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政治史ㆍ國際關係史를 중심으로 본
한국현대사
1945년 8. 15 일본 항복, 2차 세계대전 종결, 민족해방. 여운형, 5가지 요구조건하에 조선총독부의 정권이양교섭을 수락(정 치경제범 즉시 석방, 3개월간 식량 확보, 정치활동 간섭 배제 등), 朝鮮建國準備委員會(建準) 발족(위원장 여운형, 부위원장 안재홍), 전국 각지에서 보안대 치안대 조선학도대 결성 시작됨. 곧 건준 지방지부로 개편 됨. 8월 말까지 건준지부 145개 조직됨(11, 7발적전 해소함).
8, 16 전국 형무소와 경찰서의 정치범 등 2만여 명 석방개시. 長安派공산당 결성.
8. 20 조선공산당 再建委員會 결성(재건파). 9. 11 조선공산당 재건(책임비서 박헌영). 11. 23 장안파공산당 해체.
9. 2 연합군 최고사령관 맥아더, 일본항복 조인받고 연합군 최고 사령부(GHQ)를 동경에 설치. 맥아더, 북위 38선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반도 분할 점령 발표.
9. 6 美軍 인천 상륙, 美주둔지 사령부 남한에 美軍政 실시 포고, 주한미군사령관에 하지 중장. 建準, 「전국인민 대표자대회」개최하고 朝鮮人民共和國 수립 선언. 주석 이승만, 부주석 여운형, 국무총리 허헌 등 지명, 인민위원 50명, 후보 20명 고문 12명 선출해 중앙인민위원회 구성.
9. 7 重慶 임시정부 지지하는 「國民大會準備委員會」발족(송진우, 김성수).
9. 8 桂洞에서 在京 공산주의 열성자회의 개최(계동 열성자대회), 박헌영을 임시지도자로 선출.
9. 9 韓國民主黨 결성, 강령과 정책을 결정(송진우, 김성수).
9. 10 서울시 人民委員會 결성. 10. 12 인천시 인민위원회,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결성. 10. 18 강원도 인민위원회 결성. 10. 20전라남도 인민위원회 결성
9. 13 각지의 건준 지부가 人民委員會로 개조되기 시작함.
9. 19 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 결성. 9월 22일 프로미술동맹, 음악동맹 결성. 9. 29 프로예술동맹 결성. 12. 20 조선 연극동맹 결성. 12. 27 조선문화협회 결성.
9. 25 美軍政은 일본정부, 일본인 재산 동결, 미군정 소유로 함.
10. 5 양근환 주재로 각정당 수뇌간담회 개최. 한민당(송진우, 백관수, 병로), 국민당(안재홍), 건국동맹(최근우). 인공(여운형, 최용달, 허헌), 재건파공산당(이현상, 김형선). 정당 합작 논의함.
10. 16 이승만, 미국에서 개인 자격으로 귀국.
10. 25 이승만 중심으로 2백여 정당대표 회합해 朝鮮獨立促成中央協議會(獨促中協) 발족 (총재 이승만). 11. 5 산업 별노동조합에 기초한 朝鮮勞動組合全國評議會(全評) 결성(위원장 허성택).
11. 2 교통운수노조, 금속노조, 일반사용인노조, 철도노조, 출판노조, 섬유노조 결성. 11. 3 토건노조, 급료인조, 통신노조 결성. 11. 4 목재노조, 전기노조, 어업노조, 조선노조 결성. 16개 산별노조, 11개 지방평의회.
11. 11 建國同盟 해소하고 朝鮮人民黨 결성(위원장 여운형).
11. 23 김구, 김규식 등 중경 임시정부 요원 제1진, 개인 자격으로 귀국.
12. 8 全國農民組合總聯盟(全農) 결성대회(~12. 10) 18조항의 결정서 통과.
12. 9 全國協同組合聯盟 발기(全評, 全農, 서울市人會 주최로 4천여명 회합).
12. 12 하지 중장, 人共을 부인하는 성명 발표, 12일 중앙인민위원회 하지 성명 반박 성명 발표.
12. 18 「대한민국임시정부 환영 전국대회」에 15만 명 운집.
12. 26 모스크바 삼상회의, 조선에 대한 최고 5개년간의 신탁통치 실시 결정 발표.
12. 20 한민당 당수 古下 송진우 피살(범인 한현우, 류근배).
12. 31 託治반대시위 비등, 미군정 韓人직원 총사직.
1946년 1. 2 조선공산당,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 지지 선언.
1. 3 좌익 주최 反託서울시민대회, 찬탁대회로 돌변.
1. 10 人民委員會 38선 이남 各道대표자대회 개회(~1. 20)
2. 1 臨政 중심의 非常國民會議 결성(의장 홍진).
2. 8 獨立促成中央協議會(이승만)와 非常國民會議, 「大韓獨立促成國民會」(獨促)결성(총재 이승만, 부총재 김구).
2. 14 미군정 자문기관인 南朝鮮國民大表民主議院
2. 15 좌익세력 통일전선체인 民主主義民族戰線 결성(의장 여운형, 박헌영, 허헌, 김원봉).
3. 20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미소공위) 개최(미측 수석대표 아놀드 소장, 소측 수석대표 스티코프 중장).
5. 7 제1차 미소공위, 임시정부 조직 참여단체 문제로 결렬.
5. 8 精版社위폐사건 발생. 『解放日報』경제부장 등 2명 검거(5. 19)하고 주범으로 이관술 체포(7. 6), 공판중 경찰발포로 3명 부상, 36명 구속(7. 30), 이관술에 무기선고(11. 28).
5. 23 군정장관 허가 없이 38선 무허가 월경 금지.
5. 25 美軍政 버취 중위 알선으로 김규식, 여운형 등 접촉. 좌우합작 움직임이 알려짐.
5. 29 신문정기간행물에 허가제(군정법령 88호).
6. 3 이승만, 남한단독정부수립 계획 발표(井色발언).
6. 14 左右合作 회담 시작(김규식, 여운형, 원세훈, 허헌).
6. 29 자율정부 수립을 내세운 단정 추진 기관인 「民族統一總本部」(民統) 결성, 총재에 이승만.
6. 30 하지 중장이 김규식, 여운형의 좌우합작운동 지지 성명.
7. 25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우측대표: 김규식, 원세훈, 안제홍, 최동오, 김붕준. 좌측대표: 여운형, 이국, 성주식, 정노식, 허헌.
8. 3 인민당수 여운형의 제안으로 남한 3대 좌익정당인 인민당, 공산당, 신민당의 3당합당운동 시작.
9. 7 박헌영, 이강국에 체포령 내림. 이주하, 홍남표 검거.
9. 17 首都警察廳 업무 개시(청장 장택상).
10. 1 대구에서 쌀배급 요구 시위로 출발한 10. 1폭동(소위「10월인민항쟁」) 발발, 노동자 학생이 주동, 3천 7백명 체포, 16명 사망, 전국에 파급.
10. 7 좌우합작위원회(의장: 여운형, 김규식), 미군정과 타협으로 합작 7원칙 발표(미소공동위원회 재개, 土地改革 수행, 立法議院 수립 제안).
10. 20 서울시내 비상경계령, 통금 15시로 변경.
11. 2 民選 입법의원 45명 결정됨. 官選의원 45명은 12월 6일 결정됨.
11. 21 경성부, 서울특별시 승격.
11. 23 朝共 박헌영 계열과 人民黨ㆍ新民黨 내 합당추진파들만으로 南朝鮮勞動黨(南勞黨) 결성(위원장 허헌, 부위원장 박헌영, 이기석).
12. 2 이승만 渡美,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47. 4. 21귀국).
12. 12 南朝鮮過度立法議院 개원(의장 김규식, ~48. 4. 29).
12. 13 越南인사들로 「西北靑年會」(西淸) 결성(선우기성, 문봉체, 김성주).
1947년 1. 24 임정계 「反託鬪爭委員會」조직 (위원장 김구).
3. 1 3ㆍ1절 기념행사 우익 서울운동장, 좌익 남산서 거행, 남대문에서 좌우익 충돌로 2명 사망.
4. 24 立法議院, 附日협력자 처단법 수정안 상정(폐기됨).
5. 9 美軍政 행정명령 제1호로 「대한민청」에 해산령.
5. 17 美軍政 행정명령 제2호로 「민주청년동맹」에 해산령.
5. 21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개막(미측 수석대표 브라운 소장, 소측 수석대표 스티코프 소장).
6. 5 美, 마샬플랜 발표, 勤勞人民黨결성(위원장 여운형, 부위원장 장건상, 이영, 백남운).
6. 25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서울, 평양에서 각단체와 합동회의(~6. 30).
6. 27 입법의원, 보통선거법 통과.
7 일본, 독도의 영유권 주장하고 한국 어부의 조업 금지.
7. 10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사실상 결렬(소련, 우익유령단체 제외주장).
7. 19 여운형 해방 후 10여 차례 테러 끝에 혜화동 로타리에서 암살, 62세(범인 한지근, 신동운 5일만에 검거, 8.3 인민장, 11. 14 한지근에 무기언도).
9. 5 勤民黨, 民主韓獨黨, 民衆同盟, 社會民主黨, 天道敎靑友黨 등 5개 정당 「남한단독정부 수립은 국토분열과 민족분열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공동 성명 발표.
9. 17 마샬 미국대표, UN총회에 한국문제의 UN상정 제의.
9. 21 대동청년단 결성(총재 이승만, 단장 이청천).
11. 14 UN총회, 한국총선안, UN한국임시위원단 설치안, 정부 수립 후 양군철퇴안을 가결함.
12 연간 美원조 1억 3천만 달러(차관 2천 5백만 달러 포함).
12. 11 南勞黨 중앙위에서 단정단선반대와 미소 양군 철수를 주장.
12. 20 중간파 정치단체 民主自主聯盟 결성(김규식, 홍명희, 안재홍, 원세훈) 4개연합단체, 14개 정당, 25개 사회단체 및 개인으로 구성.
12. 22 김구, 남한단독정부 수립 반대 성명.
1948년 1 愛國班을 隣保班으로 개칭.
1. 17 UN한국임시위원당(UN한위) 입국, 1. 12 소령사령부에 입북요구, 1. 23 소련측 거부함
1. 17 김구, UN한위에서 남북주둔 외국군 철수 후 자유선거 실시 주장.
2. 6 김구, 김규식, UN한위에서 남북협상방안 제시.
2. 7 남로당, 남한단독선거 반대 전국적 총파업시위(소위 「2.7구국투쟁」, 사망 19명, 부상 22명), 야간 열차 운행중지, UN한국 위원단 반대, 양군철퇴주장.
