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흔히 남을 화나게 하거나 낭패를 보게 만드는 짓을 하는 걸 두고 '염장 지른다'고 합니다.
보통은 염장이 신체의 일부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건 아니며 장보고와 오랜 은원(恩怨) 관계였던 '염장'이 장보고를 살해한 것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유래를 살펴보면, 장보고의 도움으로 왕권을 차지한 신무왕(김우징)은 그의 딸을 차비(次妃)로 삼을 것을 약속합니다.
그러나 골품제를 국법 이상으로 중하게 여겼던 당시 신라 귀족들에겐 천부당 만부당한 일이었죠. 이들은 "해도인(海島人. 섬놈)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일 수는 없다"며 강력하게 반대했습니다.
신무왕은 이에 한 발 물러서 아들인 문성왕의 태자비로 삼으려 했지만 이 역시 여의치 않았죠. 이 와중에 신무왕은 죽고 마는데 즉위 6개월만의 일입니니다.
장보고를 탐탁지 않게 여기던 왕실과 귀족세력들에게 장보고를 견제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했는데 즉 장보고를 죽이는 계획이었죠.
하지만 1만여 명의 장보고 군대가 주둔하고 있던 청해진을 군사를 일으켜 친다는 것은 몰락해가는 신라 왕실로선 버거운 일로 암살자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장보고의 친구이자 심복인 '염장'을 매수해 살해하는 것으로 암살의 조건으로는 장보고에 버금가는 자리를 내걸었습니다.
결국, 장보고의 친구이면서 오랜 은원 관계였던 '염장'은 만취한 장보고를 신라 문성왕 8년(서기 846년)에 살해하고 마는데, 이것이 '염장을 지르다'라는 말의 유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