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알음알이가 방편인 것을 答 富樞密 李申
示諭하되 蚤歲에 知信向此道나 晚年에도 為知解所障하여 未有一悟入處일새 欲知日夕에 體道方便이라하니 既荷至誠이라 不敢自外일새 據欵結案하여 葛藤少許리라. 只這求悟入底 便是障道知解了也라 更別有甚麼知解이어 為公作障이라. 畢竟에 喚甚麼하여 作知解하고 知解는 從何而至이며 被障者는 復是阿誰오.
편지에서 그대가 “어린 나이에 이 도를 향한 믿음을 알았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서 알음알이가 걸림돌이 되어 깨달아 들어갈 곳을 아직 찾지 못했다. 그러기에 아침저녁으로 도를 체득하는 방편을 알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이미 지극한 정성을 가져서 감히 모른 체할 수 없기에 보내온 편지를 바탕으로 몇 자를 적어 봅니다.
다만 이 깨달아 들어갈 곳을 찾는 마음이 바로 알음알이로서 도의 걸림돌이 될 뿐입니다. 다시 달리 무슨 알음알이가 있어서 그대에게 걸림돌이 되겠습니까. 끝내 무엇을 갖다가 알음알이라고 하고, 알음알이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걸림돌을 받는 자는 다시 누구이겠습니까.
只此一句에 顛倒有三하니 自言為知解所障이 是一이고 自言未悟하여 甘作迷人이 是一이며 更在迷中하여 將心待悟가 是一이라. 只這三顛倒가 便是生死根本이라. 直須一念不生하여 顛倒心絕하여야 方知無迷可破이고 無悟可待이며 無知解可障이니 如人이 飲水에 冷煖은 自知라. 久久하면 自然 不作這般見解也이니라. 但就能知知解底 心上에서 看하되 還障得也 無아. 能知知解底心上에 還有如許多般也 無아.
“알음알이가 걸림돌이 된다”라고 하는 오직 이 한 마디에 잘못된 내용이 셋이 있습니다. 스스로 “알음알이가 걸림돌이 된다”라고 말하는 것과, 스스로 “아직 깨닫지 못했다”고 하여 순순히 미혹한 사람이 되는 것과, 다시 “미혹 가운데 있으면서 깨닫고자 하는 의도된 마음을 가지고 깨달음을 기다린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세가지 뒤바뀐 내용이 바로 삶과 죽음의 근본 문제입니다. 곧바로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아 뒤바뀐 마음이 끊어져야 비로소 깨뜨릴 만한 미혹이 없고, 기다릴 만한 깨달음이 없으며, 걸림돌이 될 만한 알음알이가 없다는 사실을 아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이 물을 마심에 그 물이 차고 더운가는 스스로 아는 것과 같습니다. 오래 공부하다 보면 자연스레 이런 견해를 내지 않는 것입니다.
오직 알음알이를 알 수 있는 마음 위에서 그 자리에 걸림돌이 있는지 없는지를 볼 뿐입니다. 알음알이를 알 수 있는 마음 위에 많은 것들이 있습니까 아니면 없습니까.
從上大智慧之士는 莫不皆以知解로 為儔侶이며 以知解로 為方便이라. 於知解上에 行平等慈하고 於知解上에 作諸佛事함이 如龍得水 하고 似虎靠山하듯 終不以此로 為惱하니 只為他識得知解起處니라. 既識得起處이면 即此知解가 便是解脫之場이 便是出生死處라. 既是解脫之場미녀 出生死處이면 則知底解底 當體寂滅이라. 知底解底 既寂滅이면 能知知解者도 不可不寂滅이며 菩提涅槃과 真如佛性도 不可不寂滅이니 更有何物可障이며 更向何處하여 求悟入이리오.
예로부터 슬기롭게 공부하는 사람들은 모두 알음알이를 잘 활용하여 방편을 삼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알음알이 위에서 평등한 자비를 행하고 모든 부처님의 일을 해나가는 것이 마치 용이 물을 얻고 호랑이가 산을 의지하는 것과 같습니다. 마침내 알음알이로 번뇌를 삼지 않으니, 이는 오직 그가 알음알이가 일어나는 곳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알음알이가 일어나는 곳을 알면 곧 이 알음알이가 바로 해탈의 장이면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벗어나는 곳입니다.
