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종흠교수님 홈피에 있는 필독서 목록입니다.
=================================
1. 철학, 역사, 생활
철학대사전, 동녁. 철학사 비판, 거름.
카아지음, 차하순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사관이란 무엇인가, 청람. 노동의 역사, 광민사.
새로운 한국사 입문, 돌베개.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한국사, 한길사. 해방전후사의 인식 1-6, 한길사.
한국근대경제사연구, 사계절. 철학개론, 한울,
철학에세이, 동녘. 동양철학에세이,
이효재, 여성과 사회, 정우사 여성론, 까치.
가족의 기원, 아침. 여성해방의 이론체계, 풀빛.
한국의 역사인식 上下, 창비사. 봉건사회해체기의 사회경제구조,
청아.
김용섭, 조선후기 농업사연구 1,2, 일조각.
논어. 장자.
맹자. 노자.
중용. 대학.
주역.
전통시대의 민중운동, 풀빛, 1982.
한국불교미술사(김영주),1996.
김병종, 김병종의 화첩기행, 효형출판, 1999.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한권으로 읽은 조선왕조실록
용사상과 한국 고전문학, 깊은샘
2. 문학이론
황금가지, 삼성출판사. 풍속의 역사, 1,2,3, 까치.
피셔,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개. 삼국유사, 동서문화사.
리얼리즘미학의 기초이론, 한길사.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조선민요연구, 고정옥, 수선사,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심우성, 한국의 민속극,창비사. 이글턴, 문학이론 입문,창비사.
조윤제, 한국문학사,탐구당.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4, 지산사.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연구, 문학과 지성사.
한국문학의 현단계 1-4, 창비사(창작과 비평사).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동천사.
이상섭, 문학비평의 방법.
3. 문학사
(1) 고전문학사
안확, 조선문학사, 한일서관, 1922
이명선, 조선문학사, 일반프린트사, 1947.
조윤제, 국문학사,동국문화사, 194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4), 지식산업사, 1982.
사과원, 조선문학사(1-5),
김춘택, 조선문학사1, 천지. 1984.
박종원, 정홍교, 조선문학개관, 인동, 1984.
사과원, 조선문학통사1, 인동, 1989.
(2) 현대문학사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48.
김현,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1973.
사과원, 조선문학통사2, 인동, 1989.
오성호외, 한국현대문학사, 태학사, 1994.
우리어문학회, 새로 쓰는 우리문학사, 한길문학 1990,5-1990,11.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 창비사, 1991.
4. 고전문학
(1)개관
김수업, 배달문학의 길잡이, 금화출판사, 1978.
김홍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조동일, 국문학연구의 방향과 과제, 새문사, 1983.
황패강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김열규, 고전문학을 찾아서, 문학과 지성사, 1976.
정병욱, 한국고전의 재인식, 기린원, 1988.
임형택, 한국무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장덕순외,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김동욱, 국문학개설, 민중서관, 1961.
조동일, 국문학의 갈래이론, 집문당, 1992.
조동일, 우리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1978.
조윤제, 한국시가사강, 을유문화사, 1960.
이장희,김윤완공저, 한국의 고전시가 해석과 감상, 글벗사, 95, 4.
임기중, 시로읽은 노래문학, 원동출판사, 94, 7.
임기중,임종욱 편, 한국고전시가어휘색인사전, 보고사, 96, 1.
성기옥, 한국시가 율격의 이론, 새문사, 1986.
김봉주 역, 의미의 의미, 한신문화사, 1986.
김대행, 한국시가구조연구, 삼영사, 1982.
최철외지음, {한국시가사}, 집문당, 1997, 11.
(2) 향가
일연, 권상노 옮김, 삼국유사, 동서문화사, 1977.
혁연정, 균여전, 새문사, 1989.
삼국유사관련논문집, 백산서당, 1984.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1977.
신동욱편, 삼국유사의 문예적 가치해명, 새문사, 1982.
양주동, 조선고가연구, 박문출판사, 1942.
홍기문, 향가해석, 정음사, 1952.
정열모, 향가해석, 1958.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김열규,이재선, 향가의 어문학적 연구, 서강대인문과학연구소, 1972.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출판부, 1990.
강길운, 향가신해독연구, 학문사, 95, 7.
나경수, 향가문학론과 작품연구, 집문당, 95, 3.
서재극, 신라향가의 어휘연구, 형설출판사, 95, 7.
유경준, 향가여요의 현대성 연구, 집문당, 93, 7.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춘판사, 94, 5.
박요순, 한국시가의 신조명, 탐구당, 94, 1.
윤영옥, 한국고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95, 4.
진 호, 신라 향가의 연구, 형설, 96, 3.
(3) 고려가요
김열규편,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2.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박노준, 고려시가연구, 새문사, 1990.
