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ps Commander M. A. Purkayev was appointed his Chief of Staff.
Purkayev acquitted himself most commendably during the Great Patriotic War.
Towards the end of 1938 commanders of the District formations were
summoned to a conference to sum up the results of combat training and to
discuss future plans.
군단 사령관 푸르카예프는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푸르카예프는 대조국전쟁 중에 가장 훌륭하게 행동하였다. 1938년이 끝나가면서 관구의 사령관은 전투 훈련의 결과를 종합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토론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하였다.
We heard two speakers — Kovalev, Commander of the Military District,
and Susaikov, member of the Military Council. Kovalev’s speech was well
received. He knew what he was talking about and spoke with dignity, but we felt
that he was no match to Uborevich. It was obvious that he had a lot to learn
before he could become a full-fledged commander of a district as large as the
Byelorussian Military District was then.
두 명의 연사, 군관구 사령관 코발레프와 군사위원회 위원인 수사이코프의 연설을 들었다. 코발레프의 연설은 가슴에 잘 와 닿았다.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았으며, 위엄있게 말했으나, 우리는 그가 우보레비치와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당시 벨로루시아 군관구 만큼이나 큰 지구의 어엿한 사령관이 될 수 있기 전에 분명히 그는 많이 배웠다.
The conference ended with general instructions from the Military Council. It
was quite different before, under I. P. Uborevich: new military equipment was
then shown during conferences, experimental demonstrative exercises of ground
and air forces and operational war games were conducted, and so on.
회의는 군사위원회의 일반적인 지시로 끝을 맺었다. 우보레비치가 지휘했던 전과는 완전히 달랐다. 그 후 새로운 군사 장비를 회의 중에 보여주었고, 지상과 공군의 실험적인 시위 훈련과 작전 전쟁 게임을 지휘하는 등등을 진행하였다.
On the whole, however, in 1938 combat training proceeded normally, and by
the end of the year the 6th Cossack Corps had something to show for it.
At the end of 1938 I was offered the post of Deputy Commander of the
Byelorussian Military District in charge of cavalry. F. I. Kuznetsov was First
Depity Commander (it was the Kuznetsov who in the initial period of the war
was in command of the North-Western Front). I was to take the place of I. R.
Apanasenko who was being transferred to the Kiev Military District as deputy
commander.
그러나 대체로 1938년에 전투 훈련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고, 그해 말까지 제6 코사크군단은 어느 정도 성과를 내었다. 1938년 말 기병을 담당하는 벨로루시 군관구의 부사령관을 제안받았다. 쿠즈네쵸프는 제1 부사령관이었다(쿠즈네쵸프는 전쟁 초기에 북서부 전선의 사령관이었다). 키예프 군관구의 부사령관으로 전출한 아파나센코의 자리를 맡는 일이었다.
In peacetime my duties were to direct the control training of the district
cavalry units and of detached tank brigades which were to act jointly with the
cavalry under the operational plan. If war broke out, I would assume command
of a force of cavalry and mechanized units consisting of four or five cavalry
divisions, three or four detached tank brigades and other augmentation units.
I did not want to leave the corps — I had grown accustomed to it. But the
prospect of having larger operational scope looked attractive, and I gave my
consent. My place in the 6th Cossack Corps was taken by A. I. Yeremenko.
I said good-bye to the corps and divisional commanders and political
workers, and left for Smolensk where the Byelorussian Military District
Headquarters was stationed. There I was most cordially welcomed by the
District Commander M. P. Kovalev.
평화 시기에 나의 임무는 관구 기병 부대의 훈련을 조정하고, 기병과 합동으로 기동하기 위하여 작전계획에 따라 탱크 여단 파견을 지시하는 일이다. 전쟁이 발발하면 나는 기병 부대와 넷 또는 다섯 사단으로 구성된 기계화 부대, 셋 또는 네 단위의 파견 탱크 여단과 다른 증강 부대를 지휘하는 임무였다. 나는 군단을 떠나기를 원치 않았다. 나는 점점 군단에 익숙해졌다. 하지만 더 큰 작전 시야를 가질 수 있다는 전망이 매력적이어서 (제안에) 동의했다. 제6 코사크 군단에서 내 지위는 예레멘코에게 갔다. 나는 군단과 사단 지휘관들과 정치 요원에 작별 인사를 하고 벨로루시아 군관구 본부가 위치해 있는 스몰렌스크로 떠났다. 그곳에서 관구 사령관인 코발레프에게 최고의 환대를 받았다.
My service in the 3rd Cavalry and 6th Cossack Corps had added greatly to
my experience and knowledge, and I will remain forever grateful to all those
who helped me in my work, sparing no effort for our country’s defence.
제3 기병과 제6 코사크 군단에서의 복무로 나의 경험과 지식은 크게 증진되었다. 내 업무를 도와 준 모든 사람들에게 영원히 감사하며, 조국의 방어를 위해 아낌없이 노력할 것이다.
Chapter 7
THE UNDECLARED WAR ON
THE KHALKHIN GOL
칼킨 골에 대한 선포되지 않은 전쟁
In late May 1939, as Deputy Commander of the Byelorussian Military
District, I and my assistants conducted command and staff field exercises in the
vicinity of Minsk, in which commanders of cavalry and some tank detachments
took part, including chiefs of staff and other operational personnel.
The exercises were already over, and on June 1 we analyzed their result in
the Headquarters of the 3rd Cavalry Corps in Minsk. Quite unexpectedly
Divisional Commissar I. Z. Susaikov, Member of the Military Council of the
District, told me that he had received a telephone call from Moscow and that I
was to leave at once and report to the People’s Commissar for Defence on the
following day.
1939년 5월 말 벨로루시아 군관구의 부사령관으로서 나와 보좌관들은 민스크 근처에서 참모와 지휘관 현장 훈련을 지휘했다. 현장훈련에는 참모장 및 작전 요원을을 포함하여 탱크 분견대와 기병 지휘관들이 참여했다. 훈련이 끝난 후 6월 1일 우리는 민스크에 있는 제3 기병 군단 본부에서 그 결과를 분석했다. 정말 기대하지 않았는데 사단 정치위원이자 그 지역 군사위원회의 위원인 수사이코프가 나에게 본인이 모스크바로부터 전화를 받았으며 내가 즉시 떠나 다음 날 인민 방위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I boarded the first Moscow-bound train and came to Voroshilov’s office
promptly on the morning of June 2.