2. 9 사건중간발표(조병옥), 경찰지서 습격 26개 소, 삐라살포 25건, 데모 24건, 맹휴 10건, 파업 14건, 검거 36명.
2. 10 김구, 「三千萬 同胞에 泣告함」이라는 남한단독정부 수립반대성명.
2. 16 김구ㆍ 김규식, 김일성ㆍ김두봉에게 남북정치지도자간의 정치협상 제의하는 서한 보냄.
2. 26 UN소총회 'UN한위가 접근할 수 있는 가능한 지역'인 남한에서만 총선거 실시 결의.
3. 8 김구, 남북협상 제의.
3. 12 김구, 김규식, 김창숙, 조소앙, 조성환, 조완구, 홍명희 7인 공동성명으로 남한총선거 불참 표명.
3. 22 미군정, 東拓 해체하고 토지행정처 설치, 적산농지 28만 정보 농민불하 법령 공포, 선거법 공포(친일파의 권리제한).
3. 25 남북연석회의 개최에 대한 全託성명 발표. 韓獨, 獨勞, 社民, 民獨, 新進黨 등 대표, 統一獨立渾動者協議會 발기. 4.3 김구, 김규식 이하 1백여 군소정당단체 대표 참석하에 통일독립운동자협의회 구성. 평양방송, 「남조선단독정부수립을 반대하는 남조선정당 사회단체에 고함」을 통해 남북정당 사회 단체 대표자 연석회담 제안.
3. 29 民族自主聯盟 남북연석회의 지지성명. 김구, 김규식 기자회견에서 평양회의 참석 언명.
4. 3 제주도에서 남한단정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 및 폭동 발생(제주도 4ㆍ3민중항쟁, 주모자: 김달삼, 이덕구).
4. 11 남북연석회의 참가차 남로당, 인민공화당, 全託선발대, 민주한독당, 全農, 女盟, 大聯 등 선발대 평양 향발.
4. 16 평양에서 남북 정당 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 개최(남북연석회의). 남한 39개 정당 사회단체 및 북한 15개 정당 사회단체 참가(~4. 30). 4. 23「조선정치정세에 관한 결정서」, 「전조선동포에게 격함」등 채택. 김구를 비롯한 한독당 대표일행 38선 월경. 4. 20 조소앙 및 한독당, 민독당, 민자련 대표 향북.
4. 26 김구, 김규식, 김일성, 김두봉 등 남북지도자 제 1차 비공식 회담(4. 30 2차 비공식회담).
4. 30 남북조선 정당 사회단체 지도자협의회(남 15, 북 28, 총 43단체) 개최하고 「남북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공동성명서」발표.
5. 2 過度立法議院 해산.
5. 5 김구ㆍ김규식 평양에서 귀환, 5ㆍ6남북연석회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공동성명 발표.
5. 10 UN한위 감시하에 남한만의 첫 국회의원 총선거 실시(5. 10단독선거). 단독선거 반대 폭동으로 선거사무소 습격 134개 소, 관공서 습격 31, 테러 612건, 사망 23명, 부상 643명.
5. 31 制憲國會 개원(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 김동원).
7. 1 국회에서 국호를 大韓民國으로 결정.
7. 17 헌법 정부조직법 공포.
7. 20 원내 선거로 초대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7. 24취임).
8. 1 초대 국무총리에 이범석 임명.
8. 4 국회의장 신익희, 부의장 김약수 선출됨. 8. 5 대법원장 김병로 인준.
8. 15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 발표,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 9. 13행정권이양 완료.
8. 21 海州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위한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개최.
8. 26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잠정적) 체결.
9. 5 國防警備隊를 陸軍으로(병력 2만여 명). 海洋警備隊를 海軍으로 개편.
9. 11 한미 재산에 관한 최초의 행정협정조인(군정 재산의 이양).
9. 19 소련, 북한에서 철병하겠다고 성명.
9. 20 미국, 남한에서 당분간 철병않겠다고 성명.
10. 19 제주도 폭동진압 파견에 반대하는 일부 군인 주동으로 여수ㆍ순천 사건이 발발(주모자 지시회, 홍순석 등).
10. 25 여수ㆍ순천지구 계엄령, 10. 27 완전진압, 11. 1 관련자 89명 사형. 사살 363명, 생포 2,116명, 피해 사망 3, 392명, 부상 256명, 실종 82명, 가옥전소 5, 242동, 피해액 99억 1,763만 395원.
11. 3 김구, 미소 양군 철퇴 후 통일정부 수립 요지의 담화 발표.
11. 20 국가보안법 통과.
11. 25 反民族特別調査機關法, 국회통과(12. 7 공포).
12. 10 마샬 계획에 의거 한미경제원조협정.
12. 12 UN총회, 한국정부 승인.
1949년 1. 1 美, 한국을 정식승인. 초대대사에 무초, ECA원조도입 시작.
1. 8 反民法 해당자 구속 시작(1차로 박흥식 수감). 反民特委 발족.
2. 21 反民特委, 본격활동 개시.
3. 26 한일통상회담 개최.
4. 2 38선의 충돌사건 격증(월간 84회).
4. 23 한일교역협정 조인.
5. 20 남로당 국회프락치사건 발생(김약수, 이문원, 노일환, 황윤호 의원 등 체포). 미국무성,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 29 철수완료, 7. 28 UN한위 철수를 확인.
6. 21 농지개혁법 공포.
6. 26 김구 암살(범인은 현역 포병소위 안두희. 현장서 체포, 7. 5 국민장, 8. 6 안두희에 종신형, 50. 6. 26일 석 방).
10. 19 남로당 기타 前 民軍 산하 133정당 사회단체 등록취소 처분.
12. 16 국호(대한민국ㆍ대한ㆍ한국)와 지도색(녹색)결정.
12. 17 한일통상 비준, 21일 발효.
12. 19 .
12. 24 大韓國民黨 발족(최고위원 윤치영, 이인).
1950년 1. 26 韓美相互防湲助協定 체결.
3. 27 남로당총책 김삼룡, 이주하 체포.
4. 3 이범석 국무총리 사임. 이승만, 후임에 이윤영 인준요청. 4. 6 국회인준 부결. 농지개혁 착수.
4. 13 陸參總長 경질(채병덕 소장 취임).
4. 21 국무총리 서리에 신성모(~11. 27).
4. 22 대한정치공작대 사건(야당인사의 북한간첩 접선을 조작).
5. 30 제2대 民議院총선(여당인 대한국민당 패배, 무소속 다수 당선.무소속 126, 民國 23, 國民 22, 韓靑 10, 國民會 10명).
6. 4 한일무역협정 체결.
6. 12 한국은행 발족, 초대 총재 구용서.
6. 16 북한은 김삼룡, 이주하와 조만식 교환을 제의, 이승만 조건부(韓委개입, 조만식先迭)로 수락 표명(20일 북한측은 이를 거부).
6. 19 제2대 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장택상ㆍ조봉암).
6. 25 북한 불법 남침(한국전쟁 발발). UN안전보장이사회(UN안보리), 북한의 공격을 침략으로 규정하고 38선 이북으로 철수 요구.
6. 27 美軍 참전. 트루만 美대통령, 해공군에 한국 출격 명령, 제7함대를 대만해협에 파견. UN안보리, 한국 원조를 결의. 정부 대전으로 이전, 7. 8 대구,8. 18 부산.
6. 28 서울 피침, 새벽 3시에 한강 인도교 폭파.
6. 30 미군, 육군에 한국 참전을 명령. 3군총사령관에 정일권 준장 임명.
7. 2 26개국 對韓군사지원 성명.
7. 12 한국군 통수권의 미군이양에 관한 한미 대전협정 체결.
7. 27 국회, 부산극장서 개회.
8. 3 낙동강 철교 폭파. UN군 워커라인(마산, 왜관, 영덕을 잇는 방위선)구축.
9. 15 UN군 인천상륙(미 제10군단).
9. 16 낙동강 전선에서 UN군 총반격 개시.
9. 26 서울 수복(조치원, 청주, 영동도 탈환). 9. 28 완전수복.
9. 28 이승만, 38선 이북 진격 명령.
10. 7 UN총회 북진안 가결, 신 UN한위 구성(호주, 칠레, 네덜란드, 필리핀, 태국, 파키스탄, 터키 등 7개 국).
10. 19 군국 平壤탈환, 熙川ㆍ德川(10.14), 宣川ㆍ博川(10.31).
10. 25 중공군 한국전 개입.
10. 26 국군 압록강변(초산)에 도달.
10. 27 정부, 서울로 환도.
10. 31 서울시내 附逆者 1만 1,592명(여 2천9백 명)적발.
11. 11 부역자 처벌 특별조치령(단심제) 공포.
11. 13 전국서 부역자 5만 599명 검거(후에 1만 5,891명 석방).
12. 4 UN군, 평양 철수.
12. 13 UN政委서 韓國停戰 13개 국안 가결.
12. 24 서울시민에 피난령, 홍남 철수.
1951년 1. 1 中共軍 6개 군단, 38선 넘어 남진.
1. 2 간행물의 사전검열제 실시(국방부).
2. 1 국민병 점호 실시(2. 7).
2. 4 反民法 폐지안 국회통과(폐기 3.3).
2. 11 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11사단 9연대 공비토벌을 앞세워 거창군 신원면 주민 663명 집단학살).
3. 24 맥아더, 38선 이북 진격명령. 25일 38선 돌파.
3. 29 국회, 國民防衛軍 의혹사건 폭로(23억 원, 양곡 5만 2천 석 착복).
4. 15 북한, 한국전쟁 평화 해결을 UN에 요청. 전국에 전염병 만연(1월 이후 장티푸스 발생 2만 4,617명).
4. 22 中共軍, 春季 제1차공세 개시.
5. 4 대학교육 전시특별조치령 공포.
5. 9 부통령 이시영, 이승만을 성토하고 사표 제출(11일 국회서 반려, 13일 재제출, 14일 수리).
5. 15 제2대 부통령으로 김성수 선출.
6. 23 蘇聯 UN대표 말리크, 38선 정전회담을 제의.
6. 27 참전 16개국 말리크의 제의를 공동 수락.
6. 29 미대통령 트루만, 리지웨이에게 한국 정전교섭 지시. 리지웨이 6.30제의.
7. 1 서울시 행정기관 복귀, 시민 入京은 불허.
7. 8 휴전예비회담 개회(개성).
