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버스터미널 시리즈 첫 번째,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다.
사실 사진에 담은 것도, 글을 쓴 것도 너무 늦은 감이 있다.
이미 작년부터 공사를 시작한 복합환승센터가 열심히 뼈대를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블로그와 카페에 버스터미널 포스팅을 시작하면서 대구를 올려달라는 요청을 참 많이 받았다.
게시물이 어쩌다 비판적인 방향으로 흐르면 더욱 필자의 글을 보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았다.
사실 글을 올리면 반응을 떠나서 먼저 올려달라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여기만큼은 정말로 특별했다.
대구시민들조차 대구의 버스터미널에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뜻일수도 있겠다.
올려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마다 감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난감했다.
대구가 워낙 멀어서 큰 맘 먹고 가지 않으면 감히 갈 엄두조차 나지 않는 지역이고,
가까운 곳부터 가자는 나의 계획에 자꾸 2~3순위로 밀리면서 2008년부터 계획을 잡은 것을 2015년에서야 이룰 수 있었다.
그 사이에 대구의 부대에서 군복무를 하면서 버스터미널도 참 자주 갔었으니 이만한 아이러니가 없다.
그리고 제대한 후에 환승센터를 올리면서 오랫동안 봐왔던 금호/천일터미널이 없어지는 소식까지 들었다.
이렇게 많은 경험과 변화를 거치고 이제서야 올리게 되는데, 막상 글을 쓰려니 어떤 방향으로 써야 할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대구의 버스터미널 세 번째, 중앙고속터미널이다.
동대구역네거리에서 바라본 역광장 방향은 이렇다.
원래 왼쪽으로는 커다란 분수대와 공원 같은 광장이 있고, 그 뒤로 3~4층의 낡은 건물이 여럿 있는 구조(금호고속 포함)였으나
지금은 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정신이 없다. 아마 완공되면 신세계백화점밖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오른쪽으로는 버스터미널이 줄지어 서있는 모양새다.
동대구역에서는 동양고속이 가장 잘 보이더만 여기서는 한진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금호야 철거되었으니 그렇다치고, 한진과 동양은 대로변에 있어 나름대로 눈에 띌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다.
그러나 나머지 하나는? 한진고속 뒤에 숨어있다. 바로 이렇게.
아주 조그맣고 색바랜 3층의 낡디낡은 건물, 바로 저기가 나머지 하나인 중앙고속 터미널이다.
가장 동대구역네거리와 가깝지만 동대구역 정문방향이 아니면 찾기가 매우 힘들게 꼭꼭 숨어있다.
마치 '나 찾아봐라~' 하는 것마냥 구석에 있어 필자도 이 때 처음으로 그 생김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시나 헷갈리지 않게 행선지를 친절히 달아주는 것은 물론(그래도 헷갈릴 사람들은 헷갈린다.),
건물 정중앙에 조그맣게 입구가 숨어있는 것까지 다른 터미널과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생김새만 보면 현재 남아있는 세 개의 터미널 중 가장 낡아보인다.
하지만 금호·천일터미널을 포함하면 여기보단 그나마 덜한 편이었다(라고 쓰고 거기서 거기라고 읽는다).
이전 게시물 마지막 사진이 이것이었는데, 여기가 바로 중앙고속 입구와 맞닿은 자리다.
동대구역과 한진터미널, 중앙터미널 셋이 나란히 직선상 거리에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미로찾기에서 입구로 들어가기는 쉬워도 나가는 것은 어려운 것처럼,
큰 도로에서 이 골목 찾기는 어렵지만 반대로 골목에서 대로는 너무도 잘 보인다.
셋 중 가장 작고 낡아보이는데 의외로 이웃 한진고속보다는 건축년도가 늦다.
그래봤자 70년대로 약 40년이 지난 건물이라는 점은 변함없지만 말이다.
가장 작은 것은 사실로 마치 시골 버스정류장마냥 작고 아담한 사이즈를 간직하고 있다.
매표소에서 바라본 광경은 대충 이 정도로 사진에 보이는게 맞이방 전체의 80% 이상은 된다.
나머지 20%는 이렇게 생겼다. 각종 잡다한 것을 파는 서점과 매표소가 있다.
제대로 포커스를 맞추지는 않았지만 세 고속터미널 모두 안에 스낵바에서 간단히 요기를 떼울수 있는 분식을 판다.
마침 추운 겨울이라 어딜 들어가나 따끈따끈한 어묵 냄새와 맛있는 떡볶이 향기가 코를 찌른다.
가락국수, 잔치국수 같은 면 종류도 팔고 있는데 없어지기 전에 한 번 가봐도 괜찮을 것 같다.
규모는 가장 작지만 노선은 의외로 한진에 이은 2위였다.
금호·천일터미널 건물 폐쇠로 이들 노선 상당수가 동양으로 옮겨간 지금은 비등비등한 정도지만,
하차장을 따로 쓰는 버스터미널 특성상 전체적인 이용 빈도는 여기가 앞선다.
금호고속 사업소를 이 쪽으로 옮겨서 차량 검수, 기사 쉼터 등이 죄다 중앙고속 뒷편에 있기 때문이다.
승차장은 정반대로 금호·천일고속 소속 노선은 광주 하나밖에 없다.
