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병풍지맥 제4구간 못재육교에서 진곡산단까지
산행날짜: 2019년 2월 22일 금요일
날씨: 맑음
위치: 광주광역시, 전남 장성군
산행구간: 못재암 정류장~못재육교~철마봉~와룡리,덕성리간도로~큰봉(309.6m)~판사등산(▲343.0m)~
263.2m봉(조릿대숲)~신룡동,행정리간도로~팔랑산(121.9m)~진곡산단
산행자: 천 자 봉 홀로
전라남도 장성군터미널에서 06:30에 광주로 출발하는 버스에 승차하여 단광버스정류장을 지나서 못재육교 직전의
못재암 정류장에서 하차해 약08분정도 걸어서 이동하여 들머리인 못재육교 앞에 도착후 산행준비를 마치고 우측의
절개지를 출발합니다
병풍지맥 제4구간의 지형도입니다↓
못재암 정류장에 도착했습니다 ↓
못재암 정류장 우측 도로입니다 ↓
07:02 못재육교를 출발했습니다
못재육교 직전 우측 절개지를 짧게 올라서 좌측에서 뚜렷한 길이 합류되는 지점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전환되어
오르막길을 올라 삼각점(담양452 1991복구)이 설치된 182.9m봉에 도착하여 좌향의 완만한 오름길을 진행하여
세멘트 블록으로 만들어진 원형 군진지가 설치된 223.3m봉에 도착해 진행해야할 마루금이 조망되는 우측3시
방향으로 전환되어 내림길과 오름길을 반복하여 안부를 통과후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하늘기둥”님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되어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철마봉에 도착합니다
못재육교에 도착했습니다 ↓
못재육교를 출발했습니다 ↓
182.9m봉에 도착했습니다 ↓
228.3m봉에 도착했습니다 ↓
228.3m봉의 군진지입니다 ↓
07:52 철마봉(282.9m)에 도착했습니다
좌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우측의 길을 약12분정도 진행하여 넓은 공터가 조성되어있으며 키작은
정상석과 “월선(산)봉 등산로” 안내판이 설치된 큰월선봉을 답사후 되돌아 내려가 철마봉 갈림길 우측3시방향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우측의 답사했던 큰월선봉을 조망후 흙묘2기가 자리한 묘터를 지나 좌우측으로 넓은 임도가
연결되는 안부를 통과하여 완만한 오름길과 오르막길을 차례로올라서 좌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후방의 지나온
철마봉과 큰월선봉이 조망되는 폐헬기장에 도착해 우측3시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봉분이 낮은 흙묘2기가 자리한
묘터를 지나서 오름길로 올라 등고선상의 240m봉에 도착하여 송전탑이 조망되는 좌측9시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국가지점번호가 부착되어있는 107번 송전탑을 통과해 좌측에서 길이 합류되는 갈림길에 도착해 우측의 내림길을
내려가 절개지 상단부에 도착하여 우측 절개지를 따라 내려가 이동통신사 중계기가 설치되어있으며 좌우측으로
낙석방지용 철망이 설치된 편도1차로의 도로에 도착합니다
철마봉에 도착했습니다 ↓
큰월선봉에 도착했습니다 ↓
철마봉을 내려가며 우측을 조망했습니다 ↓
임도에 도착했습니다 ↓
임도를 통과하여 지나온 큰월선봉과 철마봉을 조망했습니다 ↓
폐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
절개지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
09:12 도로에 도착했습니다
우측의 황룡면 와룡리와 좌측의 남면 덕성리를 연결하는 편도1차로를 횡단하여 철망이 시작되는 낮은 콘크리트
옹벽을 올라서 가파른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106번 송전탑을 지나 좌측의 길이 합류되는 갈림길에서 우향의
완만한 오름길을 올라 특징없이 이어가 흙묘6기가 조성된 넓은 묘터에 도착하여 좌향으로 내려가 좌측에 송전탑이
설치된 166.3m봉에 도착해 우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좌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좌측으로 조릿대 숲이 형성된 얕은
안부를 통과하여 우측에 설치된 “”한국철도 시설공단“의 기준점(No,335)을 확인후 오르막길을 올라서 좌측11시
방향의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해 정면의 송전탑을 향하여 가파른 오르막길을 진행후 24번 송전탑을 지나서
좌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며 관리되지 않는 흙묘1기가 자리한 285.2m봉에 도착합니다
도로에 도착했습니다 ↓
도로에서 정면의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갑니다 ↓
좌측에 고려세멘트 송전탑이 설치된 봉우리에 도착했습니다 ↓