7. 10 휴전회담 본회의 시작(개성~7.26 의사일정 비무장지대와 군사경계선 휴전실시를 위한 감시기관 포로교환 쌍방정부에 대한 권고의 5개 의제 채택).
7. 19 國民防衛軍사건 피고 김윤근 준장 등 5명에 사형 확정(8.13 집행).
8. 3 전국서 정전반대 국민대회. 8.3 한ㆍ필리핀 상호안전방위조약 체결.
8. 15 이승만, 자유당 창당 구상을 표명.
8. 24 歸屬財産處理法 공포.
9. 10 이승만, 휴전 수락 4대원칙 제시(중공군 철퇴, 북한 무장해제,UN감시하 총선거 등).
10. 17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양원제 개헌안 의결(11.28 국회제출, 11.30 공고).
10. 20 제1차 한일회담 개최(東京), 기본 국교, 교포의 법적지위, 어업문제 등 논의.
10. 25 판문점에서 정전회담 재개.
11. 6 국무총리 서리에 허정(許政) 임명.
11. 27 휴전회담에서 30일간의 잠정적 군사경계선 확정 합의.
12. 1 부산, 대구를 제외한 각 지역에 비상계엄령 선포.
12. 2 西南地區 共匪토벌작전 개시(52.3.12 종료).
12. 15 거창양민학살사건 선고 공판, 김종원 징역 3년, 오익균ㆍ한동석 무기.
12. 18 판문점 휴전회담에서 포로명단 교환(UN군 1만 1,559명, 국군 7,142명,공산군 13만 2,474명).
12. 23 自由黨, 院內自由黨(당수 이승만)과 院外自由黨(부의장 이갑성, 김동성)으로 분리 발족.
1952년 1. 16 국회, 포로석방 건의안 가결.
1. 18 平和線 선언(이승만 대통령), 제2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 양원제) 부결(찬성19, 반대 143).
2. 18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폭동, 69명 사살, 미군 1명 사망.
6. 10 거제도 폭동 악화, 포로 160명, 미군사병 16명 사망.
3. 20 院外自由黨전당대회(총재 이승만).
3. 31 한미석유협정 체결.
4. 17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4. 20 국무총리 장면 퇴임. 장택상을 총리에 지명.
4. 21 개헌반대 데모 폭동사건 발생.
4. 24 총리서리에 이윤영 임명.
4. 28 한일 通商財政海軍협정 체결. UN군사령관 리지웨이 사임, 후임에 클라크 미육군대장.
5. 7 거제도서 공산포로 폭동, 도드 소장을 3일간 감금.
5. 10 제1회 전국도의원 선거 실시.
5. 14 정부, 제4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동일 공포.
5. 19 국회 주변서 정체불명의 백골단, 땃벌떼, 민중자결단 등 난동, 국회해산 요구.
5. 24 이승만, 대한노총 제6차 전국대회를 둘러싼 분열에서 전진한을 반대하고 주종필, 조광섭 등을 지지.
5. 25 부산을 중심으로 경남전남북에 계엄령(~7.28). 이종찬 육참총장 파병을 거부.
5. 26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임시중앙청 정문서 국회 통근버스 헌병대에 연행, 국회의원 10명 체포(5.26 부산정치 파동 시작).
5. 29 김성수 부통령, 이승만 대통령을 탄핵하고 사표 제출(6.28 국회서 수리 가결).
6. 1 學徒군사훈련 실시.
6. 7 UN사무총장, 이승만 대통령에 서한, 민주주의 파괴 우려를 표명.
6. 8 휴전회담 假조인.
6. 12 발췌개헌안 기초 완료.
6. 18 국회는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 김동성 선출.
6. 20 釜山國祭俱樂部에서 야당인사들 反獨栽 護憲구국 서언, 회의장에 괴한 난입(국제구락부 사건).
6. 25 6.25 2주년 기념식장서 이승만 저격사건 발생(부산시 충무로),범인 류시태, 배후조종자 김시현 체포.
6. 28 自由藝術人聯合 결성.
6. 30 이승만이 조종하는 민중자결단 청년들, 국회의사당 포위, 80여 의원 연금, 제12회 정기국회 개회, 이 대통령 국회폐회연설에서 발췌개헌안 불채택시는 국회해산할 용의있다고 표명(釜山정치파동의 고비).
7. 3 헌법 심의하라고 구속의원 전원석방, 등원거부의원은 경찰이 강제호송.
7. 4 경찰 포위 속에서 제3차, 제4차 개헌안 발췌 통과(기립투표, 찬성 160, 반대 0, 기권 3표). 동일공포.
7. 10 국회 정부의장 선거, 의장 신익희, 부의장 조봉암ㆍ윤치영.
7. 19 자유당 전당대회(대전),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범석 지명.
8. 2 제2대 대통령선거(직선제) 투표결과 대통령에 이승만(자유당), 부통령에 함태영(무소속)당선(이승만 5,238,796표, 조봉암 790,54표 획득).
9. 18 美해군 한국전선에서 誘導彈 사용.
10. 10 월북작가의 유행가 금지.
11. 9 大韓勞總전국대의원대회 부산극장에서 개최(~11.10).
11. 10 이승만 지시로 위원장 전진한 제거되고 최고위원 3명(조경규, 이진수, 송원도) 선출. 이승만 메시지를 통해 앞으로 대한노총을 자유당의 기간단체로 만들 계획임을 천명.
12. 2 美대통령 당선자 아이젠하워 장군 내한(5일 離韓).
12. 14 한미경제협정 체결.
1953년 1. 5 이승만 대통령 訪日(~1.6 吉田 수상과 회담, 국교재개 용의 성명).
1. 9 오까자끼 일본외상, 在韓재산권을 포기한다고 언명.
1. 24 미8군 사령관 후임에 테일러 중장 임명.
1. 30 부산국제시장에 화재, 2,332동 전소, 1,154억 원 피해.
2. 4 중공 周恩來, 한국 즉시 휴전 용의 표명.
2. 15 제1차 통화개혁, 긴급통화조치령으로 원을 환으로 100대 1로 평가절하, 달러 환율(공식) 60대 1, 2월 17일부터 원화유통 금지.
2. 16 韓日협상 준비회의.
3. 11 UN총회, 한국 경제원조 결의.
3. 30 周恩來, 送還不願포로로 중립군 이송 제안.
4 『思想界』발간(발행인 장준하).
4. 2 휴전반대 시민궐기대회.
4. 15 제2차 한일회담 개최(東京).
4. 22 전국서 '통일없는 휴전반대' 국민대회.
4. 24 국회, 국무총리에 백두진 인준(~54.6.18).
4. 29 휴전회담 재개.
5. 8 이승만, 美정부에 휴전 불수락 통보.
6. 11 北進統一궐기대회.
6. 18 정부, 반공포로 2만 7,312명 석방.
6. 23 조병옥, 반공포로 석방을 비난하다 피습.
6. 25 憲總, 반공포로를 석방했다고 비난한 조봉암의 선거 사무차장이었던 김성주 구속(54.4.7 軍裁서 7년형, 동 16일 형무소에 연행된 후 원용덕 헌병사령관 집에서 살해됨, 4.19이후 불법 살해되었다고 가족들이 고발).
6. 26 일본인, 독도에 불법상륙.
7. 19 공산측 휴전협정 조인에 동의. 5.20변영태 외무장관, 한국은 휴전 조인에 불참 성명.
7. 27 휴전협정 조인(오후 10시 全전선서 전투 중지, 전쟁중 UN측의 死傷 33만, 戰費 150억 달러, 적의 손실 180만 명). 아이젠하워 美대통령, 대한원조 2억 달러를 의회에 요청.
8. 2 미군사령부, 서울대 건물 반환하고 용산으로 이전.
8. 3 중립국 감시위원회 軍事停戰委본부 판문점 설치.
8. 5 포로교환 시작(9.6까지 7만 5,799명 송환하고 1만 2,760명 인수).
8. 7 평양방송, 남로당계열 박헌영ㆍ이승엽ㆍ이강국 등 12인을 간첩행위 및 내란정부전복혐의로 기소했다고 발표 (사형 7명).
8. 8 한미상호방위조약, 서울에서 假조인(10.1 워싱턴에서 본조인).
8. 15 정부, 서울 환도(9.16 국회환도).
10. 1 한미상호방위조약 조인(54.1.13 발효).
10. 6 한일회담 제3차회의(10.15 久保田 망언으로 10.21 결렬).
10. 26 휴전협정에 의한 한국문제 정치회담 예비 회담 판문점서 개최(54.2.2까지).
11. 30 參議院 선거법 국회통과, 자유당 최고위원에 이기붕.
12. 1 三南지방에 비상계엄령.
12. 14 한미 합동경제위원회 협정(경제재건 및 재정안정 계획) 조인.
1954년 1. 21 印度軍으로부터 반공포로 2만 1천5백 명 인수(1.23 석방).
2. 5 진해에서 한미군사회담.
2. 21 휴전협정에 의한 중립국 포로송환 임무 완료.
3. 23 이승만, 3개월 내에 현행 맞춤법 폐기하라고 지시, 한글학회ㆍ문총 등 관계기관에서 반대서명.
4. 28 이승만 대통령, 아시아 반공연맹에 일본 참가를 반대.
5. 8 이승만 불교정화 지시, 比丘ㆍ帶妻 간의 분규 표면화, 11월 14일엔 난투극.
5. 20 제3대 民議院 총선(自由黨 114, 無所屬 68, 民國黨 15석 등).
6. 9 제3대 민의원 개원(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ㆍ곽상훈), 자유당 체제 확립.
6. 28 국무총리 변영태 국회인준 획득.
7. 25 이승만 대통령 訪美.
7. 30 한미 양국정상 공동성명, UN 방침하 統韓노력 언명.
8. 9 미군부대 한국인 노동자 1만 2천여 명 일제히 파업 돌입.
8. 18 국회, 미군철수 반대 결의.
9. 8 초대 대통령 重任제한 철폐 개헌안 제안.
9. 24 美軍철퇴반대 국민총궐기대회(학생동원).
10. 3 정부, 수복지구(28선과 휴전선 사이) 행정권을 UN군으로부터 인수(54.11.14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식).
10. 9 미국, 對韓석유공급 중지.
10. 21 한미 석유회담 개최.
11. 17 한국에 대한 국사 및 경제원조에 관한 韓美간 합의의사록 서명발표 한국군은 UN군의 작전지휘권하에 군사ㆍ경제 원조 17억 달러 제공.
11. 27 국회, 개헌안(초대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등)재적의원수의 3분의 2 이상 미달로 부결선언(최순주 부의장).
