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 to magnificent monuments in the world, that of their own heritages like sculptures might seem to be humble, shabby and poor. However, culture and art cannot be measured by means of comparable concept. What is more, the notion of art and heritage cannot be judged by universal measure. Rather, an attitude to find the value of the object in terms of the absolute and independent conviction of identity.
싱거비 합니다. 거 왜...당나귀가 여행한다고 말이 되어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잖아? 응? 에이...앞의 말은 말馬말이고 뒤의 말은 마알言/語이지...차암...한글세대의 비극이고...길고 짧은 것도 구분 못하니 결국 제 나라를 등지는 비국민이 양산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거야...

우서비 합니다. 여행을 해 봐야 제 나라가 제대로 보인다는 말이있어...만리장성과 수원화성...마추픽추와 경주...나이아가라와 비봉폭포를 크기나 규모로 비교할 수는 없잖아...그렇다고 그쪽으로 살러가거나 몽땅 파서 이 나라에 심을 수는 없으니까 만족하고 죽치고 살아야지...
매깨비 합니다. 여행한 당나귀가 말이 되지는 못하지만...여행한 당나귀는 되겠지...그 시각- 관점-정감으로 되돌아보면 *앨리스의 자기 집-*새장의 파랑새-*심매尋梅와 울타리란 결국 자기환원이고...그 과정에서 치댄 세월에 대한 빚갚음이 인생의 후반기...그 의미일 테지...
*Alice in Wonderland
“There is a place, like no place on earth. A land full of wonder, mystery, and danger. Some say, to survive it, you need to be as mad as a hatter. Which, luckily, I am.”
― Lewis Carroll
https://www.goodreads.com/quotes/225628-there-is-a-place-like-no-place-on-earth-a
*2. 벨기에 희곡[편집]
벨기에의 극작가 모리스 마테를링크(1862~1949)가 1908년에 지은 희곡. 프랑스어 제목은 L'Oiseau bleu. 틸틸과 미틸 남매가 크리스마스 전야에 파랑새를 찾아 헤매는 꿈을 꾸다가 문득 깨어나 자기들이 기르던 비둘기가 바로 그 파랑새였음을 깨닫는다는 내용...행복은 가까이에 있다는 주제를 형상화했다. 마테를링크는 1911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
https://namu.wiki/w/%ED%8C%8C%EB%9E%91%EC%83%88
The Blue Bird (French: L'Oiseau bleu)
...
The story is about a girl called Mytyl and her brother Tyltyl seeking happiness, represented by The Blue Bird of Happiness, aided by the good fairy Bérylune.
...
At the end of the play, Tyltyl shows what he has learned about happiness. He looks out the window at the forest and remarks how beautiful it is. The inside of the house looks much lovelier to him than it did before. Also, he creates great happiness for another by giving his pet bird, which seems much bluer than before, to the sick child.
https://en.wikipedia.org/wiki/The_Blue_Bird_(play)
*심매尋梅 눈 속에서 매화를 찾아 헤매다 돌아오니 집 울타리에 매화꽃이 피었더라는 이야기이다. 맹호연심매도孟浩然尋梅圖가 많이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