서수생,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전규태,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5.
최 철, 고려국어가요의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양태순, 이회, 1997.
(4) 경기체가
황패강,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1986.
김문기, 한국시가연구, 형설출판사, 1984.
이명구, 고려가요연구, 신아사, 1974.
성호경, 조선전기시가론, 새문사, 1988.
백영정병욱선생회갑기념논총, 신구문화사, 1982.
(5) 가사
김성배외, 주해가사문학전집, 집문당, 1981.
이상보, 한국가사선집, 집문당, 1979.
임기중, 조선조의 가사, 성문각, 1979.
권영철, 규방가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김문기, 서민가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이능우, 가사문학론, 일지사, 1977.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2.
고전문학연구회편,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연구, 문지사, 1983.
김학성, 한국시가문학연구, 신구문화사, 1983.
강전섭, 한국고전시가연구, 경인문화사, 95, 5.
김주곤, 한국볼교가사연구, 집문당, 94, 9.
류연석, 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94, 6.
황충기, 노계 박인로연구, 국학자료원, 94, 10.
정재호편저,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96, 3.
박요순, 한국시가의 신조명, 탐구당, 94, 1.
유해춘, 장편서사가사의 연구, 국학자료원, 95, 11.
(6) 시조
심재완편,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박을수, 한국시조문학전사, 성문각, 1978.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아세아문화사, 1992.
국어국문학회편, 시조문학연구, 정음문화사, 1988.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대출판부, 1986.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출판부, ㅂ977.
정익섭, 호남가단연구, 민문고, 1993.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권두환, 조선후기 시조가단고, 서울대박사논문, 1985.
방용식, 황충기, 고시조주석사전, 국학자료원, 95, 6.
조규익, 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 집문당, 94, 1.
이영지, 한국시조문학론, 양문각, 94, 5.
정운해, 윤선도, 건대출판부, 95, 7.
(7) 잡가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정재호, 한국잡가전집, 계명문화사, 1984.
윤기홍, 잡가의 성격과 민요, 판소리와의 관계, 한국민요론, 집문당,
1986.
고정옥, 김삼불주해, 가사집, 여강출판사, 1986.
정재호, 잡가고, 민족문화연구, 6호, 1972.
이능우, 가사문학론, 일지사, 1977.
(8) 소설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사, 1981.
전주동, 고대소설론, 형설출판사, 1988.
한국고전문학연구회, 고전소설 연구의 방향, 새문사, 1985.
김광순, 한국고소설사와 론, 새문사, 1990.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9.
황패강, 조선왕조소설연구, 단국대출판부, 1978.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배경, 이화여대출판부, 1985.
설성경,박태상,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1985.
김일렬, 고소설신론, 새문사, 1991.
한영환, 한중일소설의 비교연구, 정음사, 1985.
편집실편, 김만중연구, 국학자료원,1993.
김열규편,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이가원, 연암소설연구, 을유문화사, 1965.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0.
편집실편, 고전소설연구, 새문사, 1984.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신동욱편, 허균의 문학과 혁신사상, 새문사, 1984.
정병헌, 신재효판소리 사설연구, 평민사, 1986.
이수봉, 구운몽후와 부북일기, 경인문화사, 94, 2.
이수봉, 만화본 춘향가와 용담록, 경인문화사, 94, 2.
이복규, 설공찬전, 시인사, 1998.
(9) 한문학(시, 가전, 야담)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을유문화사, 1967.
문선규, 한국한문학, 이우출판사, 1987.
김태준, 조선한문학사, 학예사, 1931.
이병주, 한국한시의 이해, 민음사, 1987.
김달진, 한국의 한시,1,2, 민음사, 1989.
서거정, 동문선,
국어국문학회편, 한문학연구, 정음사, 1981.
정민, 조선후기 고문론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이병한, 한시비평의 체례연구, 통문관, 1985.
전형대,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문학작가연맹, 우리나라 고전작가들의 비학적견해자료집, 1964.
열상고전연구회편, 한국서발전집, 태학사, 1990.
이가원, 한국한문소설선, 민중서관, 1961.
이정탁, 한국풍자문학연구, 이우출판사, 1979.
박희병, 청구야담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0.
조희웅, 조선후기 문헌설화연구, 형설출판사, 1981.
이가원, 여햔전기, 우일출판사, 1981.
유종국, 몽유록 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대 출판부, 94, 4.
문일환, 조선고전문학연구, 한국문화사, 94, 7.
전기철, 민족문학과 비평정신, 새미, 94, 5.
조기영, 하서 김인후의 시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94, 7.
조규익, 만횡청류, 박이정, 96, 4
5. 구비문학
(1) 민요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김소운, 조선구전민요집, 제일서방, 1933.
