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멸 감독의 영화 <지슬>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자욱한 연기 속에 그 민낯을 감추고 있는 역사적 실체를 정확히 꿰뚫어봐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숱한 눈물과 재채기, 또는 호흡장애까지 불사하는 적잖은 인내심이 필요할 듯하다. 기실 영화가 피워낸 연기는 1948년 11월 소개령으로 초토화 된 폐허의 섬 제주를 상징할 수도, 토벌대가 벌였던 피의 살육제와 백색테러의 광기일수도, 한치 앞도 예측할 수 없었던 제주민중의 운명일수도, 아니면 그 모두 일수도 있다.
특히 큰넓궤 동굴에서 주민들이 토벌군의 진입을 막기 위해 말린 고추를 태워가며 연기를 피워내는 장면은 당시의 비극을 희극적으로 드러낸 명장면이다. 살기 위해, 또 죽이기 위해 마을주민과 토벌대가 서로 적이 돼 눈물을 흘리는 아이러니는 모두가 역사의 희생자라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그 완고한 눈물의 성채는 지금도 ‘빨갱이’와 ‘폭도’ 그리고 ‘종북 좌빨’이라는 주홍글씨로 현재를 종횡무진 한다.
1948년 4․3항쟁 당시 제주민중들이 맞닥뜨린 현실은 영화가 재현해 낸 동굴보다 더 어둡고 오름 등성이를 휘감아 오르던 설한풍보다 훨씬 혹독했다. 토벌대에 학살당해 바람처럼 중음신을 떠돌던 영혼들을 거두어 저승으로 인도한 것은 전적으로 까마귀들의 몫이었다. 그 신산스런 삶을 억척스럽게 살아내게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지슬’이었다.
연기와 흰 눈이 주는 백색의 공포와 동굴과 까마귀로 상징되는 죽음의 검은 그림자는 역설적으로 생을 긍정하는 기폭제가 됐다. 순덕 엄마가 챙겨온 지슬, 무동 어머니의 죽음을 음복한 지슬, 박일병이 순덕에게 몰래 건네주려 했던 지슬, 모두가 생의 의지이자, 마지막까지 놓을 수 없었던 희망의 끈이다. ‘지슬’은 제주어로 ‘감자’라는 뜻이다.
영화 <지슬>은 감독말마 따나 전적으로 제주 4․3항쟁을 기리기 위한 씻김굿이자 위령제다. 망자뿐만 아니라 산자까지 불러내 제사를 지내보자는 마음으로 만든 영화다. 영화를 흑백으로 찍은 이유이기도 하다. “제사 지낼 때 빨간 옷을 입을 수는 없고 상복을 입어야 하는 것이 우리정서 아니냐”는 것이다. 게다가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혹은 유채의 강렬한 원색으로 표상되는 제주 섬 아래 도사린 슬픔을 드러내 보이고도 싶었다. 감독은 이를 위해 제주도 무속신앙의 신방(무당)역을 자처한다.
감독은 제의의식을 주관하기 위해 제주의 여러 신화와 설화를 끌어와 차용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설화다. 설문대할망은 사냥나간 오백아들들을 먹이기 위해 죽을 끓이다 그만 가마솥에 빠져 죽고 아들들은 죽을 다 먹은 후에야 설문대할망의 뼈를 발견하고 슬퍼한다는 이야기다. 한마디로 자식들을 위한 어머니의 희생이 주된 서사다. 그때 ‘지슬’은 다름 아닌 ‘설문대할망’의 또 다른 이름일터다. ‘지슬’은 또 음복의 기제로 죽은 자가 산자에게, 또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과거가 현재에게 내미는 화해와 용서의 메시지다.