나는 모스크바 행 첫 기차에 올랐고 보로실로프의 사무실에 6월2일 아침에 도착했다.
Voroshilov’s special aide, R. P. Khmelnitsky, told me that the People’s
Commissar was already waiting for me.
보로실로프의 특별 보좌관 크멜리니츠키가 인민위원회 정치위원들이 이미 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주었다.
“You go in and meanwhile I’ll see to it that all essentials are packed for you
for a long journey.”
“들어가 있는 동안 내가 오랜 여행을 위해 필요한 물품들을 챙겨 두겠다.”
“What long journey?”
“오랜 여행이라니?”
“Go and see the People’s Commissar. He’ll tell you all about it.”
“가서 인민위원들을 만나 보세요. 그들이 말해줄 거요.”
On entering Voroshilov’s office I reported my arrival. He inquired about my
health, and said:
보로실로프 사무실에 들어가 도착했다고 보고했다. 그가 내 건강 상태를 물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Japanese troops have made a surprise attack and crossed into friendly
Mongolia which the Soviet Government is committed to defend from external
aggression by the Treaty of March 12, 1936. Here is a map of the invasion area
showing the situation as of May 30.”
“일본 군대가 기습공격을 해서 우호국인 몽골로 넘어오고 있어요. 소련 정부는 1936년 3월 12일 조약에 의거 외부 침략으로부터 방어하기로 약속했어요. 여기 침략지역의 지도가 있습니다. 5월 30일의 상황이오.”
“Here,” he pointed out, “the Japanese had for a long time carried out
provocative attacks on Mongolian frontier guards, and here the Japanese Hailar
garrison invaded MPR territory and attacked Mongolian frontier units which
were covering the area east of the Khalkhin Gol.
“여기,” 보로실로프가 가리켰다. “일본 놈들이 오랫동안 도발적인 공격을 몽골 국경 수비대에 해왔네. 여기 일본 하일라 주둔군이 몽골인민민주주의공화국 국경을 침범해서 할힌 골 동부 지역을 담당하는 몽골 국경 부대를 공격했네.”
“I think they’ve started a big military gamble. At any rate, it’s only the
beginning… Could you fly there rightaway and if need be assume command of
the troops?”
“내 생각에 그들은 거대한 군사적 도박을 시작한 건데. 어쨌든 단지 시작일 뿐… 지금 즉시 그곳으로 날아갈 수 있겠나? 필요하다면 그 부대의 지휘를 맡아 주게.”
“I am ready this minute,” I answered.
“나는 준비가 되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Good. The plane will be waiting at the Central Airfield at 16:00 hours. Get
in touch with Smorodinov. He will give you the requisite information and
arrange for liaison with the General Staff. A small group of military experts will
be flying with you. Good-bye now, and all the best.”
“좋네. 비행기가 오후 4시 중앙 비행장에서 기다리고 있을 거네. 스모로디노프를 만나보게. 그가 당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줄 것이네. 그리고 참모부와의 연락을 주선해 줄 것이다. 몇몇 군사 전문가들이 당신과 함께 비행할 거야. 자 잘 가게 모든 일이 잘 될 거야.”
After leaving the People’s Commissar I went to the General Staff to see Ivan
Smorodinov, Acting Deputy Chief of the General Staff, whom I knew from
before. On his desk lay a map similar to the one the People’s Commissar showed
me a few minutes before. Smorodinov said he could not add much to what the
People’s Commissar had said, and all we had to arrange was communications.
“The moment you arrive,” said Smorodinov, “see what’s going on and report
to us. But pull no punches.”
인민위원회를 나온 후 참모부로 가서 전부터 알고 있던 부참모장 이반 스모로디노프를 만났다. 책상 위에 몇 분전 인민위원회에서 보았던 것과 비슷한 지도가 놓여 있었다. 스모로디노프가 인민위원회에서 말한 내용 외에 더 보탤 것이 없다고 말했다. 우리가 협의해야 할 것은 소통뿐이었다.
“당신이 도착한 순간.” 스모로디노프가 말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고 우리에게 보고해 주시오. 하지만 주먹을 날리지는 마시오.”
We parted.
Soon we were air-borne, heading for Mongolia. Our last stopover before
crossing the border was Chita. Here we were invited to the Military Council of
the District for a briefing. At headquarters we were met by V. F. Yakovlev,
Commander of the Military District, and D. A. Gapanovich, member of the
Military Council. They informed us of the latest developments. The new element
was that the Japanese Air Force was penetrating deep into Mongolian air space,
chased our lorries and cars and shot them up.
우리는 헤어졌다.
이윽고 몽골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 있었다. 국경을 넘기 전 마지막으로 잠깐 들른 곳은 치타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 구역의 군사위원을 불러 보고를 받았다. 본부에서 우리는 야코플레프 군관구 사령관과 가파노비치 군사위원을 만났다. 그들은 최근 전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주었다. 새로운 사항은 일본 공군이 몽골의 깊순한 영공까지 침범하여 우리의 트럭과 차량을 추적하고 총격을 가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In the morning of June 5 we arrived at Tamtsak-Bulak where the Headquarters of the 57th Special Corps was stationed, and met Corps Commander N. V. Feklenko, Regimental Commissar M. S. Nikishev, who was commissar of the corps, and Brigade Commander A. M. Kushchev, chief of staff.
6월 5일 아침 참차크 불락에 도착했다. 제57 특별군 본부가 그곳에 있었다. 우리는 군단장인 펠덴코, 연대 정치위원이자 군단 정치위원인 니키세프, 그리고 참모장이자 여단 사령관 쿠쉬셰프를 만났다.
Reporting on the situation, Kushchev made the reservation that things were
not yet sufficiently clear.
상황에 대해 보고하면서 쿠쉬쳬프는 상황이 아직 필요한 만큼 명확하지 않다고 걱정하였다.
It was evident from his report that the corps command did not know the real
state of affairs. I asked Feklenko whether he believed it possible to control
troops 120 kilometres from the battlefield.
