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메의 문단속(신카이 마코토)”을 보고
신카이 마코토, 그의 생각은 대단했다. 신비로웠다. 아름다웠다.
영화를 보고 나에게 “영화”라는 개념을 한층 더 수준 높여줬다.
영화의 내용을 짧게 설명하면
이 영화는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며 생긴 영화 같고
영화를 보면서 “이게 영화인가?”를 많이 생각한 것 같다.
일본 밑에 존재하는 세상에 사는 ‘미미즈’가 있다.
그 미미즈를 가두는 고양이신 석상이 2개 있는데 한 석상을 주인공인 스즈메가 뽑게 된다.
고양이신 석상 중 한 석상을 뽑으면서 그 석상은 고양이가 되는데 이름은 다이젠이고
미미즈를 불러내고 소타를 의자로 만들지만, 훗날 스즈메가 찾는 걸 찾아주게 도와주게 된다.
미미즈는 사람들 눈에는 안 보인다. 토지시 가문(문을 닫는 역할을 하는 가문)인
소타와 선택받은 사람인 스즈메만 볼 수 있다.
폐허가 된 곳에 있는 문에서 미미즈가 나온다. 한 석상만 뽑혀서 미미즈의 몸의
일부만 나오는데 그 문을 닫지 않아서 최고점까지 도달하게 되면 미미즈가 땅에 떨어지는데
땅에 떨어지면 지진이 일어난다. 쉽게 말하면 평범한 사람 눈에는 안 보이지만
형체는 있는 거다.
소타는 토지시 가문인데 문을 닫고 이상한 주문을 말하면서 열쇠로 잠근다.
스즈메는 일본 곳곳을 소타와 다니며 미미즈를 막는다.
신카이 마코토의 생각을 들여다보면
미미즈가 나타난 곳들은 일본에서 실제로 다 지진이 일어난 곳이고
지진 때 문에 폐허가 된 것을 알 수 있고, 지리를 이용해 영화를 만들 걸 볼 수 있다.
지진의 관점을 깨고 물체가 떨어져 생긴 지진이라는 생각을 한 게 대단한 것 같다.
글을 쓰면서 신카이 마코토의 생각은 대단하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