영화는 전통적 제의형식에 충실하게 크게 네 개의 얼개로 짜여 있다. 첫 장은 ‘신위(神位)’다. 1948년 11월로 돌아가 마을주민과 군인들의 영혼을 소환한다. 두 번째 장은 ‘신묘(神廟).’ 영혼들에게 당시의 삶을 다시 보여주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살핀다. 세 번째 장은 ‘음복(飮福).’ 무동의 어머니가 군인에게 살해당할 때 품었던 감자를 동굴 속 사람들과 함께 나눠먹는 장면으로 묘사됐다. 마지막 장은 ‘소지(燒紙)다.’ 신방(무당)의 시선으로 망자 개개인의 사연을 살피고 지방을 태워 그 넋을 하늘에 올려 보내는 신원과 해원의 씻김굿으로 의식적 제의를 갈무리한다.
영화 <지슬>은 토벌대의 자아분열과 의식적 갈등에도 초점을 맞춘다. 마약쟁이 김상사, 서북청년단을 상징하는 고중사, 명령에 살고 죽는 백상병이 한축이라면 주정길과 박상덕 일병, 동수 이병은 그 반대진영에 속한다. 감독이 다양한 군인들의 캐릭터와 의식의 분열상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것은 그들 또한 역사의 희생자라는 사실이다. 토벌대가 ‘폭도’가 아닌 ‘좆같은 명령’에 따라 민간인 학살에 동원된 것은 그 일차적 책임이 국가폭력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것은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내미는 적극적인 화해의 손길이다.
영화 <지슬>의 전 배역을 통해 가장 문제적 캐릭터는 단연 ‘주정길’이다. 그는 영화 속에서 솥과 함께 현실과 신화를 매개하며 여신과 접신하는 존재다. 그래서 정길을 연기한 것은 여배우였다. 감독은 정길에게 군복을 입혀 제주의 어머니들이 걷던 길을 군인의 시선으로 보도록 배치했다. 제주가 품은 어머니의 생명력과 너른 품을 보여주자는 의도였다. 하지만 정길은 순덕이 강간당할 때도 주민들이 살육될 때도 무기력한 방관자에 머물렀다. 그것은 제주여신이 현실에 개입하지 못하고 지켜보기만 해야 했던 통증과 통각의 표현이다. 영화에서 솥은 설문대할망이 빠져 죽었던 곳, 곧 어머니 품으로 회귀를 의미한다. 정길은 그 솥 속에 토벌군 지휘대장 김상사를 넣고 죽인다.
학살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켜본 자가 느끼는 분노의 표현이자 가해당사자를 어머니 품으로 돌려보내 역사적 화해와 용서를 주선하겠다는 감독의 의지가 묻어나는 대목이다. 여신의 몸을 닮은 오름에 죽은 순덕의 벌거벗겨진 몸이 겹치도록 한 장면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죽음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는 의미다. 야만의 65년 세월을 분노로 일관하는 동안 소통은 단절됐고 인식의 간극은 더욱 커졌다는 문제의식의 소산이기도 하다. 그때 솥은 모든 분노와 갈등을 녹여 용서와 화해를 주조하는 용광로일 수 있다.
영화 <지슬>이 보여준 씻김굿의 백미는 마지막 노래 ‘이어도사나’다. 해녀들이 매일 바다에 나가 물질하며 이별 없는 이상향을 꿈꾸며 부른 노래다. 그 숱한 어머니들이 흘렸던 눈물이 바다가 되고 자식들은 그 눈물을 먹고 자랐다. 이어도는 설문대할망이 제주도를 창조한 이래 모두가 꿈꿔왔던 환상의 섬이다. 하지만 그 섬은 인식의 이편과 저편 그 사이 어딘가에 있고 어쩌면 살아서는 들어가지 못할 공간인지도 모른다.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길이다.
영화 <지슬>에는 ‘끝나지 않은 세월2’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끝나지 않은 세월’을 유고작으로 몇 년 전 세상을 떠난 故 김경률 감독에게 올리는 또 하나의 제의의식이다. 제주 4․3항쟁을 최초로 영화화했지만 흥행부진으로 마음고생을 하다 숨진 고인에 대한 일종의 오마쥬다. 영화의 러닝타임이 108분이라는 것도 의미심장하다. 영화는 지난 65년 동안 자욱한 연기(번뇌)에 갇혀 있던 제주 섬을 건져내는 의식적인 행위(해탈)를 통해 제주민중과 4.3 항쟁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바로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