군단 사령부가 실제 돌아가는 상황을 모른다는 사실이 보고에서 명확해졌다. 나는 펠덴코에게 전장으로부터 120킬로미터 떨어져서 부대를 지휘하는 게 가능하다고 믿는 건지 물었다.
“It’s hard to deny we are a bit too far away,” he said. “But the fighting area
is operatively unprepared. There is not one kilometre of telephone or telegraph
wires ahead, no command post and no landing strips.”
“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가 말했다. “하지만 전투 지역은 작전상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그곳에는 전신이나 전화가 1킬로미터도 깔려 있지 않으며 지휘소도 활주로도 없습니다.”
“And what is being done about all that?”
“그러면 그에 대해 어떤 조치가 행해지고 있나요?”
“We are about to send for timber and start building a command post.”
“우린 지금 막 목재를 보내 지휘소를 건설하려고 합니다.”
It turned out that none of the commanding officers except Regimental Commissar M. S. Nikishev had visited the site of the fighting. I suggested that the commander of the corps and I go to the front line immediately and study the situation. He said, however, that he expected an urgent phone call from Moscow and suggested that M. S. Nikishev would go with me.
연대 정치위원인 니키셰프를 제외하고는 어떤 지휘관도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현장을 방문한 사람이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나와 군단장이 즉시 전선으로 가서 상황을 조사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군단장 자신은 모스크바로부터 긴급한 전화가 받아야 하기에 나와 니키셰프가 함께 가기를 제안했다.
On the way, the Commissar told me in minute detail about the corps, its combat readiness, about its headquarters, its commanding officers and political instructors. Nikishev made a very good impression on me. He obviously knew his job, his people, and all their weaknesses and merits.
가는 길에 정치위원이 군단과 전투 준비, 지휘 본부, 지휘관 그리고 정치 지도자에 대해 상세한 사항을 조금씩 나에게 말했다. 니키셰프는 매우 좋은 인상을 나에게 심어주었다. 그는 자기 일과 인민, 그리고 그들의 약점과 장점 모두에 대해 명확하게 알고 있었으며,
After making a detailed survey of the terrain in the area of the fighting and talking with the commanding officers and commissars of our units and those of
the Mongolian Army, including the staff officers, I came away with a more or less clear picture of the nature and scope of the hostilities and of the capacity of the Japanese troops. I also noted the errors made by the Soviet and Mongolian troops. One of the most serious was the lack of thorough reconnaissance.
전투 지역의 지형을 상세하게 조사하고 난 후 참모진을 포함한 우리 부대 지휘관과 정치위원 그리고 몽골 부대 정치위원과 지휘관과 이야기하면서 일본군 능력의 특징과 한계 scope과 적대행위 hostility의 특징 nature과 범위 scope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다소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소련과 몽골군이 저지른 실수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가장 심각한 잘못 하나는 철저한 사전정찰의 결여다.
By all evidence this was not a mere border incident; it was obvious that the Japanese had not given up their aggressive plans against the Soviet Far East and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and that shortly they would escalate their action.
After appraising the situation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forces of the 57th Special Corps deployed in the MPR would not be able to stop the Japanese, particularly if they should decide to begin military action in other areas as well, and from other directions.
모든 증거를 살펴보니 이 상황은 단순한 국경 사건이 아니었다. 일본은 소련의 극동 아시아와 몽골 인민공화국에 적대하는 침략 계획을 포기하지 않았음이 분명했다. 상황 평가가 끝난 후 특히 일본이 다른 지역에서처럼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부터 군사 행동을 개시하려고 결정한다면, 몽골인민공화국에 배치된 제57 특별군단은 일본을 저지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Upon returning to the command post and discussing the situation with the corps command, we dispatched a report to the People’s Commissar for Defence.
지휘소로 돌아와 군단 지휘부와 그 상황을 토론하고서, 국방 인민 위원에게 보고서를 보냈다.
The report presented a brief plan of action for the Soviet-Mongolian troops: to hold the bridgehead on the right bank of the Khalkhin Gol (the Mongol name of
the Khalkha River), and at the same time prepare for a counter-offensive from
Mongolian territory. The next day we received an answer. The People’s Commissar for Defence fully agreed with our assessment of the situation and the plan of action. That day an order was received from the People’s Commissar, relieving Feklenko of the command of the 57th Special Corps and assigning me to this post.
Aware of the difficult situation, I requested the People’s Commissar for Defence to reinforce our Air Force units, and also asked for not less than three rifle divisions, one tank brigade and substantial artillery reinforcements. Without this, we believed, it was impossible to gain victory.
보고서에 소련과 몽골 군대의 행동계획을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칼킨 골(몽골어로 할하 강)의 우안에 교두보를 마련할 것, 동시에 몽골 국경에서의 반격을 준비할 것. 다음 날 우리는 답장을 받았다. 국방인민위원은 상황에 대한 우리 평가와 행동계획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날 인민위원으로부터 페클렌코를 제57 특별군단장에서 해임하고 나를 그 자리에 임명한다는 명령을 받았다. 어려운 상황을 인지하고 국방인민위원에게 우리 공군의 전력을 강화하고 3개 이상의 소총 사단과 한 개 탱크 여단과 상당한 정도의 포병 강화를 요청했다. 이것이 없다면 승리를 얻을 수 없다고 우리는 믿었다.
A day later we were informed that the General Staff had accepted our proposals. Additional aircraft were being flown to us and also a group of pilots composed of 21 Heroes of the Soviet Union headed by the famous Y. V. Smushkevich whom I knew well from the Byelorussion Military District. At the same time we received the modernized 1-16 and Chaika planes.
하루 뒤 총참모부가 우리 제안을 받아들였다는 보고를 받았다. 증원된 비행기가 날아왔고, 21명의 소비에트 연방의 영웅들로 구성된 비행사 집단도 함께 왔다. 비행사 집단은 벨로루시아 군관구에서 잘 알고 있던 유명한 스무쉬케비치가 이끌었다. 동시에 우리는 현대화한 I-16형과 차이카 비행기를 받았다.
The pilots who were Heroes of the Soviet Union conducted training courses
with newly arrived young pilots. The results were felt very shortly.