11. 29 국회, 개헌안 부결을 번복, 四捨五入통과 선언(재적 23명 중 찬성 135, 반대 60, 기권 7, 결석 1표), 당일로 공포(사사오입 개헌).
11. 30 야당의원 단일교섭단체로 護憲同志會 결성(반이승만 투쟁의 시발).
12. 1 최순주 국회부의장 사사오입 책임지고 사퇴. 국회, 곽상훈 국회부의장 불신임안 가결.
12. 10 UN총회, UN의 統韓원칙을 재확인.
12. 27 이승만의 지시로 김일환 중장을 단장으로 장교 39명 등을 각광업소 배치.
1955년 1. 17 한미 군사원조의정서 조인.
2. 15 勞農黨 결성(전진한 중심으로).
5. 22 주한 美군사원조 고문단 설치.
5. 29 兵器廠 건설에 관한 한미협정 조인.
5. 31 한미 석유 협정과 한미 잉여농산물원조협정 체결.
7. 1 한미 원자력협정 체결.
7. 25 美 극동지상군 사령부와 8군사령부, 서울로 이동.
8. 17 정부, 한국인의 對日왕래를 금지.
8. 18 대일무역 정지(56.1.18 해제).
9. 15 조봉암, 서상일, 장건상 등 20여 명 광릉에서 혁신계 통합회의(광릉회의).
9. 19 護憲同志會의 自由民主派 民主黨 창당(대표최고위원 신익희).
10. 8 이승만 암살음모 협의로 김동훈ㆍ김재호(韓獨黨계) 등 8명 검거.
10. 24 조봉암, 대관원 화합 통해 신당조직 3원칙(①혁신세력 규합 ②정치혁신 ③계획성 있는 경제정책 구현과 민주 주의 승리 하의 평화적 남북통일) 수립과 가칭 진보당 發起準備鑄委員會 결성.
12. 15 국회, 無所俱屬樂部 憲政同志會로 발족.
12. 22 조봉암, 서상일 외 9명 대표명의로 假稱 進步黨 발기 취지 발표.
1956년 1. 2 제2興黨 民政黨 발족(최고위원 이범석, 장택상).
1. 9 한미경제회담 서울서 개최.
1. 30 육군특무부대장 김창룡 소장 피살(2.26 허태영 대령 등 8명 체포, 3.3 국회, 관련혐의로 도진희 의원 구속동 의안 가결, 11.22 허 대령 부인의 탄원서에 의해 강문봉 중장 등 6명 추가 구속).
2. 3 한미 원자력 협정 조인.
2. 13 지방자치법 개정안 공포.
4. 12 이승만, 선거에서 對北협상과 親日주장은 불가하다고 언명.
4. 13 신익희, 조봉암, 이승만의 선거담화 반박.
4. 25 신익희(민주당)ㆍ조봉암(진보당) 兩대통령 후보, 야당후보 단일화 위한 비밀협의(27일 결렬).
5. 5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전국유세중 裡里에서 急逝(63세).
흥분한 군중들 경무대로 몰려 경찰과 충돌, 708명 피검.
5. 6 서울에 비상경계령.
5. 15 제3대 대통령선거 투표결과 이승만 당선(이승만 504만 6,437표, 조봉암 216만 3,808표 획득). 부통령엔 장면(민주당).
5. 20 국무위원 총사직.
6. 8 국회에서 의장 이기붕, 부의장 조경규, 황성수 선출.
7. 26 야당의원들「국민주권옹호투쟁위원회」구성, 민의원 지방선거에 대한 관권 배제운동 전개.
11. 10 市公館에서 進步黨 창당대회(위원장 조봉암, 부위원장 박기출, 김달호). 서상일 등은 57.10.15 民主革新黨 결성.
12. 26 서상일 중심 民主革新黨과 장건상 중심 大衆黨 합동해 發黨문제 토의. 합당준비위원회 구성(위원장 장건상, 부위원장 서상일, 상무위원 77명 선임).
1957년 3. 28 일본, 을사조약의 무효와 在韓일본재산 포기를 선언.
4. 24 한미항공협정 조인.
4. 27 경기도 坡州의 美軍 폭행 재발생.
4. 27 이승만, 억류자 석방하면 한일회담 재개하겠다 성명.
5. 25 야당주최 시국강연회에 테러단 난동, 12.5주범 유지광 체포.
6. 11 김유택 주일대사, 日수상과 회담(한일회담 재개, 억류자 석방등 합의).
6. 14 한미합동 상륙전 대훈련 「럭키타이거작전」전개.
6. 30 美, 현대무기공급 정식 통고.
7. 1 UN군 총사령부, 한국으로 이동.
8. 3 조봉암ㆍ장건상 등 혁신세력, 대동통일운동 추진.
8. 8 民革黨창당준비위의 상무집행위, 만장일치로 총무위원 장건상, 김성숙, 오중환, 상무위원 김일천, 양재소, 윤방우 등 6명을 지하세력과 합작했다는 혐의로 제명.
8. 10 서상일 중심 民革黨준비위, 서울시당 창당준비위 위원장 최익환, 부위원장 이두산으로 구성.
9. 20 진보당(조봉암ㆍ윤길중ㆍ김달호ㆍ이명하ㆍ김기철ㆍ조규희ㆍ최희규)과 근민당 잔류파(김성숙, 양재소, 김일우 등 10여 명) 혁신세력 통합시도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10. 15 民主革新黨 결당(위원장 서상일).
11. 5 북한 副相級에 해당하는 간첩 박정호와의 관련혐의로 장건상, 정이식, 오중환, 이재춘 등 구속.
11. 14 김성숙 등 14명 박정호 접선협의로 추가 구속. 박정호는 남반부 정치변혁공작대의 총책임자로 남한의 「혁신세력통일위원회」상대로 공작금 제공.
12. 29 한일 예비회담에서 억류자 상호석방 및 본회의 재개에 합의.
1958년 1. 1 민 참의원 선거법안 국회 통과(참관인의 권한 확대된 공영제, 언론제한 포함 1. 25 공포).
1. 12 치안국 「평화통일」구호 및 간첩 박정호화의 접선혐의로 진보당 수사.
1. 13 진보당 위원장 조봉암 외 동당 간부 7명을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 정준석 검찰총장, 평화통일을 주장하는 진보당은 불법결사단체라고 주장(1.14 조봉암이 북에서 밀파된 김경태, 오중환과 접선, 북의 지령에 따라 평화통일론을 주장했다고 발표). 서정학 치안국장, 진보당은 정우갑 등 7개 간첩과 접선혐의 있다고 발표.
1. 16 검찰은 조봉암이 장건상, 김성숙 등과 김일성의 지령 실천을 위한 7인위원회를 구성해 「在野革新勢力鑄備委員會」조직했고 간첩 박정호, 김경태 등이 이에 침투했다고 발표.
1. 21 조봉암 등 구속 송치.
1. 28 이명하 검거. 1.31 김안국 체포, 2.4 조봉암 비서 전세룡 검거, 2.8 진보당 조직부 간사 이상두 구속.
2. 8 진보당사건 관련자 기소됨(담당검사 조인구, 조봉암은 간첩방조 국가보안법 위반, 나머지는 국가보안법 위반). 구속자 명단: 조봉암, 박기출,김달호, 윤길중, 조규택, 조규희, 이동화, 김기철, 신창균, 김병휘).
2. 25 정부, 美軍政법령 55호에 의거 진보당 등록취소(이유 UN결의에 위배되는 통일방안지지 북한이 밀파한 간첩, 밀사와 접촉 대한민국 전복 음모).
3. 17 검찰, 이중간첩 양명산이 진보당 확대공작비로 미화 2만 2천달러와 한화 1천 5백만 환을 조봉암에게 전달했다고 발표.
4. 15 검찰, 진보당 관련자의 通房사건으로 이동현 간수부장 구속. 4.18 임신환 간수부장 구속. 제4차 한일회담 재개. 60.4.19로 중단.
5. 2 제4대 민의원 총선거(자유당 129, 민주당 79, 무소속 27석).
6. 7 제4대 민의원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이재학ㆍ한희석 선출.
6. 9 제2대 대법원장에 조용순 임명(16일 국회서 인준).
6. 13 진보당사건 구형공판. 조인구 부장검사, 조봉암, 양명산에게 간첩 및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사형, 윤길중 무기징역, 진보당 간부 16명에게 12년 이상의 실형 구형. 7.2 언도공판. 조봉암 불법무기소지, 국가변란 실행혐의로 징역 5년, 양명산 국가변란 혐의죄로 징역 5년, 나머지 17명 무죄언도.
7. 4 진보당 박기출, 김달호, 윤길중 보석. 「반공청년」빙자한 테러단 법원 난입, 시위난동(親共판사 유병진을 타도하자, 조봉암을 간첩죄로 처단하라).
8. 13 박정호 사건 항소심 판결(박정호 무기징역, 장건상 등 15명엔 무죄선고).
9. 4 진보당 항소심 공판개시(서울고법 부장판사 김용진, 배심판사 조규대, 최진현, 담당검사 방재기), 양명산, 특무대 고문 폭로하며 일심진술 번복.
10. 25 원심파기하고 조봉암, 양명산에 사형 선고(2심), 진보당사건 기타 전 피고에 유죄 언도.
10. 29 정부, 3월 10일을 노동절로 결정.
11. 18 국가보안법 改惡, 국회제출(보안법파동 시작). 11.27 보안법개악 반대투쟁위원회 결성, 민주당의원 81명, 무소속 10명 단합.
12. 2 自由黨, 反共鬪委를 결성(위원장 장택상).
12. 16 박정호 사건 대법원 판결(박정호 사형, 김태형ㆍ김규용 징역 10년, 김경태ㆍ오중환 징역 8년, 이재춘ㆍ이철웅 징역 3년6개월 선고).
12. 19 보안법 개정안, 법사위에서 여당의원만으로 3분간에 무수정ㆍ無讀會 통과.
12. 20 제4차 한일회담 휴회.
12. 24 국회에서 경호권 발동, 무술경위 3백 명으로 야당의원 가두고 보안법안 등 27개 의안 날치기 통과(24파동).
12. 28 보안법반대 국민대회준비위원회, 국민주권 사수투쟁위원회로 개편(59.1.14民權守護國民聯盟으로 재개편).
12. 31 경제원조 수입액 24억 6천만 달러, 연간 한은 순익 44억 3천5백만 환(수입 88억 6천만 환, 지출 44억 2천5백만 환), 연간 수출 1,645만 2천 달러, 수입3억 3,504만 4천 달러, 입초 3억 1,859만 2천 달러, 연간 국민총생산 1조 6,705억 환(전년비3.2%증), 국민소득 2% 상승, 생명보험계약금 집계 급증, 연간 708억 환(24만9천 명)으로 전년비 9배 상승, 화폐발행고 1,163억 환.