그런데 '버스의 성지'라고도 불리는 광주인만큼 배차간격 하나는 상당히 괜찮은 축이어서,
이 노선 하나로 나머지 두 터미널의 수요를 적당히 커버할 수 있다.
춘천행 9회, 진주행 15회(배차간격 1시간), 안동행 40회(배차간격 20~25분).
역시나 거리가 가깝고 교류가 많은 쪽일수록 차가 자주 다닌다.
특히 안동행의 경우 북부정류장과 비교해도 비등비등할 정도로 자주 있어 따로 시간표를 알아볼 필요가 없을 정도다.
안동 윗동네인 영주행 역시 40~45분 배차로 꽤나 자주 다니고, 아예 다른 지역인 제천도 하루 10회(1시간 200분 배차) 있다.
우등과 고속까지 구분할 정도면 수요가 상당하다는 것인데,
이쪽 라인을 주 수요처로 하는 북부정류장 입장에선 이들 때문에 적잖게 속이 쓰릴 것 같다.
수원/용인 방면으로도 고속버스 노선이 다닌다.
중앙터미널의 유일한 수도권 방면 노선들로 아마 전국의 모든 고속터미널 중 수도권 비중이 가장 적은 곳일테다.
그나마도 열차에 크게 밀리는 수원행은 용인보다도 횟수가 적어 하루 여섯 번에 불과하다.
건물 크기도 아담아담, 맞이방도 아담아담한 만큼 승차장 역시 협소하다.
그나마 건물 반 면만 사용하는 동양보다는 넓을지 몰라도 이 곳을 이용하는 노선 수를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규모다.
사진에서 보듯 빈 공간이 전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카메라에 담기 직전 한 홈이 살짝 비었는데 채 1분도 안 되어 다시 버스가 들어올 정도였다.
여러모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동대구의 세 고속터미널.
환승센터가 아직 올라가지 않았을 당시, 많은 사람들의 요청대로였다면 아마 방문했을 때 느낌이 확연히 달랐을 것이다.
그리고 글을 쓰는 컨셉도 여러모로 달랐을 것이다.
그만큼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관심을 두었고 가기도 전에 많은 생각을 했지만,
생각보다 허무하게 일이 진행되면서 '얼마 남지 않은 시골터미널'처럼 되고 말았다.
'얼마 남지 않은 시골터미널'. 이미 하나가 없어져 아쉬웠지만 남은 세 곳이라도 겨우 담아낼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안동이나 동해처럼 계획만 잡아놓고 허무하게 놓치지 않아서 다행이다.
비록 방향성은 달라졌어도 터미널 기행에 하나의 점을 찍게되어 다행이다.
새로운 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서면 왠지 나 자신부터가 아쉬운 생각이 들 것 같다.
기대되는 마음도 물론 있지만 예전의 추억을 떠오르게 하는 공간인 만큼,
그냥 이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섭섭한 느낌이 드는 것이다.
복합환승센터가 들어오면 다시 카메라에 담겠지만 지금과 같은 느낌, 지금과 같은 분위기와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시원섭섭하며 아련한 느낌, 감성이란 샘이 쩍쩍 갈라지기 전까지 오래오래 간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첫댓글 여기가 특이한게 하차장소로 많이 쓰이더라구요
네.. 그런 것 같습니다. 덕분에 혼잡도도 세 곳 중 가장 높지요.
북부정류장의 특성상, 대구서구 및 북구 '일부' 지역에서만 젒근성이 높으니, 특히 수성구(경산), 동구(하양&영천) 등지에서는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 밖에 없지요. 안동의 경우에는 '일반'이기는 합니디만, 그래도 무정차로 안동을 경유하여, 영양(진보), 봉화(춘양) 등으로 이동하여 하기 때문에 운행횟수는 많지만, 영주부터는 동대구행이 오히려 비교 우위이고, 죽령을 넘어서면, 북대구발 원주~횡성~홍천행 및 강릉~속초행을 제외하고는 동대구발이 절대 우위입니다. 제천의 경우에는 북부정류장의 안동, 영주, 구인사, (신)단양, 매포 완행 개념에서 벗어나 동대구행 개통 당시에는
하루 4회 정도 운영하였지만, 증회 및 일반고속노선 신설, 그리고 대성고속 등의 참여로 인해서 많이 변화하였고요. 안동 및 영주노선도 원래는 우등고속 차량을 일반 요금으로 하다가 우등고속, 일반고속으로 나뉘면서 요금이 인상되어 초기에는 불만이 많았지만, 수요는 여전합니다. 오히려 춘천행의 경우에는 중앙고속도로 개통 이후 북부정류장 발이 8~10회, 고속버스가 12회 정도 운행(심야 포함)하다가 지금은 북부정류장 발이 5회, 고속버스는 9회(심야 폐지) 등의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고속이 비교 우위이기도 하지요.
@CELLO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북부정류장이 공단쪽에 있어 같은 북구에서도 찾아가기 번거로운 곳이 꽤 있는데, 칠곡3지구만 해도 국우터널 덕분에 동대구역과 더 가깝고, 심지어 고성동 부근에서도 가기가 쉽지 않았던 것을 감안하면 대구 시내에서의 접근성 덕을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복합환승센터와 대구3호선이 만들어질 경우의 수요 변화가 기대되는 곳입니다. ㅎㅎ
@웃기시네 고속 인가를 가지고 있는 회사가 원주-대구북부를 운행하는 회사가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