓢陋巷(단표누항)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 선비의 청빈한 생활
7. 多士濟濟(다사제제) :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말.
8. 無名之士(무명지사) :
세상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선비.
9. 方正之士(방정지사) : 방정한 선비라는 뜻으로, 언행이 바르고 점잖은 사람의 의미.
10. 百金之士(백금지사) :
백금의 값을 하는 선비나 무사(武士), 어진 선비나 큰 공을 세운 무장(武將) 비유
11. 士農工商(사농공상) :
예전,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12. 死之五等(사지오등) :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천자(天子)는 붕(崩),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은 사(死)라 한다.
13. 山林門下(산림문하) :
학덕은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의 제자.
14. 山林處士(산림처사)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15.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16. 先妣(선비) :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17. 巖穴之士(암혈지사) :
속세를 떠나 깊은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
18. 愛人下士(애인하사) :
백성을 사랑하고 선비에게 자기 몸을 낮춤.
19.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
우국지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연나라와 조나라에는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르는 선비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0. 熊虎之士(웅호지사) :
곰과 호랑이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용맹한 무사나 장수를 비유
21. 林下儒門(임하유문) :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힘을 쏟는 선비.
22. 濟濟多士(제제다사) :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말. ≪시경≫의 (大雅)> 문왕편(文王篇)에 나오는 말이다.
23. 淸素之士(청소지사) :
결백(潔白)하고 허례허식이 없는 선비.
24. 忠義之士(충의지사) :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선비.
25. 平允之士(평윤지사) :
공평하고 진실한 선비라는 뜻으로, 공평 성실하여 가혹하지 않은 선비를 이르는 말에서 공평하고 사심이 없는 재판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26. 布衣韋帶之士(포의위대지사) : 베옷을 입고 부들부들한 가죽 허리띠를 맨 선비, 빈천한 사람을 이르는 말.
27. 布衣之交(포의지교) :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28. 布衣寒士(포의한사) :
베옷을 입은 가난한 선비라는 뜻으로, 벼슬이 없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29. 鶴鳴之士(학명지사) :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30. 豪氣不除(호기부제) :
호기가 제거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선비에게 군자의 아량이 없음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