1959년 1. 5 新보안법 반대시위 전국에서 발생.
1. 26 이승만, 4선출마용의 표명.
4. 24 59년도 잉여농산물 도입액 3,310만 달러로 한미간 합의.
5. 17 조봉암 求命호소운동에 재일동포 8천여 명이 서명.
5. 9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연간 성장율 5% 목표).
6. 29 제9차 자유당 전당대회, 대통령후보에 이승만, 부통령후보에 이기붕.
7. 29 양명산 사형집행, 7.30 조봉암 재심청구 기각. 7.31 사형집행.
8. 1 장택상(반공투위장), 조재천(민주당대변인) 등 치안국의 조봉암 사형집행 보도통제 비난.
9. 17 태풍「사라」호 남부지방 강타, 사망 924명, 이재민 98만 5천명, 피해 129억 환.
10. 10 조병옥 민주당 대표최고위원, 대통령 입후보 포기 성명.
10. 14 한미합동경제위원회, 60년도 대한원조액 650만 달러로 책정.
11. 26 민주당 정ㆍ부통령 후보자 지명대회, 대통령후보 조병옥, 부통령후보 장면.
11. 27 민주당 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 윤보선, 백남훈, 박순천, 곽상훈.
1960년 2. 6 서울운동장에서 「이승만 박사ㆍ이기붕 선생 출마환영 예술인 대회」개최.
2. 15 조병옥(민주당 대통령후보), 美육군병원에 입원중 急逝, 2월 25일 국민장.
3. 15 정ㆍ부통령선거 실시(3ㆍ15 부정선거), 투표율 94.3%. 제4대 대통령에 이승만 제5대 부통령에 이기붕 당선. 민주당 무효선언. 제1차 馬山부정선거 규탄시위, 경찰서 등 습격, 80여 명 사상.
4. 4 IPI조사단 40명 내한, 한국에 언론자유 없다고 결론.
4. 11 제2차 馬山유혈시위 발생(피살된 김주열 군의 사체인양을 계기로 마산의 분노 다시 폭발), 연 3일 계속.
4. 18 서울서 高大生의 시위, 귀로인 종로4가에서 정치깡패에 피습, 40여 명 부상.
4. 19 4월혁명의 날. 2만 명 이상의 학생시위, 사망 142명(피의 화요일).서울신문사반공회관에서 방화, 시위 전국으로 확대. 서울ㆍ부산ㆍ대구ㆍ광주ㆍ대전 등 5개 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계엄사령관 송요찬 중장), 15사단 서울 진주.
4. 25 서울시내 각대학 교수단 4백여 명, 계엄하의 시위행진.
4. 26 이승만, 下野성명(승리의 화요일), 시위군중 상오 9시 반경 10만으로 증가.
4. 28 過渡政府 수립(내각수반 허정). 이기붕 일가 4명, 경무대 관사 36호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
5. 3 최인규 전내무장관 구속, 정부 學徒護國團 해체 결의. 과도정부, 「혁명적 정치개혁을 비혁명적 방법으로 단행」성명.
5. 11 국회, 내각책임제 개헌안 제출(5.21 공고).
5. 29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이병도 문교장관 교원노조 해체지시.
6. 16 이병도 문교장관, 교원노조 불필요담화 발표.
6. 21 李 문교장관, 교원노조 해체를 재차 지시. 전국적으로 이병도 문교장관 규탄.
7. 29 民議院ㆍ參議院 총선 실시(219석 중 민주당 172석 확보).
8. 8 제2공화국 民議院ㆍ參議院 개원(민의원 의장 곽상훈, 부의장 이영준, 참의원 의장 백남준, 부의장 소선규).
8. 13 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내각책임제), 대통령 취임사에서 남북통일이 UN감시하의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이룩되어야 한다고 언명. 12.20 정부, UN감시하 남북통일이 공식적인 통일방안이라고 천명.
8. 14 김일성, 남북연방제 제의.
8. 17 국회, 김도연 국무총리 인준 부결(찬성 111, 반대 112, 무효 2표). 민주당 新舊派의 파벌투쟁 본격화.
8. 19 민의원, 총리에 장면 의원 인준(찬성 117, 반대 107, 기권 1표).
9. 3 「民族自主統一中央委員會 준비위원회」(민자통) 발기 9.30 민자통 자주평화민주의 통일원칙 발표.
9. 22 민주당구파 分黨 선언(11.24 민주당구파 新民黨으로 등록).
10. 25 제5차 한일회담 개최(~61.5.15).
11. 23 제4차 개헌안 민의원 통과(28일 참의원 통과).
11. 24 社會大衆黨결성(위원장 김달호).
11. 28 「韓國永世中立化南北統一推進委員會」(위원장 김문갑), 영세중립을 통한 남북통일운동 전개 방침을 포함한 선언문 발표.
12. 6 사회대중당(위원장 김달호), 영세중립에 입각한 통일 희구, 국민투표를 제창하는 민주적 평화적 조국통일촉진방안 성명 발표. 12.21 사회대중당,「통일협의체」구성제의.
12. 12 특별시ㆍ도의원 선거.
12. 15 시ㆍ읍ㆍ면의원 선거.
12. 26 시ㆍ읍ㆍ면장 선거.
12. 29 특별시ㆍ도지사 선거.
12. 31 부정선거처리법, 공민권제한법 공포.
1961년 1. 6 장면 총리, 연두기자회견에서 중립화통일과 남북교류반대 언명. 1.8 윤보선 대통령, 무책임한 통일론을 경계한다고 언명.
1. 8 혁신당 결성(대표위원 장건상).
1. 16 혁신당, 통일방안의 단일화, 영세중립국 실현, 남북간의 경제교류, 서한, 언론인, 체육인, 예술인 등의 상호왕래 등 조국통일에 대한 기본주장 천명.
1. 21 統一社會黨(統社黨) 발족(서상일, 이동화, 윤길중 중심).
2. 9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2. 11 혁신계, UN보장하의 중립화통일추진운동으로 5백만 서명운동 선언. 2.23 내무장관, 중립화론 서명운동은 사찰대상이라고 지적.
2. 20 신민당 결당(민주당舊派, 위원장 김도연, 간사장 유진산).
3. 8 정부 데모규제법 검토 완료, 반공특별법안도 成案. 이후 2대 악법 반대시위 빈발.
3. 22 革新系 주최로 데모규제법과 반공법을 2대 악법으로 규정반대하는 성토대회(2대 악법 반대투쟁).
3. 26 在日한국인 기자단(민단측)과 在日조선언론인출판인협회(조총련측),북평화통일문제에 관한 공동성명 발표.
4. 18 일본동경에서 在日문화인(민단조총련계 합동)주최,「평화통일남북문화교류촉진 문화제」개최하고 호소문 발표.
5. 7 민주당 대변인(신상초), 남북협상 반대, 분단지속 불가피 주장.
5. 10 장면 총리, 남북교류 및 남북학생회담 불허방침 언명.
5. 16 5.16군부 쿠데타 남북교류 주장자들 일제 검거. 군부 쿠데타 발생, 박정희 소장 주도. 軍事革命委員會 설치(의장 장도영, 부의장 박정희), 혁명공약 6장 발표, 3권 장악,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포고1호(집회금지, 보도관제) 2호(금융동결, 물가동결) 3호(공항ㆍ항만봉쇄) 4호(장면 정권인수, 각급의회 해산, 정치활동 금지)발표. 그린 美대리대사, 매그루더 UN군사령관 합헌적 정부(장면 내각) 지지를 발표. 보도 사전검열제 실시(5.27까지).
5. 18 장면 내각 비상계엄 추인 후 사퇴. 윤보선 대통령, 계엄령 추인. 미국 군사정권 인정.
5. 20 革命委員會를 國家再建最高會議로 개편. 최고혁명위원: 장도영, 박정희, 김종오, 박임항, 김신, 이성호, 김성은, 정래혁, 이주일, 한신, 류양수,한웅진, 최주종, 김용순, 채명신, 김진위, 김윤근, 장형순, 송찬호, 문재준, 박치옥, 박기석, 손창규, 류원식, 정세웅, 오치성, 길재호, 옥창호, 박원빈, 이석제. 고문: 김홍일, 김동하. 혁명내각 구성(수반 장도영 중장).
5. 21 特檢 검찰관 17명 전원 구석.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령 제6호(정당 및 사회단체 해체령).
5. 22 容共분자 2천여 명, 깡패 4천2백여 명 검거했다고 발표. 6.4 깡패 965명, 국토개발사업장에 작업동원.
6. 6 국가재건비상조치법 공포(국방장관대리에 신응균, 육참총장에 김종오 중장 임명).
6. 10 國家再建最高會議法ㆍ中央情報部法ㆍ農漁村高利債整理法ㆍ再建國家渾動에 관한 법률 공포, 제건국민운동본부장에 유진오 임명.
7. 2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내각수반에 송요찬.
7. 3 반공법 공포.
7. 9 反革命세력 44명 체포, 장도영 중장 연금.
7. 22 경제재건 5개년계획 발표.
7. 27 러스크 美국무장관, 한국군사정부 지지성명.
8. 2 한일 예비회담 개최.
8. 12 박정희, 63년 5월 총선으로 民政 복귀한다고 선언.
8. 17 계엄령없이 군대출동 가능케 한 首都防개부명
10. 24 김종필 중앙정보부장 渡日(地田수상과 한일회담 막후교섭).
11. 2 杉道助일본수석대표 내한. 革裁, 前최고회의의장 장도영(예비역 중장) 법정구속.
11. 11 박정희 의장 일본, 미국 방문(11. 25 귀국).
12. 2 한국문화방송(MBC)개국.
12. 20 경제기획원 외자도입촉진위원회 구성.
12. 26 일본 외무성, 獨島 영유권 주장하는 문서 전달.
1962년 1. 15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총투자 3조 2천억 환, 성장률 7.1%).
2. 3 김종필(중앙정보부장), 대통령 특사로 동남아 순방.
2. 15 외자도입 1호로 美광업회사에서 1백만 달러 투자 승인.
3. 12 한일 외상회담 개최.
3. 16 政治活動淨化法(政淨法) 공포, 정치정화위원회 구성(위원장 이주일). 이승만 前대통령 망명지 하와이에서 사과성명하고 귀국 희망, 17일 정부 거부.