On June 22, 1939, ninety five of our fighters engaged in a fierce dog-fight
with 120 Japanese planes over the territory of the MPR. Many Heroes of the
Soviet Union participated and gave the Japanese a lesson to remember. On June
24, the Japanese Air Force repeated its massive raid and was again thrashed.
After the defeat, the Japanese command began withdrawing its planes from the
battle in haphazard manner.
소비에트 연방의 영웅인 비행사들이 새로 도착한 젊은 비행사와 함께 훈련 과정을 지휘했다. 성과가 매우 빠르게 나타났다.
1939년 6월 22일 전투기 95대가 몽골인민민주주의공화국의 영공에서 일본 비행기 120대와 치열한 공중전을 벌였다. 수많은 소련의 영웅들이 참여하여 일본에 기억할만한 교훈을 주었다. 6월 24일 일본 공군은 대규모 공습을 반복했고 다시 패배했다. 패배 후 일본군 사령관은 전투에서 비행기를 무모한 방법으로 철수시키기 시작했다.
On June 26, up to 60 aircraft appeared over lake Buir Nor. A ruthless dogfight
with our fighters ensued. The Japanese pilots taking part in this battle were
obviously more experienced than their predecessors and yet they could not come
out on top. As we learned later, the Japanese brought into this action the aces of
their air force operating in China. In all, between June 22 and 26, the Japanese
lost 64 planes.
6월 26일 60대에 달하는 비행기가 뷔르 노르 호수 위로 나타났다. 우리 전투기와 인정사정없는 공중전이 벌어졌다. 이 전투에 참여한 일본 조종사들은 그들의 선임자들보다 확실히 경험이 많았지만, 정상에 오를 수는 없었다. 나중에 알았지만, 일본은 이 작전에 중국에서 운영하던 일본 공군의 최정예를 데려왔다. 6월 22일과 26일 사이에 일본은 모두 64대의 비행기를 잃었다.
Dog-fights continued regularly almost every day up to July 1, though they
were not as fierce as before. In these battles, our pilots improved their skill and
tempered their will power.
7월 1일이 될 때까지 공중전은 거의 매일 정기적으로 계속되었다. 하지만 전처럼 그렇게 치열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전투에서 우리 조종사들은 자신들의 기술을 개선하였고 의지력을 단련시켰다.
I often gratefully remember Gritsevets, Kravchenko, Zabaluyev, Denisov,
Rakhov, Skobarikhin, Orlov, Kustov, Gerasimov, and many other air aces. The
commander of their group, Y. V. Smushkevich, was an excellent organizer, an
expert in airplanes, and an ace flier. He was a very modest man, a splendid
commander and a Communist of high rating, loved by all the pilots.
나는 종종 그리체베츠, 크라브첸코, 자발루예프, 데니소프, 라라쵸프, 스코바리친, 올르로프, 쿠스토프, 게라시모프, 그리고 다른 많은 공군의 일등 조종사들을 감사하게 기억한다. 조종사 집단의 사령관 스무쉬케비치는 뛰어난 조직가이며 비행기 전문가이자 최고의 조종사이다. 그는 매우 온화한 사람이며 뛰어난 사령관이고 최고로 평가되는 공산주의자로 모든 조종사들이 사랑하는 사람이다.
It was no accident that the enemy air force was so active. It was clearly bent
on dealing us a serious blow and gaining air supremacy to support a major
Japanese offensive.
일본 공군이 그렇게 활발하게 활동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것은 명백히 일본의 대규모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하늘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고 우리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기 위해 작정한 것이다.
Indeed, as it later transpired, the Japanese had been concentrating their
troops in the area of the Khalkhin Gol throughout June and were preparing them
for an operation code-named “Second Period of the Namonhan Incident”, which
was provided for in the plan of their military aggression. The immediate goal of
the operation was:
— to surround and rout the entire group of Soviet and Mongolian troops
deployed east of the Khalkha river (Khalkhin Gol);
— to cross the Khalkhin Gol and emerge on the west bank with the aim of
destroying our reserves;
— to seize and expand the bridgehead west of the Khalkhin Gol and pave
the way for further actions.
실제로 나중에 드러난 것처럼 일본은 6월 내내 칼킨 골 지역에 부대를 집중시켜, 군사 침공 계획에서 제공한 작전명 “제2기 노몬한 사건”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 작전의 직접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할하강 동쪽(할힌 골)에 위치한 소련군과 몽골군 집단 전체를 포위하고 패퇴시킨다.
-할힌 골을 넘어 우리 예비대를 파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서안에 등장한다.
-할힌 골의 서안에 교두로를 확보하고 확장하여 앞으로의 작전을 위한 길을 연다.
To carry out this operation the enemy moved up from the region of Hailar
troops intended for action as part of the 6th Army, which was then being
deployed.
이러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적은 당시 배치 중이던 제6군의 일부로서 활동할 예정이었던 하일라르 부대 지역에서 이동하였습니다.
The Japanese Command reckoned that the forthcoming offensive would end
in the first half of July, so that all hostilities on Mongolian territory could end
before autumn. It was so sure of victory that it even invited some foreign
correspondents and military attaches to the combat area to view its victorious
actions. Among those invited were the correspondents and military attaches of
Nazi Germany and fascist Italy.
일본 사령관은 다가온 공격을 7월 전반기에 끝내고 따라서 몽골 영토 안에서의 모든 교전은 가을이 되기 전에 끝낼 수 있으리라 계산하였습니다. 승리에 대한 확신이 너무 강해서 몇몇 외국 기자와 군사 무관을 승리 장면을 보라고 전장으로 불렀다. 초대된 사람 중에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군사무관과 기자들이 있었다.
Before dawn on July 3, Colonel I. M. Afonin, senior adviser of the Mongolian Army, went to the Bain-Tsagan mountain to check the defences of the Mongolian 6th Cavalry Division. There he quite unexpectedly discovered
Japanese troops which had crossed the Khalkhin Gol under cover of darkness
and attacked Mongolian units. Before the dawn of July 3, taking advantage of
their superior strength, the Japanese seized Bain-Tsagan Mountain and the
adjacent territory. The Mongolian 6th Cavalry Division retreated to the northwestern part of Bain-Tsagan mountain.
