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시험 대비! P2P대출·부동산PF대출이란?
■ P2P 대출
‘개인이 개인에게(peer to peer·P2P)’ 해주는 대출이라는 뜻이다.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중개 업체를 통해 대출을 신청하면 불특정 다수인 투자자가 십시일반으로 돈을 빌려주는 금융 방식이다. ‘대출형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라고도 불린다. 은행에서 돈빌리기 어려운 사람들이 이 대출을 신청하는 일이 많다. 투자자는 이자를 받아 수익을 올린다.
은행 문턱은 못 넘지만, 그렇다고 2금융권의 높은 금리를 감당하기 힘든 저(低)신용자의 대출 '수요'와 예금 금리가 연 1%까지 내려간 저금리 시대에 돈 굴릴 곳을 찾지 못한 투자자들의 자금 '공급'이 만나면서 P2P 대출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이다. 빠르게 늘어나는 P2P 대출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이번 달 안에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한국P2P금융협회와 금융위원회가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약 350억원 수준이었던 P2P 대출업의 누적 대출액은 지난달 2900억원을 넘어선 데 이어 이번 달에 3000억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10개월 사이에 P2P 대출이 10배 수준으로 불어난 것이다. 지난 6월 출범한 P2P금융협회에 등록된 P2P 대출 회사는 29개(10월 초 기준)이고 이 중 6개는 누적 대출액이 200억원을 넘는다.
한국P2P금융협회 박성준 부회장('펀다' 대표)은 "저금리 장기화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P2P 대출로 몰리고 있다"며 "아직은 관련 규제가 촘촘하지 않아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다는 점도 P2P 대출 산업의 성장을 이끈 듯하다"라고 말했다. 신종(新種) 금융인 P2P 대출은 지금까지 지방자치단체 관할인 대부업으로 분류돼 규제가 비교적 느슨한 편이었다.
P2P 대출은 보통 10% 초반대의 기대 수익률을 투자자에게 제시한다. 대출 부도율은 아직까지는 0%에 가깝다. 이런 성과는 일단 고무적이지만 금융 당국, 나아가 업계도 P2P 대출을 저위험·고수익 투자로 보는 '묻지마 투자'가 몰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P2P 대출에 투자한 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고 대출자가 돈을 갚지 않을 경우 돈을 떼일 수도 있다. 한국보다 앞서 P2P 대출이 보편화한 해외에선 부적절한 대출 심사(렌딩클럽), 허위 대출(중국 업계 4위 'e쭈바오')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부동산 PF 대출이란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을 평가해 돈을 빌려주는 금융기법. 사업을 진행하면서 생기는 수익으로 대출금을 상환한다. 사업주의 신용이나 담보를 바탕으로 돈을 빌려주는 일반적인 대출과 다른 방식이다.
금융감독원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30개 부동산 사업장에 대해 PF 대출을 해준 은행·보험·저축은행 등 25개 금융회사에 대해 대대적인 현장 점검에 착수한다. 24일 PF 대출 잔액이 200억원 이상인 사업장 600여개 가운데 토지 매입률이 50% 이하에 불과한 사업장과 1년 이상 분양률 50% 미만 사업장 약 20개, 그리고 사업성 평가가 좋지 않은 사업장 10개 등에 대출해준 금융회사들을 중점 점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PF 대출 증가 규모와 PF 관련 보증액, 떼일 가능성 등을 감안해 금융권별로 3~5개사씩 총 25개 금융사를 검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가계 부채를 확대시키는 주요 원인인 집단대출이 주로 부동산 PF를 통해 이뤄진다고 보고, 전국의 1900여개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옥석(玉石) 가리기를 진행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체 부동산 PF 대출 가운데 부실 비율은 약 7% 수준이다. 저축은행의 부실 비율이 17%로 가장 높고, 은행 6%, 보험은 0.9% 정도다. 금감원은 현장 점검에서 PF 대출 취급 시 여신심사 절차가 적정했는지, 사업장 평가를 제대로 실시했는지, 건전성 분류 및 충당금 적립 적정성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부실 비율은 낮지만 최근 급격히 PF 대출을 늘린 보험사도 주목하고 있다. 보험사들의 PF 대출은 2008년 6조원 수준이었으나, 2014년 7조8000억원, 작년 11조4000억원으로 급증한 뒤 올해는 상반기에만 13조4000억원으로 늘어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금리 시대에 수익원을 찾지 못한 보험업계에서 PF를 늘리는 것으로 보고 적정성 여부를 따져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