이미 해탈의 장이면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벗어난 곳이라면 알고 이해하는 것이 적멸처가 됩니다.
이미 알고 이해하는 것이 적멸이라면 알음알이를 알 수 있는 자도 적멸이 아닐 수 없으며, 보리열반과 진여불성도 적멸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에 다시 무슨 번뇌가 있어서 걸림돌이 될 것이며 다시 어떤 곳을 향하여 깨달아 들어갈 곳을 구하겠습니까.
주 1
이 편지의 줄거리는 알음알이에 상관하지 말고 活句를 잘 챙기라는 내용이다. 紹興 8년(1138), 스님의 나이 50세 때 임안 경산사에서 보낸 편지이다.
주 2
富樞密 李申: 성은 부씨이고 이름은 직유이며 자는 李申이다. 흠종 靖康元年(1126)에 진사에 급제하고 얼마 뒤 樞密院 知事가 되었다.
출처: 禪 스승의 편지, 대혜 종고 『서장』, 원순 옮김
첫댓글 이 편지는 길어서 두번에 걸쳐 올리겠습니다. 이번 글을 공부할 내용이 많은 것 같은데 알쏭달쏭합니다.
알음알이가 때론 방해가 되지만 그 알음알이를 방편을 삼아 알음알이 위에서 깨달음을 얻는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바로 알음알이를 애써 따로 보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라는 말씀 같습니다.
제가 집안 사정이 생겨서 3주간 컴퓨터가 없는 곳에서 지내게 되었습니다. 3주 뒤 11월부터 공양 올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원순스님 주1에도 나오듯
알음알이 그 자체가 한생각이요
그 한생각이 더이상의 공부를 방해한다는 대혜의 말씀입니다
주 1
이 편지의 줄거리는 알음알이에 상관하지 말고 活句를 잘 챙기라는 내용이다. 紹興 8년(1138), 스님의 나이 50세 때 임안 경산사에서 보낸 편지이다.
ㅡㅡㅡㅡㅡ > 정확한 지적 이십니다
공부 안된다는 그것이 바로 한 생각!
다만 이 깨달아 들어갈 곳을 찾는 마음이 바로 알음알이로서 도의 걸림돌이 될 뿐입니다. 다시 달리 무슨 알음알이가 있어서 그대에게 걸림돌이 되겠습니까. 끝내 무엇을 갖다가 알음알이라고 하고, 알음알이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걸림돌을 받는 자는 다시 누구이겠습니까.
공부 안된다는 그 생각 자체가 공부 방해
“알음알이가 걸림돌이 된다”라고 하는 오직 이 한 마디에 잘못된 내용이 셋이 있습니다. 스스로 “알음알이가 걸림돌이 된다”라고 말하는 것과, 스스로 “아직 깨닫지 못했다”고 하여 순순히 미혹한 사람이 되는 것과, 다시 “미혹 가운데 있으면서 깨닫고자 하는 의도된 마음을 가지고 깨달음을 기다린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세가지 뒤바뀐 내용이 바로 삶과 죽음의 근본 문제입니다. 곧바로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아 뒤바뀐 마음이 끊어져야 비로소 깨뜨릴 만한 미혹이 없고, 기다릴 만한 깨달음이 없으며, 걸림돌이 될 만한 알음알이가 없다는 사실을 아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이 물을 마심에 그 물이 차고 더운가는 스스로 아는 것과 같습니다. 오래 공부하다 보면 자연스레 이런 견해를 내지 않는 것입니다.
대혜는 한생각에 끌려 헤매는 수행인의 모습을 세가지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폰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네요
더이상의 코멘트는 패스
다음으로 미룸
알음알이를 활용하여 방편을 삼으라. 알음알이 위에서 평등한 자비를 행하고 모든 부처님의 일을 해나가라!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_()()()_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_()_
무엇을 갖다가 알음알이라고 하고, 알음알이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걸림돌을 받는 자는 다시 누구이겠습니까.
이뭣꼬...는 여기다 적용해도 좋을듯 합니다.
알고, 걸림을 받고, 깨닫고자 하는 이...이 모든 것을 아는 놈. 이뭣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