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여성가족부 양성평등주간 맞아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발표
경찰청·보건복지부·교육부·행정안전부 등
정부기관 통해 수집된 통계 사례들 추려 공개
원본보기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합동으로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2일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을 공개했다.ⓒ통계청·여성가족부
2020년, 2583만 5천 명의 한국 땅을 살아가는 여성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통계에 따르면 암수율이 98.3%에 달하는 성폭력 피해 신고건수는 3만여 건을 넘고 가정폭력을 상담하는 여성은 20만 명을 넘지만 실제 가정폭력으로 입건 되는 남성 배우자는 4만명에 불과했다. 정부의 정책 지원을 통해 여성 고위직·관리직을 의무적으로 뽑는 기업도 여성 관리직 비율은 20% 미만이며 한해 경력이 단절되어 버리는 여성은 170만 명에 달했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합동으로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2일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을 공개했다.
원본보기
10가구 중 1가구가 여성 1인 가구인 서울시의 싱글 여성들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주거 불안정을 꼽았다. 14일 서울 마포구 내 부동산 앞에서 직장여성이 전·월세 시세표를 보고 있다. ⓒ홍효식 / 여성신문 사진기자 yesphoto@womennews.co.kr
△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나... 1인 가구는 계속 증가하고 결혼은 늦게 하거나 안해
2020년 여성 인구는 전체의 49.9%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 100명당 남성의 수를 나타내는 연령대별 성비는 성별에 따른 선별 낙태가 있었던 80~90년대 출생 세대인 20대가 113.3명, 30대가 110.1명이다. 10대 이하에서는 자연성비인 105명을 유지하며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아지는 시기는 60대부터다.
여성 1인 가구의 수는 2019년 기준 309만 4천 가구로 10년 전과 비교해 1.4배 늘었다.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31.9%이며 이 중 남성 배우자가 있는 구성비는 26.8%다.
여성 1인 가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60대 이상으로 45.31%에 이른다. 20(17.16%)대와 50대(14.12%)가 뒤를 잇는다. 60대 이상에서 여성 1인 가구의 수가 과반에 가까운 것은 남녀간 평균 수명의 차이다. 2018US 여성의 기대수명은 85.7세, 남성은 79.7세다.
20대와 50대에서 나타나는 1인 가구 증가세는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결혼 기피와 초혼 연령이 30대로 높아진 것, '20년 이상 함께 산 부부'의 이혼율 증가가 원인으로 해석된다.
2019년 초혼 건수는 18만4천 건으로 2009년 23만 7천건 대비 30% 줄었다. 평균초혼 연령은 여성 30.6세, 남성 33.5세다. 또 같은해 이혼 건수는 11만 1천 건이며 '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38.4%에 이른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10/0000080407?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