3. 19 윤보선 대통령, 政淨法에 불만표시하고 사의표명.
3. 22 尹 대통령 하야성명.
3. 24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 대행.
3. 30 政淨法심사대상자 제1차로 2,907명 공고(이승만, 백남준, 장면,장경근, 손도심, 김의준, 설경동, 이정림, 정재호, 김용식, 유재흥, 장리욱, 오천석, 김세완, 고광림, 김성용 등 포함). 4.15 政淨法해당자 총 4,374명 확정.
4. 18 小坂 일본외상, 衆議院발언으로 한일관계 파문(한국이 38선이남만 관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全 한국문제의 해결을 요구하기에 한일협상을 중지했다).
4. 24 김종필 중앙정보부장, 외신기자회견에서 7월 말까지 자율적인 언론정화 없으면 조치하겠다고 언명.
4. 29 박정희도 동일견해 피력.
5. 9 革裁革檢 폐소식.
5. 29 경기도 坡州에서 美軍의 한국인 린치사건 발생. 6.6 고대생, 미군 린치사건 항의하고 한미행정협정촉구 데모, 13명 구속. 미국무성, 동사건에 정식 사과. 6.7 서울대생 1천여 명 한미행정협정 체결과 구속 고대생 석방요구 데모.
6. 1 김상돈ㆍ조중서 등 民主黨계 41명 反政府음모협의로 피검(民主黨反國家사건) 9.29 軍裁 선거공판에서 조중서 사형, 김상돈 무죄. 63.2.16 고소심에서 공소포기(조중서의 사형을 무기로 감형확정).
6. 10 제2차 통화개혁(10환 대 1원으로 평가절하).
8. 10 제3차 한미경제회담 개최, IDA차관 첫 케이스로 1천4백만 달러 확정.
8. 21 한일예비회담 재개.
9. 17 일본 경제인단 내한.
9. 20 한미 행정협정 실무자회담 18개월 만에 재개.
10. 20 김종필 중앙정보부장, 訪日ㆍ訪美, 11.12 김종필-오히라(大平) 메모 합의(11.13 귀국).
11. 7 박정희, 혁명주체세력도 민정에 참여한다고 발언.
12. 17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투표율 85.28%, 찬성률 78.78%).
12. 26 제5차 개정헌법 공포. 한일회담서 재산청구권문제 타결(일본 무상 3억 달러, 차관 3억 달러 제공).
12. 27 박정희, 대통령 출마의사를 표명.
1963년 1. 14 박정희, 김법린, 전진한 등 야권 대표와 면담(政淨法 폐기와 조기선거 반대 등 야측 요구 거부).
1. 27 民政黨창설 黨준비발기인대회(6인 지도위원제 채택) 5.14 민정당 창당대회(대표최고위원 김병로, 대통령후보 윤보선 지명).
2. 18 박정희, 2.18성명을 통해 5.16軍政인수 등 9개 제안이 수락될 경우 民政불참하겠다고 선언. 2.27 박정희, 民政불참 선언.
2. 25 김종필, 순회대사 자격으로 자의반 타의반 外遊(~10.30).
2. 26 民主共和黨 창당(총재 정구영, 당의장 김정렬).
3. 15 창군이래 처음 首都警備司 장병 80여 명, 최고회의 앞에서 군정연장 요구 데모, 3.16 박정희, 군정4년 연장 제의하며 국민투표에 붙이겠다고 성명함.
3. 16 군정연장 개헌안 공고, 정당활동의 정지, 언론ㆍ출판ㆍ집회를 제한하는 非常事態수습 임시조치법 공포.
3. 22 軍非常指揮官會議, 군정연장을 지지. 재야정치인, 구국선언대회 열고 군정연장 반대 데모 美케네디 대통령, 한국의 민정실현을 요망.
3. 23 미국무성, 합리적 민정이양 절차안 제출 희망 對韓공식견해 발표.
3. 29 서울문리대생 3백여 명, 자유수호궐기대회 개최(軍政연장반대등 결의).
3. 30 박정희ㆍ윤보선ㆍ허정 등 제1차 朝野영수회담 개최(3.31 2차 회담).
4. 4 제33차 한일예비회담 개최.
5. 14 民政黨 창당대회 개최.
6. 13 한일회담 일본측, 국교정상화 전에 민간차관 1억 달러 제공 의사 표명.
7. 13 중앙정보부장에 김형욱.
7. 18 民主黨 창당대회(총재 박순천). 한미경제위 신설에 관한 협정 체결.
8. 19 재야 5당대표 간담회, 대통령 단일후보 옹립에 합의했다고 발표.
8. 30 박정희 예편, 共和黨입당(전역사:다시는 이땅에 나와 같은 불행한 軍人이 생기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8.31 박정희,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당총재와 대통령후보 지명수락.
9. 3 自民黨 창당대회(송요찬, 김재춘 등 가담, 대표최고위원에 김준연).
9. 7 自由黨 창당(舊자유당 계승을 표방, 당수 장택상).
10. 15 제5대 대통령선거 실시(투표율 84.99\%, 당선자 박정희 469만 2,644표, 차점 윤보선과의 차이 15만여 표).
11. 26 제6대 국회의원 총선거 시행(투표율 69.8%, 공화 110석, 민정 41석,민주 13석, 자민 9석, 국민의당 2석).
12. 2 共和黨 의장에 김종필 지명.
12. 12 제3공화국 초대내각 구성(국무총리 최두선, 부총리 김유택).
12. 17 제3공화국 탄생(박정희, 대통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의장 이효상,부의장 장형순, 나용균).
1964년 1. 13 대법원장에 조진만 선출.
3. 9 全 야당 및 각계대표 2백여 명 對日屈辱外交反對 汎國民鬪委결성하고 대정부 경고문 채택. 3.15 전국유세 시작(부산에서 장준하 연설).
3. 12 제6회 한일회담 본회의 개막(한국수석 배의환, 일본수석 杉道助). 한일본회담 2년 만에 개최.
3. 24 서울대, 고대, 연대생 약 5천여 명 대일굴욕외교 반대 데모, 전국에 파급(3.27 16개 도시로 확대), 긴급구석 34명.
4. 1 국회, 김종필-오히라(大平)메모 공개로 말썽. 3粉暴利 조사 전모 판명(총판매고 249억 181만 원, 소득액 25억 4,463만 원, 세금부과 8억 7,115만 원).
5. 9 최두선 내각 총사직, 총리에 정일권 임명.
5. 20 서울시내 9개 대학생 2천여 명, 서울문리대 교정에서 한일굴욕외교 반대시위 「民族的 民主主義 장례식 및 성토대회」개최(경찰과 학생 충돌로 쌍방 65명 부상, 학생과 시민 182명 연행).
6. 3 학생 1만여 명 시위. 파출소 파괴 등 서울시내 소요, 하오 8시 서울시 일원에 비상계엄 선포, 계엄사령관 민기식 육참총장(6.3사태, 집회시위 금지, 언론ㆍ출판 사전검열, 각급학교에 무기휴교령, 통금연장, 영장없이 압수수색체포구속조치, 계엄군법회의 설치). 각급학교에 휴교령(8.17 전국대학 개교).
6. 5 김종필, 공화당의장 사퇴. 6.18 김종필 두번째 外遊.
7. 18 국회, 계엄해제요구결의안 의결(재석 142, 가 139, 부 0, 기권 3표).
7. 29 비상계엄 해제.
9. 11 국회 국정감사권 부활(만 4년 만에).
10. 28 서울형사지법, 6ㆍ3데모 주동자 선고공판(김중태, 현승일, 김도현 등에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 선고).
11. 26 民政ㆍ自民 양당통합 선언.
1965년 1. 5 정부, 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안 수립.
1. 18 제7차 한일 본회담 개막.
2. 17 椎名悅三郞 日本외상 내한(「불행한 과거 깊이 반성한다」고 성명. 조선호텔 앞에서 일부 야당의원과 학생 시위).
2. 20 한일 기본조약 假調印.
3. 20 서울운동장에서 대일굴욕외교 성토대회 이후 전국에서 성토대회 계속.
3. 31 목포, 광주, 여수에서 열린 한일회담 반대유세 연사 유옥우씨 당국에 연행됨.
4. 1 대학생들, 平和線사수투쟁위원회 결성(서울), 13일 굴욕외교반대 데모, 4천여 명 곳곳서 경찰과 충돌, 15일 부상입은 대학생 김중배의 사망으로 정치문제화됨.
4. 3 한일관계 3대현안 합의 요강 假調印(請求權. 어업. 법적지위에 일단락).
4. 13 서울시내 대학생 4천여 명, 굴욕외교 반대시위, 高大生 플래카드 제2의 乙巳보호조약 즉시 철회하라」, 延大生 플래카드 「데모가 불법이냐 暴政이 불법이다」.
4. 17 효창공원에서 「鬪委」주최 굴욕외교반대 시민궐기대회(효창공원),시위군중 파출소 점거.
4. 19 國防部, 衙戍令발동하고 데모 저지에 병력 동원.
5. 3 民衆黨 창당(民主ㆍ民政 양당 합동).
5. 16 박정희 대통령 訪美(5.27).
6. 21 전국 13개 대학과 서울 58개 고등학교에 방학 및 휴학조치.
6. 22 한일협정 정식조인(이동원 외무, 椎名悅三郞 외상, 東京). 8.14 야당 불참 속에 한일협정 比準동의서 국회 통과.
8. 13 야당불참 속에 한일협정 비준안, 전투사단(맹호부대) 派越案 국회통과.
8. 25 武裝軍人, 高大난입(26일 연대에도), 9.4 고대와 연대에 무기휴업령 내리고 학사감사 시작.
8. 26 서울지구에 계엄령 발동. 6사단 병력 서울진주(사령관 최우근). 9.25 위수령 한달 만에 해제.
10. 5 左藤일본수상, 「한일협정은 南韓에 국한, 平和線은 사실상 소멸, 獨島는 앞으로 해결」이라는 공식태도 표명.
1966년 2. 15 民衆黨 강경파 新韓黨 발족(수석대표위원 윤보선, 대표위원 김도연ㆍ정일형 선출) 3.30 新韓黨 창당대회(총재 및 대통령후보 윤보선 추대).
5. 6 民社黨(창당준비 대표 서민호), 발기취지문 문제화(남북서신교환, 체육인ㆍ언론인 교환 주장에 반공법 위반혐의). 6.3 서민호 民社黨 창당준비위 대표 反共法위반으로 구속(집권하면 김일성과 면담할 용의있다. 한일협정 폐기하고 駐越국군 철수하겠다). 9.3 保釋출감.