7월 3일 새벽이 되기 전 몽골 군대의 수석 고문 아포닌 대령은 바인-차간 산으로 몽골 제6 기병 사단의 방어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갔다. 그곳에서 뜻밖에도 어둠 속에 숨어서 몽골 부대를 공격하기 위해 할힌 골을 건너던 일본 부대를 발견했다. 7월 3일 동트기 전 우월한 화력의 이점 삼아, 일본군은 바인-차간 산과 인접한 지역을 점령했다. 몽골 제6 기병 사단은 바인-차간 산의 북서 지역으로 후퇴했다.
Seeing the dangerous new situation, Colonel Afonin immediately returned to
the command post of the Soviet troops (soon, on July 15 the 57th Special Corps
was converted into the First Army Group) and reported on the situation on Bain-
Tsagan Mountain. It was clear that nothing could prevent the Japanese troops in
this area from hitting the flank and rear of our main force.
위험스런 새로운 상황을 보면서 아포닌 대령은 곧바로 소련군 지휘소로 돌아왔다.(얼마 지나지 않아 7월 15일에 제57 특별군단은 제1군 집단으로 전환하였다.)
In view of this complication, all reserves were at once alerted and ordered to
move in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Bain-Tsagan, and attack the enemy. The
11th Tank Brigade under Brigade Commander Yakovlev was ordered to strike
on the march. The 24th Motorized Regiment supported by an artillery battalion
under the command of Colonel Fedyuninsky was ordered to attack the enemy in
close interaction with the 11th Tank Brigade. The 7th Armoured Brigade under
Colonel Lesovoi was to attack from the south. An armoured battalion of the
Mongolian 8th Cavalry Division was also moving there.
이러한 복잡성을 고려하여 모든 예비군에게 즉시 경보가 발령되어 바인-차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을 공격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야코플레프가 여단장인 제11 탱크여단은 행군을 개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24 자동화 연대는 페듀닌스키 대령의 포병 대대의 지원을 받아 제11탱크여단과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적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레소보이 대령 휘하의 제7 장갑 여단은 남쪽에서 공격하기로 되어 있었다. 몽골 제8 기병 사단의 장갑 대대 역시 그곳으로 이동하였다.
Early in the morning on July 3, the Soviet Command arrived in the area of
Bain-Tsagan Mountain. The heavy artillery battalion of the 185th Artillery
Regiment was ordered to set up observation posts on Bain-Tsagan and to open
fire on the Japanese. Simultaneously, the artillery deployed across the Khalkhin
Gol (supporting the 9th Armoured Brigade) was ordered to shift its fire to the
Bain-Tsagan. All available aircraft were alerted.
7월 3일 아침 일찍 소련군 사령부가 바인-차간 산 구역에 도착했다. 제185포병연대의 중포대대에 바인-차간에 관측소를 설치하고 일본군을 향해 포격을 가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동시에 할힐 골 전역에 설치된 포병은 (제9장갑여단을 지원하면서) 화력을 바인-차간으로 돌리라는 명령을 받았다. 사용가능한 모든 비행기에 경보가 전달되었다.
At 7 o’clock in the morning the first groups of our bombers and fighters
began attacking and bombing the Bain-Tsagan. It was extremely important for us
to hold the enemy in check with aircraft hits and artillery fire until the arrival of
reserves for the counterblow.
아침 7시 우리 폭격기와 전투기의 제1대가 바인-차간을 폭격과 공격을 개시했다. 반격을 가하기 위한 예비부대가 도착할 때까지 공중 타격과 포격으로 적을 견제하고 저지하는 일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했다.
To keep up the enemy from crossing the Khalkhin Gol and prevent him from
massing forces in the mountain area, the heavy bombing and shelling of the
crossing was to continue without a stop.
적이 할힌 골을 넘지 못하게 하고 산악지역에 군대를 집결시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도하 지점에 대대적인 폭격과 포격은 쉽없이 계속되어야만 했다.
At about 9 o’clock in the morning the advance detachments of the vanguard
battalion of the 11th Tank Brigade began arriving in the combat area.
The relation of strength directly in the Bain-Tsagan area was the following:
the enemy had succeeded in concentrating over 10,000 men on the mountain; the
Soviet troops had only a little over 1,000 men; the Japanese troops had some 100
artillery pieces and up to 60 anti-tank guns, while we had 50 or so pieces of
ordnance, including the supporting artillery on the eastern bank of the Khalkhin
Gol.
아침 9시 제11탱크여단의 선봉 대대의 선봉대가 전투 지역에 도착했다. 바인-차간 지역에 솔직한 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적이 산에 병사 10,000명을 집결시키는 데 성공했다; 소비에트 부대는 1,000명 남짓이었다; 일본군은 100문의 포와 60문의 대전차포를 갖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는 50여 문의 포가 있었는데 할힌 골의 동안에 있는 지원 포를 포함한 숫자이다.
But we had in our ranks the heroic 11th Tank Brigade which had up to 150
tanks plus the 154 armoured vehicles of the 7th Armoured Brigade and the
Mongolian 8th Armoured Battalion equipped with 45-mm guns.
하지만 우리는 우리 대열에 150대에 달하는 영웅적인 제11탱크여단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제7장갑여단의 154대의 장갑차와 45mm 기관총으로 무장한 몽골 제8장갑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Thus, our trump card was the armour, which we decided to send into action
immediately in order to crush the Japanese troops which had just crossed the
river, not letting them dig in and organize anti-tank defences. There was no time
to lose, since the enemy, who saw our tanks advance, rapidly began to take
defensive measures and started bombing them. The tanks had no shelter. For
hundreds of kilometres around us the terrain was absolutely open. There was not
even a bush in sight.
따라서 우리의 승부수는 장갑이며 막 강을 건넌 일본군이 참호를 파서 대전차 방어망을 구축하지 못하도록 일본군을 쳐부수기 위해 즉각적으로 행동에 돌입할 것을 결정했다. 우물쭈물할 시간이 없었다. 왜냐하면 적은 우리 탱크의 진격을 알아서 급하게 방어 수단을 취하기 시작했고 탱크에 포격을 개시했기 때문이다. 탱크는 피할 곳이 없었다. 우리 주변 수백 킬로미터의 지형이 완전히 열려있기 때문이었다. 덤불조차 보이지 않았다.