김사엽, 방종현,최상수, 조선민요집성, 정음사, 1948.
임동권, 한국민요집,1-6, 집문당, 1984.
김영돈, 제주도민요연구, 일조각, 197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임동권, 한국민요사, 창문사, 1965.
최철설,성경편, 민요의 연구, 정음사, 1984.
최철편, 한국민요론, 집문당, 1987.
장덕순외,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최철, 한국민요학, 연세대출판부, 1992.
조동일, 서사민요연구, 계명대출판부, 1970.
김무헌, 한국노동민요론, 집문당, 1986.
류종목, 한국민간의식요연구, 집문당, 1990.
박민일, 한국아리랑문학연구, 강원대출판부, 1989.
(2) 설화
소재영, 우리민속문학의 이해, 개문사, 1979.
장덕순, 설화문학개론, 선명문화사, 1974.
조희웅, 설화학강요, 새문사, 1989.
진성기편, 남국의 전설, 일지사, 1968.
홍기문, 조선신화연구, 지양사, 1989.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하사, 1947.
최철,설성경편, 설화소설의 연구, 정음사, 1984.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77.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76.
조동일, 삼구시대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1990.
최래옥, 한국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981.
임재해, 설화의 현장론적 연구, 영남대 박사논문, 1987.
(3) 판소리, 전통극, 기타
김흥규편,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82.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박황, 판소리 200년사, 시사연, 1987.
서종문, 판소리 사설연구, 형설출판사, 1984.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 1966.
임형택, 전환기 동아시아문학, 창비사, 1985.
이국자, 판소리연구, 정음사, 1987.
김재철, 조선연극사, 한예사, 1939.
이두현, 한국연극사, 민중서관, 1973.
장한기, 한국연극사상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76.
심우성, 한국의 민속극, 창비사, 1975.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문음사, 1981.
채희완,임진택, 한국의 민중극, 창비사, 1985.
한국민속학회편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1996
6. 현대문학
(1) 소설
이재선, 개화기소설연구, 일조각, 1972.
송민호, 개화기 소설의 사적연구, 일지사, 1975.
신채호, 꿈하늘, 단재신채호전집, 형설출판사, 1975.
이광수, 무정, 이광수전집, 삼중당, 1972.
이인직, 혈의누, 을유문화사, 1972.
이해조, 구마검, 신소설,번안소설, 아세아문화사, 1971.
이광수, 소년의 비애, 이광수전집, 삼중당, 1972.
강경애 ,소금, 인간문제, 강경애전집, 열사람, 1988.
김기진, 붉은쥐, 김기진전집, 문학과 지성사, 1982.
김남천, 대하, 제3한국문학 9, 수문서관, 1988.
김동리, 무냐도, 한국대표명작, 지학사, 1975.
김동인 전집,
김유정, 봄봄, 한국대표명작선, 지학사, 1975.
김정한소설선집, 창작과 비평사, 1982.
박태원, 소설가구보씨의 하루, 깊은샘, 1988.
북으로 간 작가선집, 을유문화사, 1988.
식민지시대노동소설선, 민족과 문학사,1988.
이상전집, 문학과 사상사,1988.
이태준전집, 깊은샘, 1989.
현길언, 현진건소설연구, 이우출판사, 1988.
김철, 1920년대 신경향파 소설연구, 연세대국문과 박사논문, 1984.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선명문화사, 1968.
박경리, 토지, 지식산업사, 1079.
김정한, 박완서, 박영한, 방영웅, 송기숙, 송시원, 송영, 안수길, 유
주현, 유현종, 윤흥길, 김승옥, 김성동, 김원일, 이문구, 이정환, 이
호철, 장용학, 정을병, 최인훈, 조세희, 최일남, 하근찬, 현기영, 황
석영, 황순원, 이범선의 작품들,
이기영, 한설야, 이북명, 황건 등의 북한 소설 작가들의 작품,
꽃파는 처녀, 황토, 1989.
민중의 바다, 한마당, 1988.
한자위단원의 운명, 황토, 1989.
두만강, 풀빛, 1989.
(2) 시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986.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학연사, 1987.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김학동, 한국개화기 시가연구, 시문학사, 1981.
권오만, 개화기 시가연구, 새문사, 1989.
오세영, 한국낭만주의 시연구, 일지사, 1980.
신동욱, 우리 시의 역사적연구, 새문사, 1984.
김상훈, 김소월,깅영랑, 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이상화, 이용악,
이육사, 임화, 정지용, 한용운 등의 식민지 시대의 시인이 쓴 작품을
읽으면 좋을 것임.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 시학사, 1990.
195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2.
김수영,김지하, 양성우, 신동엽, 고은,신경림,정희성,정현종 등 1950
년대에서 1980년대의 시인의 작품을 읽으면 좋을 것임.
