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철교와 함께 6.25전쟁때 폭파되었던 슬픈역사를 간직한 공산성아래 공주금강철교
공산성에 올라서서 금강을 내려다보면 서울에서 목포간 국도1호선을 이어주던 중요한 다리였던 공주금강철교가 눈에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다.


공주철교가 세워지기전에는 공주읍에서 장기면을 가기위해서는 나룻배가 유일한 교통수단이어서 큰비가 내리면 교통이
두절되곤 했는데 1933년 10월 23일에 한강이남에서 가장 길었던 약 514m 길이의 공주금강철교가 준공되면서 교통난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민족에게 큰아픔을 주었던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기간이었던 1950년 7월 12일 미 8군 제24사단이 금강철교를 폭파하면서 한강철교에 이어 전쟁에 의해 폭파된 두 번째 철교가 되었다.
대전 지역의 사수를 명령받은 제24사단 사단장 윌리암 에프 딘(William F. Dean) 소장은 7월 8일 미군이 천안 전투에서 패배하자, 예하 모든 병력을 금강 방어선에 집중시키기 위해 금강을 건너 진지를 구축하고 강 하류에 있는 나루터를 수
색하여 나룻배를 모두 파괴하고, 7월 12일까지 금강철교를 폭파하였다.



그러나 북한군은 7월 14일 공주 서쪽의 검상리나루터에서 북한 전투기의 엄호를 받으면서 작은 배로 도하를 시작해서
별다른 저지없이 금강 남쪽 강변에 교두보를 세우고 우회하여 미군의 측면을 공격하여 미군은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한
채 남쪽으로 후퇴하여 6.25 최후의 방어선이었던 낙동강 까지 밀리는 상황이 전개 되었다.




한국전쟁초기에 폭파되었던 금강철교는 전쟁중인 1952년에 물자수송과 부대배치를 위하여 복구되었으나 2001년에 공주시 쌍신동과 금성동을 연결하는 다리 725m 길이의 백제큰다리가 금강철교 아래 세워지면서 다리폭이 좁은 금강철교는 2002년에 보수공사를 거쳐 강남에서 강북 방향으로의 일방통행만 허용하면서 인도교로 활용되고 있다.

충청남도 공주여행지
금강교-등록문화재 제232호
충남 공주시 금성동
첫댓글 금강철교가 이런 역사를 갖고 있었군요
역사의 아픔이 없는 문화재가 없는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