At 9:15 that morning I met Yakovlev, commander of the 11th Tank Brigade,
who was with the main force of the vanguard battalion and directed its actions.
After discussing the situation, we decided to call out all our air force, speed up
the movement of our tanks and artillery, and attack the enemy not later than
10:45. Most of the vehicles of the 11th Tank Brigade were deployed for combat
by that time, and attacked the Japanese troops.
아침 9시 15분 제11탱크여단장인 야코블레프를 만났다. 야코블레프는 선봉 대대의 주력부대를 지휘하고 그 작전을 주도하였다. 상황에 대한 토의가 끝난 후 우리 공군 전체를 소집하고 탱크와 야포의 기동에 속도를 높여, 10시 45분 이전에 적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제11탱크여단의 대부분의 장비가 그 시간까지 전투를 위해 배치되어,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Here is what Japanese soldier Nakamura wrote down in his diary on July 3:
여기 일본군 나카무라가 7월 3일 일기장에 써내려간 글이 있다:
“Several scores of tanks attacked unexpectedly, causing chaos among our
troops. There was terrible confusion. Horses stampeded, neighing and dragging
gun carriage with them; cars scattered in all directions. Two of our planes were
shot down. The morale of our troops fell. Japanese soldiers could be heard using
such words as ‘terrible’, ‘sad’, ‘disspirited’, ‘ghastly’, etc., more and more
often.”
“수십 대의 탱크가 기습적으로 공격했다. 우리 부대는 혼돈에 빠졌다. 끔찍한 혼란이 있었다. 말이 놀라서 우르르 도망치고, 말이 울어대고, 대포를 실은 마차를 질질 끌어당겼다. 차는 사방으로 산산이 흩어졌다. 비행기 두 대가 못쓰게 되었다. 부대 사기는 떨어졌다. 일본군은 ‘무시무시하다’, ‘슬프다’, ‘무섭다’, ”절망했다‘ 등등의 말을 더욱더 자주 들을 수 있었다.“
The battle raged round the clock on July 4, and only by 3 o’clock in the
morning on July 5 the enemy’s resistance was broken and the Japanese began
hastily to retreat to the river crossing. But the crossing had been blown up by
their own sappers who had feared a breakthrough of our tanks. Japanese officers
dived headlong into the water in full uniform and drowned before the eyes of our
tankmen.
전투는 7월 4일 내내 격렬하게 벌어졌고, 7월 5일 새벽 3시가 되어서야 적의 저항은 무너졌다. 일본군은 허둥지둥 강을 건너 퇴각하였다. 하지만 도강(건널목)은 우리 전차의 돌파를 두려워 설치한 그들의 지뢰로 인해 폭파되었다. 일본군 장교는 군복을 입은채로 물로 곤두박질쳤고 우리 전차병이 보는 앞에서 익사했다.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troops that had taken the Bain-Tsagan were
destroyed to the last man on the eastern slopes of the mountain near the
Khalkhin Gol. Thousands of dead bodies, carcasses of horses, a multitude of
crashed and broken guns, mortars, machine guns and cars littered Bain-Tsagan
mountain. Forty-five Japanese aircraft, including 20 dive-bombers, were shot
down.
바인-차간을 점령한 일본 군대의 잔재는 할힌 골 근처 산의 동쪽 사면 위에서 마지막 사람까지 파괴되었다. 수천의 사체와 말의 주검, 다수의 부서지고 망가진 소총, 박격포, 기관총 그리고 차량이 바인-차간 산 여기저기 널려 있었다. 폭격기 20대를 포함하여 45대의 일본군 비행기가 파괴되었다.
Commander of the 6th Japanese Army, General Kamatsubara (who had once
served as military attache with the Japanese Embassy in Moscow) saw that
things were getting out of hand and on the night of July 4 withdrew to the other
side of the river with his operational group. The withdrawal from the battlefield
of the Japanese commanding general and his entourage was described in his
diary by one Otani, a senior noncommissioned officer at Kamatsubara’s
Headquarters:
일본 제6군 사령관 카마추바라 장군(모스크바주재 일본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했다)은 상황이 통제불능이라는 사실을 알고 7월 4일 작전지휘부와 함께 강 건너편으로 퇴각했다. 일본군 지휘 장군과 동료들의 전장에서의 퇴각을 카마츠바라 지휘본부에서 선임 부사관인 오타니가 일기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General Kamatsubara’s car moved softly and cautiously. The moonlit
valley was as bright as day. The night was as quiet and tense as we were. The
waters of the Khalkha were lit up by the moon and reflected flares thrown by the
enemy. The picture was frightening. Finally we found a bridge and crossed the
river safely. It was rumoured that our units were surrounded by a large number
of enemy tanks and faced complete destruction. We must be on our guard.”
“카마츠바라 장군의 차가 조심스럽고 부드럽게 움직였다. 달빛에 비친 계곡은 대낮같이 환했다. 밤은 우리만큼 조용하고 긴장하였다. 할하의 물은 달빛을 받아 반짝였고 적이 쏜 조명탄 섬광을 반사했다. 형세는 무서웠다. 마침내 우리는 다리를 발견했고 안전하게 강을 건넜다. 우리 부대가 엄청난 수의 적 전차에 포위되어 완전한 붕괴에 직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우리는 경계해야만 한다.”
--------------------------------------------------------------------------------------------------------------------------------------------------------------------------------------------------------------------------------------------------------------------------------------------------------------------
In the morning of July 5 everything fell silent on the Bain-Tsagan and along
the western bank of the Khalkhin Gol. The battle ended in utter defeat for the
main group of the Japanese forces. This battle was a classic example of active
defence on the part of the Red Army, after which the Japanese troops were no
longer inclined to risk crossing to the western bank of the Khalkhin Gol.
Meanwhile, the eastern bank of the river was a scene of fierce fighting. The
Japanese routed on the Bain-Tsagan had succeeded in withdrawing some troops
to the eastern bank in a bid to help the holding force of General Yasuoka which,
too, after sustaining heavy casualties, failed to attain success.