조릿대 숲이 형성된 안부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오르막길 우측에 설치된 기준점입니다 ↓
10:06 285,2m봉에 도착했습니다
준희님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되어있는 갈림길에서 우측3시방향의 완만한 길을 약6분정도 이어가 “서울청산수”
산악회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되어있는 “쪽박등산”에 도착하여 되돌아 내려가 갈림길을 지나 우측으로 편백 숲이
형성된 내림길을 내려가 좌측 자풍마을 방향의 길이 갈라지며 안내표지목과 긴의자 한 개가 설치된 안부갈림길을
통과하여 묘2기가 자리한 257.4m봉에 도착해 우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좌측으로 길이 연결되는 얕은 안부를 지나
임도로 전환되어 오르막길을 올라 두 번의 갈림길을 통과후 표지목(큰봉0.94km⇦■⇨2.61km영천사(오룡))이
설치된 지점을 지나서 21번 송전탑을 통과해 진행하던 임도가 우향으로 굽어 돌아가며 좌측10시 방향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좌측의 완만한 길을 이어가 좌우측의 길이 연결되는 안부를 지나서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좌측과 우측의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올라 큰봉에 도착합니다
285.2m봉에 도착했습니다 ↓
285.2m봉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착했습니다 ↓
285.2m봉을 내려가는 우측의 숲입니다 ↓
좌측 자풍마을로 연결되는 안부갈림길을 통과합니다 ↓
257.4m봉에 도착했습니다 ↓
훼손된 표지목을 지나갑니다 ↓
우측에 설치된 쉼터입니다 ↓
12:26 큰봉(309.6m)에 도착했습니다
별다른 특징없이 선답자님들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되어있는 큰봉에서 되돌아 내려가 표지목이 설치되어있으며
조금전에 헤어졌던 길과 합류되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판사등산 방향의 완만한 오르내림을 진행후 좌측과 지지대에
로프가 설치된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며 표지목(임도(독골)0.25km)이 설치된 폐헬기장인 296.8m봉에 도착하여
좌측10시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정면의 판사등산을 조망후 긴의자 3개가 설치된 쉼터를 지나 우측에 흙묘1기가
자리한 안부를 통과하여 통나무계단의 오르막길을 올라 우측의 육각정자를 지나 좌측 남면 마령리 방향을 조망후
판사등산정상에 도착합니다
큰봉에 도착했습니다 ↓
갈림길에 설치된 표지목입니다 ↓
폐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
헬기장에 설치된 표지목입니다 ↓
헬기장 우측으로 연결되는 길입니다 ↓
올라야할 판사등산을 조망했습니다 ↓
판사등산으로 오르는 계단입니다 ↓
계단을 올라서 육각정장에 도착했습니다 ↓
좌측 아래의 마령리를 조망했습니다 ↓
12:54 판사등산정상(▲343.0m)에 도착했습니다
철망안에 국가지점번호(다,라:3210 9375)가 부착된 콘테이너와 무인카메라가 표지목과함께 설치되어있으며 우측
귀전암 방향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지형도에 표기된 삼각점을 찾았으나 확인하지 못한채 좌측의
낙암 방향으로 이어지는 넓은 길을 이어가 국가지점번호와 표지목이 설치되어있으며 우측3시방향의 월봉서원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을 지나 진행하던 넓은 길과 좌측의 길이 갈라지며 표지목(판사등산0.4km⇦⇨하림1.6km)이
설치된 갈림길에 도착하여 넓은 길과 헤어져 좌측의 희미한 잡목지대 내리막길을 내려가 “청송심씨”가의 흙묘
여러기가 조성되어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묘터에 도착후 묘터 상단부 좌측의 길을 진행후 송전탑
설치용 임도를 올라서 16번 송전탑에 도착해 우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별다른 특징없이 오름길과 내림길을 번갈아
좌향과 우향으로 진행하여 좌우측으로 흙묘1기씩 자리한 얕은 안부를 통과하여 독도님의 격려글 코팅지가 매달린
지점을 지나면서 가파른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크고작은 바위들이 널려있고 좌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조릿대 숲이
형성된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의 조릿대 숲을 짧게 통과하여 굵은 소나무에 “신선”님의 안내판이 부착되어있는
263.2m봉에 도착합니다
판사등산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정상에서 낙암방향으로 진행합니다 ↓