조기천, 백두산, 실천문학사, 1989.
김대행, 북한의 시가문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소, 1985.
(3) 비평
이선영,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세계, 1989.
장사선, 한국리얼리즘론, 새문사, 1988.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한얼문고, 1973.
역사문제연구소, 가프문학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신동욱, 한국현대비평사, 한국일보사, 1975.
권영민편, 한국 근대문인대사전, 아세아문화사, 1991.
임헌영, 한국현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8.
한길사 편집위원회, 한국근대문학연구입문, 한길사, 1990.
최원식, 민족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82.
창비사, 한국문학의 현단계1-5, 창비사, 1988.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8.
우리나라에서의 사실주의 발생 발전 논쟁, 사게절, 1989.
북한의 문예이론, 인동, 1989.
(4) 희곡론, 영화
희곡론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홍성사, 1982.
서연호, 한국든대희곡사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2.
한효, 조선연극사개요, 1956.
조중환, 김우진, 송영, 채만식, 유치진, 함세덕, 차범석, 오태석, 오
영진,최인훈, 천승세 등의 작품을 읽으면 좋을 것임.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그들도 우리처럼.
카프카. 패왕별희.
경마장 가는길. 그 섬에 가고 싶다.
서편제. 휘모리 두여인 이야기.
화엄경, 구로아리랑.
그대안의 블루, 꼬방동네 사람들.
겨울나그네. 파워 오브 원,
첩혈가두1, 사라피나.
양들의 침묵,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살어리랏다. 서울무지개.
베를린 리포트. 붉은 수수밭.
국두. 조이럭 클럽.
개벽. 닫힌 교문을 열며.
양철북, 정복자 펠레.
시네마천국. 늑대와 춤을.
아빠는 출장중. 원초적 본능.
로마의 휴일, 카사블랑카.
벤허. 피아노.
어퓨굿맨. 레즈.
아버지의 이름으로 필라델피아
섹스, 거짓말, 비디오테잎 성공시대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하몽 하몽
바그다드 카페 플레툰
사의 찬미 깊고 푸른 밤
여인의 향기 쉰들러 리스트
하늘과 땅 1900년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홍등
남아있는 나날 쇼생크의 탈출
저수지의 개들 시계태엽 위의 오랜지
마지막 사랑 구름위의 산책
첩혈가두1 전함포템킨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녀의 정부 음식남녀
꽃잎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개같은 날의 오후 파니 핑크
천국보다 낯선 언더그라운드
인생 소년 소녀를 만나다
브레이브 하트 중경삼림
타락천사 동사서독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펄프픽션
브로드웨이를 쏴라 희생
노스텔지아 블루
화이트 레드
뽕네프의 연인들 나쁜피
블루 벨벳 베티블루
비포더 레인 메탈자켓
1974년생 그린파파야의 향기
자전거 도둑 사이코
네이키드 니키타
아키라 시민 케인
팔과 이분의 일 거미의 계략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비포 선라이즈
은행나무 침대 전함포템킨
폭군 이반 대부 1,2,3
아이들의 잃어버린 도시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 뉴욕에 가다
축제 이레이져 헤드
달과 꼭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율리시즈의 시선 타임 투 킬
시계테엽 위의 오랜지 저수지의 개들
차례로 익사시키기 세상밖으로
크라잉 게임 데미지
영국식 정원살인사건 안토니아스 라인
초록물고기 샤인
세 개의Z와 두개의 O 송가황조
챠이니스 박스 시티 오브 엔젤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
킹덤 올리브 나무 사이로
아름다운 청춘 접속
나쁜 영화 제5원소
증오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킹덤 1,2 부에노스 아이레스 헤피투게더
강원도의 힘 록키 호러 픽쳐쇼
마리아와 여인숙 남아있는 나날
눈오는 날의 왈츠 씬 레드 라인
쉬리 중앙시장
얼지마 죽지마 부활할거야 미술관 옆 동물원
헤피엔드 거짓말
우나기 메트릭스
러브레터 나라야마부시코
텔미썸씽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피아니스트(프랑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살인의 추억
죽어도 좋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오아시스 나쁜 남자
디아더스 뷰티풀 마인드
메멘토 슬라이딩도어즈
친구 천국의 아이들
감각의 제국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첫댓글 책을 읽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시간을 내지 못하는 게으름이 항상 문제죠 문제...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얼...너무 많군요...위의 자료에서 좀 축약을 한다면 우선 삼국유사는 읽어 보시고, 근대 작가 쪽의 작품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이광수의 무정부터 해서 김동인, 채만식, 최서해, 현진건 등등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정말 읽으면 피와 살이 되는 책들이로군요 정말 저희는 진짜 학문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열심히 분발해서 다 읽읍시다 책만 있으면 외롭지 않잖아요 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