7월 5일 오전 바인-차간과 할힌 골 서안 주변은 조용하게 느껴졌다. 전투는 일본군 주력부대의 완벽한 패배로 끝났다. 이 전투는 붉은 군대에서 적극적 방어에 관한 최고의 예이다. 일본 군대는 더 이상 할힌 골의 서안을 도강하려는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지 않았다. 반면에 강의 동안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야수오카 장군의 보류부대를 지원하기 위하여 바인-차간에서 패퇴한 일본은 동안으로 일부 부대를 철수시키는 데 성공하였지만 마찬가지로 막대한 사상자를 낸 후 성공하지 못했다.
The rout of a large Japanese force on Bain-Tsagan mountain and successful
resistance on the eastern bank of the Khalkhin Gol boosted the morale of our
troops as well as that of the Mongolian units. Officers and men congratulated
their neighbours and friends heartily on the victory gained.
바인-차간 산 위 일본군의 패퇴와 할힌 골 동안에서의 성공적인 저항은 몽골 부대와 마찬가지로 우리 부대의 사기를 폭발시켰다. 지휘관과 병사는 승리 획득에 대해 이웃과 친구를 진심으로 축하하였다.
The major role in the Bain-Tsagan battle was played by the 11th Tank
Brigade, the 7th Armoured Brigade, the Mongolian 8th Armoured Battalion, and
the artillery and air force units which supported them. The battle showed that
tank and motorized troops cooperating skilfully with the air force and mobile
artillery are a foolproof means for carrying out swift, decisive operations.
제11탱크여단, 제7장갑여단, 몽골 제8장갑대대 그리고 이들을 지원한 포병과 공군부대가 바인-차간 전투에서 중심 역할을 하였다. 바인-차간 전투는 공군과 기동 포병과 슬기롭게 협력하는 탱크와 기동화부대는 신속하고 결단력 있는 작전을 수행하는 데 절대적인 수단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At this stage the enemy confined himself to battle reconnaissance. However,
on August 12 a regiment of infantry supported by artillery, armoured vehicles,
some tanks, and 22 bombers, attacked the Mongolian 22nd Cavalry Regiment
and occupied the Bolshiye Peski height in the southern sector of the front.
The enemy had been building defence lines all along the front: timber was
brought in, dugouts built and fortifications erected. The enemy air force, after
sustaining heavy losses (116 Japanese aircraft were shot down between July 23
and August 4), confined itself to reconnaissance flights and minor bombing raids
against the central crossing of the river, artillery positions, and reserves.
The Soviet-Mongolian Command was preparing thoroughly for a general
offensive not later than August 20 with the aim of wiping out the troops that had
invaded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이 단계에서 적은 전투 정찰에만 전념하였습니다. 그러나 8월 12일 포병, 장갑차와 몇몇 탱크 그리고 22대 폭격기의 지원을 받는 보병 연대가 몽골 22기병연대를 공격하였고, 남부 전선에 있는 볼시예 페스키 고지를 점령하였다. 적은 전선을 따라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목재를 들여오고, 참호를 파고, 요새를 세웠다. 적 공군은 엄청난 손실(116대의 비행기가 7월23과 8월 4일 사이에 파괴되었다)을 입은 후 정찰비행과 강의 중앙교차로, 포병 소재지, 예비부대에 소규모 폭탄 투하로 활동을 제한하였다. 소련-몽골 사령부는 몽골인민공화국을 침범한 부대를 소탕할 목적으로 8월 20일 이내에 전반적인 공격을 하려고 철저히 준비하고 있었다.
At the request of the Military Council new reinforcements, armaments and
other supplies were arriving from the Soviet Union for the First Army Group. In
addition, two rifle divisions, a tank brigade, two artillery regiments, and other
units were moving up. Bomber and fighter units, too, were reinforced.
군사위원회의 요청으로 새로운 증원군, 무기 그리고 다른 보급품이 소연방으로부터 제1군에 도착했다. 이에 더해 소총 사단 둘, 탱크여단, 포병 연대 둘, 그리고 다른 부대가 이동했다. 폭격기와 전투기 부대 역시 강화되었다.
To carry out the forthcoming intricate operation we had to bring over by
country roads from the supply railhead 650 kilometers removed from the
Khalkha River, the following materiel:
— artillery ammunition — 18,000 tons
— aircraft ammunition — 6,500 tons
— fuel and lubricants — 15,000 tons
— foodstuffs — 4,000 tons
— solid fuel — 7,500 tons
— other items — 4,000 tons
다가오는 어려운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우리는 할하 강으로부터 650킬로미터 떨어진 보급품 수송 철도 종점에서 시골길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물자들을 가져 왔다:
-포탄; 18,000톤
-비행기 탄약; 6,500톤
-연료와 윤활유; 15,000톤
-고체 연료; 7,500톤
-다른 물품; 4,000톤
To get all these supplies in before the operation we needed 4,900 lorries,
while only 2,636 were available. After August 14 another 1,250 lorries and 375
tank-trucks arrived from the Soviet Union, but we were still short of several
hundred lorries and tank-trucks.
작전 개시 전에 이 모든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해 트럭 4,900대가 필요했다. 하지만 이용할 수 있는 트럭은 2,636대뿐이었다. 8월 14일 이후 트럭 1,250대와 탱크 트럭 375대가 소연방에서 도착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몇백 대의 트럭과 탱크 트럭이 부족했다.
The brunt of all this transportation was borne by our army transport and the
service vehicles, including artillery tractors. We decided on this extreme
because, firstly, we had no other choice and, secondly, because we believed our
defences to be quite stable.
이 모든 수송의 예봉(주력)은 포병 트랙터를 포함하여 육군 수송부대와 용역 차량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극단적인 조치를 결정한 이유는 첫째, 다른 선택지가 없었으며, 둘째, 우리의 방어력이 상당히 안정적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The drivers worked miracles. Despite the blistering heat and torrid winds,
the round trip of 1,300-1,400 kilometres took just five days.
We were greatly assisted by the Trans-Baikal Military District in organizing
our rear. Without this help we probably would not have been able to build up the
supplies needed for the operation in so short a time.
운전병은 훌륭하게 해냈다. 물집이 잡힐 정도의 열과 타는 듯 뜨거운 바람에도 불구하고, 1,300~1,400km에 달하는 왕복 여정을 5일 만에 해냈다.
우리 후방을 조직하는데 범 바이칼 군관구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조력이 없었다면 작전에 필요한 물자를 그렇게 짧은 시간 안에 모을 수가 없었다.