7. 9 民衆黨, 재야세력과의 합류선언(7.21 당수에 박순천 선촐). 한미행정협정 14년 만에 서울에서 정식조인(이동원 외무, 러스크 美국무장관, 대전협정 마이어협정 폐기). 10.14 국회비준, 67.2.9부터 발효.
7. 24 김종필 공화당의장, 정치적 안정과 경제부흥 이루자면 장기 집권해야 한다고 주장.
9. 22 김두한(6대의원) 국회 본회의장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오물 살포(9.24 의원직 사퇴).
10. 26 市警, 장준하를 대통령 명예회손 혐의로 구속.
10. 31 존슨 美대통령 방한(11.1 박정희ㆍ존슨 공식회담).
12. 2 선거법 개정안 국회 통과.
1967년 1. 24 윤보선 新韓黨총재 유진오, 民衆黨 대통령후보와 단독회담. 1.25 제2차회담에서 민중, 신한 합당하고 黨名을 新民黨으로 결정 합의.
1. 26 야당통합 위한 제1차 4자회담(유진오ㆍ윤보선ㆍ백낙준ㆍ이범석).
2. 7 新民黨 정식발족, 대통령후보 윤보선, 당수 유진오 선출.
5. 3 제6대 대통령선거 실시(튜표율 87%, 박정희(공화당후보) 당선.
5. 7 장준하, 오재영, 선거법 위반으로 구속.
6. 8 제7대 국회의원선거 실시(투표율 70%). 전국적으로 공개대리투포 등 부정선거 자행(공화 130, 신민 44, 대중 1석: 전국구 포함) 신민당 護憲線 확보 실패.
6. 14 신민당 운영위원회의, 議員등록 거부하고 總選無效化鬪委 결성. 6.17 유진오 신민당수, 6.8총선을 선거의 쿠데타로 규정하고 재선 촉구.
6. 15 전국 28개 대학, 57개 고등학교에 휴교령.
7. 1 박정희 6대 대통령 취임식(신민당에서는 당사 옥상에서 민권선언대회 개최).
7. 10 제7대 국회 개원(공화당의원만으로), 의장 이효상, 부의장 장형순.
8. 9 제1차 한일각료회의 개최(8.11).
8. 14 신민당, 6.8부정선거백서 발표(사전음모 등 7개 항 지적).
8. 23 재일교포 법적지위협정 시행에 관한 양해사항에 저명(영주권 신청 절차 간소화).
1968년 4. 17 박정희 대통령 訪美(4.20).
5. 26 제1차 한미 국방장관 연례회의 개최.
5. 30 김종필 공화당의장, 정례 당무회의에서 공화당 탈당하고 모든 공직 사퇴선언.
8. 24 중앙정보부, 統革黨 지하간첩단 사건(서울시위원회)의 전모발표.
9. 3 제1차 한일과학기술장관 회의 개최(서울).
10. 21 제5대 대법원장에 민복기 임명.
1969년 1. 8 共和黨, 三選改憲 공식검토 발표.
1. 9 문교부, 7개시의 남자고등학생ㆍ대학생에 군사훈련 실시키로 결정.
1. 10 박정희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서 「임기중 개헌의사 없으나 필요하다면 연말에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언명.
4. 4 일본의 對韓대여 쌀 25%가 벌레 먹어 물의.
5. 5 新民黨과 재야인사, YMCA강당에서 三選改憲反對 汎국민투쟁 준비위원회 결성(위원장 김재준 목사).
6. 18 정일권 총리, 개헌논의는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국회답변서 언명.
6. 27 고대생 5백여 명 개헌반대 시위, 처음으로 가두진출(경찰 최루탄 발사로 학생 120명 부상, ~6.28).
7. 3 三選改憲반대 데모 전국에 파급.
8. 7 윤치영 외 121명 의원, 대통령 3期 連任 허용을 골자로 하는 三選改憲案 국회 제출.
8. 20 박정희 대통령 訪美(25).
8. 28 국민투표법안, 국회 내무위서 與黨단독으로 수정 통과, 30일 野黨 출석 안 하는 틈을 타서 국회 法社委 기습 통과.
9. 14 共和黨 삼선개헌안과 국민투표법안을 국회 제3별관에서 변칙통과(찬성의원 공화당 107명, 政友會 11명, 무소속 4명).
10. 17 三選改憲案 국민투표에서 가결(투표율 77.1%, 찬성 755만 666표, 반대 363만 6,369표).
1970년 1. 4 농림부, 농촌근대화 10개년계획 확정발표.
1. 9 박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자주역량 함양, 군수사업 육성, 통일문제 주도권 확보 등 강조.
1. 26 신민당 임시전당대회, 유진산을 당수로 선출.
3. 17 서울 마포구 합정동 강변로에서 고위층인사들을 상대하던 요정 호스티스 출신 정인숙 피살사건 발생.
5. 26 한미, 미국의 마지막 한국지원 원조(무상 1천만 불 규모)협정 조인.
7. 7 경부고속도로 개통.
7. 16 국회, 주한미군감축계획 철회와 한국안보강화를 촉구하는 대미 메시지 채택.
8. 27 미국방성, 주한미군 1만 명을 철수했으며 5만 3천 병력 중 1만 명을 더 철수하면 2만 감축 목표가 달성된다고 발표.
9. 12 미상원 외교위 사이밍턴 소위원회, 북한의 도발 가능성 없고 오히려 한국이 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국군작전권을 계속 통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미국의 대한안보조약 및 공약에 관한 청문록 공표.
9. 29 김지하 시인의 담시「 五賊」과 관련하여 인쇄시설마비라는 명목으로 월간지 『思想界』등록말소. 신민당 전당대회서 대통령 후보에 김대중을 지명.
10. 31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11. 13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 재단사 전태일, 근로조건의 개선을 요구하며 분신자살.
11. 27 전태일사건이 일어난 청계피복상가를 비롯 평화ㆍ동일ㆍ통일 상가 종업원 5백여 명, 연합노조 청계피복노동조합을 결성.
12. 22 美상하의원, 580만 달러의 삭감안을 폐기하고 1억 5천만 달러 대한특별군원을 확정.
1971년 2. 6 한미 정부, 공동성명을 통해 국군현대화 장기지원을 골자로 한 새 방위공약에 합의.
2. 7 정부, 판문점 주변만 미군이 담당하고 155마일 전방방위 국군이 전담키로 했다고 밝힘.
2. 9 정부,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3. 24 주한미군사, 미 7사단 주내철수 발표(진주 26년 110일 만에).
3. 30 대통령 후보등록 마감, 모두 7명 출마(共和黨 박정희, 新民黨 김대중, 國民黨 박기출, 民衆黨 성보경, 正義黨 진복기, 統一社會黨 김철, 自民黨 이종윤).
4. 1 각군의 미 군사고문단을 주한미국 합동군사지원단으로 통합발족.
4. 27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투표율 79.9%).
5. 1 중앙선관위, 제7대 대통령에 共和黨 박정희 후보의 당선공고(김대중 후보 539만 5,900표 획득).
5. 25 제8대 국회의원총선거 실시, 개표 결과 共和黨 113(지역구 86), 新民黨 89(지역구 65), 國民黨 1, 民衆黨 1명 당선.
6. 4 박 대통령, 개각단행 8부장관 경질, 국무총리에 김종필 임명.
6. 10 박 대통령, 75년 불출마의사 재천명.
7. 1 애그뉴 미부통령, 박 대통령과 회담서 1억 달러 장비 제공 대가로 주월한국군 철수 연기 요청.
9. 20 가족찾기 남북적십자사 첫 예비회담 개최, 상설회담연락사무소 설치, 직통 왕복 전화가설 등 5개 항에 합의.
10. 1 정부, 전국에서 장발족 일제 단속.
10. 15 정부, 서울시 일원에 위수령 선포. 1,889명의 학생 연행. 10대학 휴업령, 서클 74개 해체, 간행물 13개 폐간.
10. 19 각계인사 64명, 위수령 철폐와 학생석방, 부정부패 척결을 촉구하는 긴급선언 발표.
11. 9 위수령 해체, 대학에 진주했던 군부대들 원대복귀.
11. 12 중앙정보부, 내란음모혐의로 서울대 전 학생간부 4명 구속.
12. 1 영동고속도로 1차 공사구간인 서울-원주간 104Km 개통.
12. 6 박 대통령, 국가비상사태 선언. 모든 국내체제를 전시체제화하는 6개 항목의 비상사태 목표 밝힘.
12. 21 共和黨, 대통령에 비상대권을 부여하는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국회에 제출. 신민당, 반대 천명.
12. 27 공화당 무소속의원, 국가보위법안 전격 통과.
1972년 1. 13 닉슨 미대통령, 5월 1일까지 주월미군 7만 추가 철수 발표.
5. 2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극비리에 평양 방문(29일에는 북한 박성철 부수상 서울 방문).
5. 31 서울지검공안부, 정부비방 혐의로 시인 김지하를 반공법위반혐의로 입건.
6. 28 한미안보외의, 한국이 북한의 침략을 받을 때 상호방위조약에 의거 미국이 지원 제공한다는 것을 비롯한 11개 항 공동 성명 발표.
7. 4 조국평화 자주통일원칙 등 7개 항목을 골자로 하는 남북공동성명 발표(7ㆍ4남북공동성명).
7. 5 박 대통령, 일본과의 기술협력관계의 증진을 위해 고교에서 일본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할 수 있게 하라고 지시. 문공부, 北傀를 北韓으로 호칭하고 김일성에 대한 중상비방을 삼가토록 각 부처 공보관에 지시.
7. 7 박 대통령, 반공교육 계속 강화토록 국무회의서 지시.
7. 11 김종필 총리, 국회 답변서 대북한 정책 불변, 연방제 통일 반대 등 언명.
8. 30 평양에서 남북적십자 제1차 본회담 개최, 회담 진행 원칙 합의문서 환.
9. 14 남북적십자대표 합의문서 전격교환, 3차 본회담을 10월 24일 평양서 열기로 결정.
10. 24 남북적십자 제3차 본회담, 평양 대동강 회관서 개막.
10. 27 비상국무회의, 대통령의 삼권통제임기 6년 間選 중임제한 철폐, 통일주체국민회의 설치, 국회의원 3분의 1의 대통령 지명등을 내용으로 하는 헌법개정안 의결 공고.
11. 21 유신헌법 국민투표로 의결.
11. 22 남북적십자, 서울에서 제4차회담 개막.
12. 15 통일주체국민회의 초대 대의원 선거 실시.
