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시 6보병사단 장병들의 결사철모 -
[ 용문산-파로호 전투 ]
6.25 전쟁 당시 1951년, 국군 제 6보병사단이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과 가평군 화악산 일대에서 중공군 3개 사단(63군 187사단, 188사단, 189사단)의 공세를 격퇴하고 패잔병 무리를 화천호(화천 저수지, 현 파로호)까지 쫓아가 섬멸한 대승
6.25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4월 말, 1차 춘계대공세를 실패한 중공군은 5월에 2차 춘계대공세를 펼치게 되는데 그 중심 전투지로 군사적 요충지였던 용문산 일대를 택합니다. 당시 용문산 일대를 수호하던 6사단은 한국전쟁 개전 초기인 춘천-홍천 전투에서 북한군을 저지하면서 유명세를 떨친 사단이었지만 사창리 전투에서 중공군에게 치욕적인 패배를 맛보았기에 6사단 장병 모두는 그때의 기억으로 결사(決死)라는 문구를 철모나 머리띠에 적고 나서 전투에 임합니다.
당시 용문산에서의 작전 지형, 부대 배치 현황도 입니다.
지금부터는 이 지형도를 바탕으로 용문산 전투를 설명하겠습니다.
5월 17일의 대치상황, 주 저항선에는 7연대와 19연대가 위치해 있고 그 위로 2연대 1대대는 미사리에, 2대대는 울럽산에 위치했습니다. 3대대는 353고지에 진지를 구축한 모습입니다.
5월 18일,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됩니다. 2연대 1대대는 중공군 187사단이 공격을 해오자 적 한개 연대 급을 격파, 끝내 나산으로 후퇴를 합니다. 중공군 188사단의 공격으로 2연대 2대대는 하루동안 울럽산을 수호하다 끝내 427 고지로 후퇴를 합니다.
중공군 187사단과 188사단이 6사단 2연대의 방어 담당 구간을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공군은 상대의 방어가 너무 탄탄하다고 느끼다 보니 2연대의 독자적 저항선을 6사단의 주 저항선이라 착각을 해서 후방에 있던 예비사단인 189사단 까지 공격에 가세. 국군 6사단 2연대 VS 중공군 187, 188, 189 3개의 사단이 싸우게 됩니다.
중공군 3개 사단이 총력을 다해서 2연대를 치는걸 알게되자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주 저항선을 지키던 6사단 7연대와 19연대는 적의 후방을 급습합니다. 중공군은 예상치 못한 후방 급습에 자신들보다 병력이 많다고 착각을 하고는 스스로가 와해되서 대규모의 피해를 입고 21일이 되자 도망을 치게 됩니다.
- 화천 저수지(화천호), 전투 이후 수많은 중공군들이 익사했다고 하여 破虜湖(파로호)로 불리게 되었다. -
이 여세를 몰아 국군 6사단은 70-80km에 걸쳐 중공군을 추격하고 미군도 적극적으로 반격을 가합니다. 결국 그렇게 쫓기다 화천 저수지에 이른 중공군은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져 대부분 사살당하거나 익사합니다. 이 전투로 중공군 약 17,000여 명이 사망하였고 2,000여 명이 포로로 잡혔습니다.
국군의 피해는 아군 전사(戰死) 107명, 부상 494명, 실종 33명으로 전해집니다. 6.25 한국전쟁을 통틀어 가히 최고의 승리라 불러도 과언이 아닌 전투였습니다. 당시 대통령 이승만은 이 전투의 승리 소식을 듣고서는 화천 저수지의 이름을 '파로호(破虜湖)' 라고 하였습니다 '오랑캐(중공군)를 격파한 호수' 라는 뜻이였습니다.
용문산-파로호 전투의 전과 [출처 : 육군 군사연구소 '지암리-파로호전투']
이로써 중공군이 완전한 군사적 승리를 달성하고자 전력을 기울인 마지막 시도였던 5월 공세는 완전히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이후 중공군은 한반도의 적화통일을 포기하고 UN군의 반격으로 형성된 전선을 조금씩 밀고 당길 뿐인 고지전으로 일관하기 시작했습니다.
한반도의 총체적인 전선 위치는 중공군이 4월 공세를 시작하기 이전 시점과 변화한 게 없었고요. 4월과 5월의 공세에서 중공군은 수많은 인명희생을 감수하고도 단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입니다.
- 전투 당시의 6사단장, 장도영 준장 -
사창리 전투의 패배로 인해 미국 8군 사령관 벤 플리트(James Alward Van Fleet)로부터 "당신, 전투를 할 줄은 알긴하는 겁니까?" 라는 말을 듣고, 미국 제 9군단장 호지(William Morris Hoge) 소장으로부터 질책성 서신을 받으며 엄청난 굴욕을 맛봤던 당시의 6사단장 장도영 준장은 이 용문산-파로호 전투의 대승으로 이전까지의 굴욕을 말끔하게 씻어냅니다.
첫댓글 파로호전투(용문산전투)가 한창일때 바로옆 인제군 현리에서는 오소리굴에 불지른듯 국군이 개박살나고 잇엇지
한국이 남북으로 고착화된게 물론 맥아더 10색히가 중공군을 개무시한것도 잇지만
유재흥이 청천강전투와 현리전투에서 완전 떡실신한게 제일큰 이유임
이놈이 왜국 육사출신인데 한국말도 못해서 전쟁중에 통역관을 데리고다니고
노무현이 대한민국작전권을 회복하자는거 피토하면서 반대한 인간임
을지문덕이 짱깨들을 개박살낸지 1300년후 청천강전투에서 반대로 개박살나던 와중에 동부전선 유엔군은 장진호전투에서 같이 개박살..
트루먼은 한국을 포기하자면서 이른바 작전명령 '크리스마카고'가 떨어져 함흥철수작전이 시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