We believed that the decisive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coming operation
would be the operational and tactical element of surprise that was to deny the
enemy any chance of withstanding our shattering blow or taking counterꠓmeasures. We made a special point of the fact that the Japanese who had no effective tank units or motorized troops, would not be able to move their units
quickly from secondary sectors of the front and from the rear against our shock
groups active on the enemy flanks with a view to surrounding the Japanese 6th
Army.
다가올 작전의 성공을 위한 결정적 요소는 우리의 파괴적인 공세에 일본군이 저항하거나 대응수단을 취할 어떤 기회도 주지 않는 것이라고 믿었다. 일본군은 효과적인 탱크 부대와 기동화부대가 없기에 일본 제6군을 포위하기 위해 적의 양 날개에 대한 아군의 충격적인 집단행동에 대항하여 후방으로부터 그리고 전선의 제2지점으로 재빠르게 부대를 옮길 수 없다는 사실을 특별히 지적하였다.
To disguise our undertaking and to keep it secret, the Military Council of the
Army Group elaborated a plan for distracting the enemy:
1) concealed movement and concentration of troops arriving from the Soviet
Union to reinforce the army group;
2) concealed regrouping of forces and supplies in the defence lines across
the Khalkha River;
3) concealed movement of forces and supplies across the Khalkha;
4) reconnoitering the attack positions; sectors and lines of advance;
5) highly secret training in their missions by all arms of the service involved
in the coming operation;
6) additional covert reconnaissance by all arms and services;
7) misinforming and deceiving the enemy as regards our true intentions.
우리 작전을 위장하고 비밀을 지키기 위하여, 총군 군사위원회는 적을 미혹시키는 계획을 정성 들여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1) 군부를 강화하기 위해 소련으로부터 도착하는 부대의 집결과 기동을 은폐한다.
2) 할하 강 건너에 형성된 방어선 내 군대와 물자의 재편을 은폐한다.
3) 할하 강을 건너는 군대와 물자의 이동을 은폐한다.
4) 공격지점의 지형을 정찰한다;진격 지점과 노선.
5) 앞으로 있을 작전에 포함된 모든 용역 부문에 자신의 임무를 고도로 비밀리에 훈련시킨다.
6) 모든 무력 및 복무자에 의한 부가적인 은밀한 사전정찰.
7) 우리의 진짜 의도라고 적을 기만하고, 오해하게 만든다.
These measures were aimed at creating the impression that we were making
no preparations for an offensive operation. We wanted the Japanese to think that
we were merely building up our defences and nothing else. It was decided
therefore that all movement of troops, their concentration and redeployment,
should take place in the dead of night when the enemy’s visual observation from
land and air would be minimal.
이러한 수단은 공격작전을 위해 아무런 준비도 안 한다는 인상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일본군이 우리가 단지 방어선을 구축하고 아무것도 안 한다고 생각하길 원했다. 고로 부대의 모든 기동, 부대의 집중과 재배치는 적이 육상과 공중에서의 눈으로 관측하는 게 최소가 되는 한밤중에 이루어졌다.
It was strictly forbidden before August 17-18 to move any troops into areas
from which we intended to thrust into the flanks and rear of the enemy. The
officers who were to conduct on-the-spot reconnaissance used lorries and wore
soldiers’ uniforms.
적의 배후와 양측으로 뚫고 들어가기로 되어 있던 지역으로 8월 17, 18일 전에는 어떤 군대도 이동이 철저히 금지되었다. 현장 사전정찰을 지휘하려는 지휘관은 트럭을 이용했으며 사병의 군복을 입었다.
We knew that the enemy tapped our telephone wires and intercepted radio
messages. So we decided to deceive him with radio and telephone reports that
were elaborated to concern nothing but the construction of defences and
preparations for the autumn and winter. The radio exchanges were mainly in a
code which could be easily deciphered.
적이 우리 전화선을 도청하고 무선 통신문을 가로채고 있었다. 그래서 방어선 구축과 가을과 겨울 대비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고 정교하게 만든 무선과 전화 보고를 가지고 적을 속이기로 했다. 무선 교환은 쉽게 해독할 수 있는 암호를 주로 사용했다.
We had printed thousands of instruction leaflets for the soldiers in the
defence lines. These were passed on to the enemy so that the Japanese should be
convinced of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oviet and Mongolian troops.
우리는 방어선에 있는 군인을 위한 수천 개의 교육 전단을 인쇄했다. 이 인쇄물이 적에게 넘어가서 일본군은 소련과 몽골 군대의 정치적 방침을 믿게 되었다.
The concentration of forces — of shock groups on the flanks — and the
movement of troops to the jumping off areas had to occur in the small hours of
August 20. By dawn everything was to be concealed in the thick brush along the
river in specially prepared shelters. Pieces of ordnance, mortars, vehicles and all
other equipment were hidden under camouflage nets made of material that we
found available on the spot. The tank units were moved to the jumping-off areas
in small groups from different directions shortly before the artillery attack and
air raids. This was easily done thanks to their reserve of speed.
전력의 집결-양날개에 대한 공격집단의 집결과 공격 개시 지역으로 부대의 이동은 8월 20일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야만 했다. 새벽까지 모든 일은 강을 따라 짙은 관목 숲에 특별하게 준비된 은폐물 안에 감쳐져 있어야 했다. 하나의 대포, 박격포, 차량과 다른 모든 장비도 그 우리가 지역에서 발견한 이용할 수 있는 자재로 만든 위장 그물 아래 숨겨놓았다. 탱크 부대는 공중 폭격과 포병의 공격 바로 직전에 여러 방향에서 소단위로 공격지점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기동은 탱크 부대가 예정해 두었던 속도 때문에 매우 쉽게 할 수 있었다.
During the night all movements were “jammed” by noise specially created
by aircraft, artillery, mortar, machine-gun and rifle fire, conducted according to a
strict schedule that was dovetailed with the movements.
밤에는 모든 기동은 비행기와 대포, 박격포, 기관총, 소총 발사로 만들어진 특별한 소음 때문에 “방해받았다” 모든 기동은 엄격한 예정시간표에 따라 지휘받았으며, 그 기동은 일정과 딱딱 맞아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