월봉서원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그동안 진행하던 넓고 뚜렷한 길과 헤어지게되는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길주의지점입니다) ↓
독도님의 격려글입니다 ↓
13:49 263.2m봉에 도착했습니다
조릿대 숲으로 형성된 봉우리에서 좌향의 조릿대 숲을 긴 시간동안 통과해 직진과 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는
지점에 도착해 우측의 내림길을 내려가 짧은 조릿대 숲을 통과후 또 다른 세 번째의 조릿대 숲을 긴 시간동안
이리저리 이동하며 통과하여 완만한 내림길로 전환되어 좌우측으로 희미한 길이 연결되는 얕은 안부를 지나서
정면이 탁트여 진행해야할 팔랑산 방향의 마루금이 조망되며 “경주최씨”가의 원형석곽묘를 비롯해 봉분이 커다란
흙묘 여러기가 조성된 묘터에 도착해 우향의 완만한 잡목지대를 내려가 송신철탑이 설치된 넓은 개활지를 통과후
좌측의 검정마을과 우측의 신촌 마을으로 연결되는 도로에 도착합니다
263.2m봉에 도착했습니다 ↓
조릿대 숲을 통과합니다 ↓
세 번의 조릿대 숲을 어렵게 통과하여 묘터에 도착했습니다 ↓
송신탑이 설치된 개활지를 통과합니다 ↓
송신탑에서 팔랑산을 조망했습니다 ↓
봄이왔습니다 ↓
14:38 도로에 도착했습니다
도로를 횡단하여 우측의 신촌마을과 지나온 조릿대 숲 방향의 마루금이 조망되며 황토로 이루어진 넓은 밭을 지나
감나무 밭을 통과하여 정면의 대나무 숲을 짧게 지나서 흙묘4기가 자리하며 우측1시방향의 팔랑산이 조망되는
묘터에 도착하여 좌향으로 전환되어 밭을 통과후 잡목지대 낮은 능선을 넘어 경주(달성)배씨가의 봉안당에 도착해
좌측의 진곡제와 정면의 팔랑산을 조망후 임도를 진행하여 정면으로 팔랑산이 가깝게 조망되며 우측의 신촌마을과
좌측의 진곡산단 방향으로 연결되는 포장도로에 도착후 우측의 “백양농원”입구 방향으로 짧게 이동해 좌측9시
방향의 짧은 개활지를 통과하여 오르막길을 올라 팔랑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도로에 도착했습니다 ↓
황토밭에서 후방의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우측의 신촌마을을 조망했습니다 ↓
진행방향의 마루금입니다 ↓
감나무 밭을 통과하여 대나무 숲으로 진행합니다 ↓
묘터에서 정면의 팔랑산을 조망했습니다 ↓
묘터에서 통과하게되는 밭입니다 ↓
묘터를 출발하여 밭과 낮은 능선을 넘어 도착했습니다 ↓
배씨 묘터에서 좌측의 진곡저수지를 조망했습니다 ↓
진행하게 될 마루금입니다 ↓
백양농원입구 삼거리에 도착했습니다 ↓
삼거리 우측입니다 ↓
진행하게 될 팔랑산 방향의 마루금입니다 ↓
15:17 팔랑산 정상(121.9m)에 도착했습니다
좌측과 우측 송전탑 방향으로 길이 갈라지며 정면으로 진곡산단 공장들이 나무사이로 조망되는 팔랑산 정상에
도착하여 좌측10시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탁트여 진곡산단이 시원스럽게 조망되는 지점을 지나서 넓게 조성된
“순천박씨”가의 묘터와 사당을 지나 좌향의 도로를 이어가 공장건물들로 마루금이 가로막혀 좌측 백양농원에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진행후 진곡산단에 도착해 산행을 마치고 우측으로 짧게 이동하여 버스종점 방향의 도로를
약100여미터 진행해 버스정류장에서 18번 버스를 이용하여 운남삼성아파트 정류장으로 이동해 3번버스로 환승해
광주광역시 터미널에서 동서울행 고속버스를 이용하여 귀경했습니다.
팔랑산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정상 우측 송전탑방향의 길입니다 ↓
팔랑산정상을 내려가며 진곡산단을 조망했습니다 ↓
마루금이 건물들로 가로막혀 좌측의 도로를 진행합니다 ↓
순천박씨 묘터에 도착했습니다 ↓
묘터 입구 안내판입니다 ↓
진행중인 도로 좌측에 조성되어있습니다 ↓
산행을 마치는 지점입니다 ↓
산행을 마치고 우측 가까이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도착해 18번을 이용하여 운남삼성아파트 앞으로 이동합니다 ↓
지맥산행거리= 14.39km
못재육교~진곡산단
총 산행시간= 08시간50분
못재육교 출발(07:02)~진곡산단 도착(15:52)
접속구간= 못재암 정류장~못재육교= 거리: 515m 소요시간: 08분
산으로 갈 때
용산역~장성역= 무궁화열차
장성버스터미널~못재암정류장= 시내버스(농어촌버스)
집으로 올 때
광주광역시 진곡산단 버스정류장~광산구 운남삼성아파트 앞 정류장= 문흥18번버스(간선버스)
운남삼성아파트앞 정류장~광주광역시 버스터미널= 수완3번(급행버스)
광주광역시버스터미널~동서울버스터미널 = 고속버스
못재육교방향
장성터미널⇨광주광역시= 05:30~
18번 버스시간표
진곡산단~운남삼성아파트방향=(오후시간) 13:05~(10분간격)
장등동~진곡산단=(오전시간) 05:40~
수완3번 버스시간표
광주광역시버스터미널방향= 05:40~
운남삼성아파트방향= 06:20~
첫댓글 멀리 설에서~~? 대단하십니다~~^^
무박으로 다니신다고 수고많으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