12. 23 통일주체국민회의, 박정희를 제8대 대통령으로 선출(27일 취임식).
1973 1. 5 김종필 총리, 닉슨 미대통령과 회담(워싱턴).
1. 11 김종필 총리, 田中 일본수상과 회담(동경).
2. 27 제9대 국회의원선거실시, 共和黨 73, 新民黨 52, 民主統一黨 2, 무소속 19명 당선. 선거후유증 심각.
3. 10 대통령추천의원으로 維新政友會 창립(회장 백두진).
3. 14 평양서 제2차 남북조절위원회 개최, 15일 공동성명없이 폐막.
3. 21 평양에서 남북적십자 제5차본회담 개최.
4. 28 육군보통군법회의, 전 수도경비사령관 윤필용 소장 등 장교 7명에 최고 15년에서 1년까지 선고.
5. 9 서울에서 남북적십자 제6차본회담 개최, 공동발표 없이 폐막.
7. 3 포항종합제철 준공.
7. 11 평양에서 남북적십자 제7차본회담 개최.
8. 8 김대중 전新民黨 대통령 후보, 일본 동경서 괴한 5명에 피납.
8. 13 김대중, 자칭 '구국동맹행동대원'에 의해 남치돼 서울 동교동 자택으로 귀환, 기자회견을 갖고 피남 5일간 설명.
8. 18 일본『요미우리신문』, '한국정부기관이 김대중사건에 관련됐다는 사실을 한국정부 소식통이 처음으로 인정했다'고 보도.
8. 24 정부, 김대중 납치사건 관련보도기사 취소 요구에 불응한 이유로 일본 『요미우리신문』서울지국 폐쇄.
10. 26 김대중, 「현재와 같은 여건 아래에서는 정치활동을 하지 않겠으며 한일간의 우호에 금이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성명 발표.
11. 2 김종필 총리 방일, 田中 일본수상과 회담하고 김대중사건에 유감표명.
12. 13 윤보선ㆍ김수환 등 재야인사 11명, 시국간담회를 열고 민주주의체제 확립과 총선거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보장 등 결의.
12. 19 김종필 총리, 경제단체초청 간담회서 유신체제에 대한 도전불용 언명.
12. 29 박 대통령, 개헌서명운동 즉각 중지 담화문 발표.
1974년 1. 8 박 대통령,헌법을 부정, 반대비방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지하는 대통령 긴급조치 제1호와 비상군법회의 설치를 규정하는 제2호 선포.
1. 14 박대통령, 국민생활안정을 위한 긴급조치 제3호 선포.
1. 24 田中 일본수상, 중의원 본회의서 한일합방시대에 김재배법과 의무교육제 등에서 일본이 공헌했다는 논지의 망 언.
6. 26 한미원자력 협정 발표.
7. 13 민청학련 사건 선고공판, 관련피고 32명 중 이철ㆍ유인태ㆍ여정남ㆍ김병곤ㆍ나병식ㆍ김영일(김지하)ㆍ이현배 7명에 사형 선고.
8. 15 박 대통령 저격사건 발생. 8ㆍ15경축 기념식장서 재일교포 문세관이 저격. 육영수 여사 사망.
8. 23 대통령긴급조치 1호 및 4호 해제.
10. 8 박 대통령, 언론계대표 만나 '유신체제에 대한 도전 불용'과 '언론자유는 국가여건 허용 범위내에서 보장' 등 언명.
11. 2 문교부, 박 대통령 퇴진 요구 데모한 성대생들을 제적하도록 지시.
11. 22 포드 미대통령 방한.
1975년 1. 1 대통령 긴급조치 3호 해제.
2. 5 서울시경, 정치색 있는 종교집회 금지조치.
2. 12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투표율 79.8% 찬성률 73.11% 15일 가결공포).
3. 19 국회, 국가모독죄를 신설한 형법개정안 등 25개 의안을 날치기 통과.
4. 8 박 대통령, 고대생의 반유신 데모를 이유로 긴급조치 제7호 선포. 고려대 휴교조치.
4. 29 박 대통령, 남베트남의 공산화의 관련 총력안보 강조하는 '시국에 관한 특별담화문' 발표.
5. 13 박 대통령, '국가안전과 공공질서의 수호를 위한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 발표. 유신헌법의 부정, 반대, 왜곡 비방, 개정 및 폐기를 주장하거나 청원 선동 또는 이를 보도하는 행위일체 금지.
7. 6 슐레진저 미국방장관, 유사시 한반도에서 미국의 핵무기 사용을 언명.
8. 7 장준하, 등산중 의문의 죽음.
10. 21 김윤식(전 국회의원), 계훈제(『씨 의 소리』편집위원), 유신의 부당성, 인권탄압 비난 발언으로 긴급조치 위반혐의로 구속.
1976년 6. 18 경제기획원, 제4차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9. 21 이철승 신민당 대표 '안보 고려해서 자유언론에 한계가 있어야 하며 현체제는 부인 못 한다'고 언명.
10. 24 박동선사건 미국서 문제화. 청와대 대변인, 박동선은 한국정부와 관련이 없다고 성명.
10. 27 『워싱턴포스트』'미국정보기관이 전자도총 비밀녹음 등을 통해 청와대가 박동선 등과 대미 의회 활동에 관한 회의를 했다는 첩보를 수집했다'고 보도.
12. 9 김성진 문공부 장관, 도청사건과 관련 미정부 비난 성명.
12. 28 정부, 한미 기본유대 불변 확인 및 미언론의 신중을 촉구하는 성명 발표.
1977년 1. 12 박 대통령, 연두회견에서 '남북한 불가침조약 체결되면 주한 미군철수 반대 않겠다'고 언명.
1. 28 박 대통령, 핵전투기를 제외한 모든 무기를 국산화하고 있다고 언명.
3. 9 카터 미대통령, 주한미지상군을 4~5년에 걸쳐 철수한다 언명.
3. 23 윤보선ㆍ정구영ㆍ지학순 등 10인, 「民主救國憲章」발표. 유신 헌법의 철폐와 고문사찰폭압정보정치의 종식 요구.
5. 26 카터 미대통령, 한국 被侵 때 핵사용을 언명.
6. 20 미국 『뉴욕 타임즈』, 미 CIA가 75년부터 고성능 전파로 청와대를 도청했다고 보도.
6. 22 김형욱, 미하원 국제관계위서 박동선 로비활동과 자금에 대해 증언.
7. 25 제10차 한미안보회의 서울서 개막. 미군 철수 및 한국방위력 증강문제 논의.
12. 13 정부여당, 해외에 있는 반국가행위자의 국내재산을 몰수할 수 있는 '반국가행위자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안' 발표.
12. 25 데리안 미국무성 인권담당차관보, '미국은 한국에 대해 안보지원과 인권추구정책을 병행하고 있다'고 언명.
1978년 1. 18 박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서 대통령출마 시사.
1. 22 오닐 미하원의장, 박동선이 미의회 증언 협력하지 않으면 대한 원조 승인 힘들다고 언명.
4. 3 박동선, 85만 달러를 32명의 미전직의원들에게 제공했다고 증언. 포터 전 주한미대사. '67년 한국에 부임하기 에 앞서 청와대 도청이 중지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혀 한미간 도청논란 재연.
5. 18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대의원 선거(투표율 78.95%).
7. 6 통일주체국민회의 제9대 대통령에 박정희 대통령 선출(대의원 2,578명 가운데 찬 2,577, 무표 1표).
11. 7 한미 연합군사(CFC)창설.
11. 17 일본, '한일 양국은 독도의 영유권 문제 분쟁 피하기로 합의하고 日어선 조업 묵인키로 합의했다'고 발표.
12. 12 10대 총선 실시.
12. 13 신민당, 총선 개표결과 득표율서 공화당보다 1.1% 앞질러.
12. 27 제9대 대통령에 박정희 대통령 취임.
1979년 3. 1 「팀스피리트 79」작전 시작(17일).
5. 30 신민당, 새 총재에 김영삼 선출.
6. 10 김영삼 신민당총재, 구속된 모든 인사의 석방 위해 과감한 투쟁 선언하는 한편 인권문제를 다루는 특별기구 설치 약속.
6. 29 카터 미대통령 내한.
7. 23 김영삼 신민당총재, 국회본회의 대표질문서 '평화적 정권교체길 트라'고 요구.
8. 9 YH무역여성노동자 170여 명, 마포 신민당사에서 농성시작.
8. 11 경찰, YH무역 농성여성노동자 강제해산. 김경숙 양이 숨지고 취재기자 15명과 신민당국회의원들이 경찰의 무차별 폭행으로 중상(YH사건).
8. 14 경찰, YH무역노조지부장 최순영ㆍ이순주 등의 신병을 확보하고 배후조종혐의로 이문영ㆍ문동환ㆍ고은 등 구속.
9. 10 김영삼 신민당 총재, 기자회견서 박 정권 타도를 선언.
9. 21 정운갑, 중앙선관위에 신민당 총재대행 등록신청서 제출.
9. 25 新民黨 당원대회, 김영삼 총재 지지선언.
10. 4 국회, 김영삼 신민당 총재 제명 변칙처리.
10. 7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 파리에서 의문의 실종.
10. 13 新民黨 의원 66명 전원과 統一黨 의원 3명 전원, 국회의원직 사퇴서 제출.
10. 18 정부, 0시를 기해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 26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격으로 박정희 대통령 사망.
10. 27 최규하 총리, 대통령권한대행 취임, 「국가비상시국에 관한 특별담화」발표, 전국에 비상계엄, 계엄사령관 정승화 육군총장.
11. 3 밴스 미국무장관, 최 대통령대행과 회담하고 '한국군부는 민간정부를 지지한다'고 언명.
11. 6 계엄사, 박 대통령 시해사건 전보 발표.
11. 10 최 대통령대행, 현행유신헙법에 따라 10대 대통령을 선출하고 새 대통령이 임기전 빠른 시일내에 헌법을 개 정한다는 특별담화문 발표.
11. 12 공화당, 총재에 김종필 추대.
11. 26 계엄사, 대통령의 統代選出 반대를 요구한 YMCA집회 관련자 96명을 포고령 위반으로 검거 조사중이라고 발 표.
12. 12 전두환 보안사령관, 정승화 계엄사령관 연행. 총격사건 발생(12. 12사태).
12. 20 김재규ㆍ김계원 등 7명에 사형선고.
12. 21 최규하, 10대 대통령에 취임 선출.
1980년 2. 22 정부, 모스크바올림픽 불참 결정.
2. 25 김대중ㆍ김영삼ㆍ김종필 3김 인촌기념관서 회동. 개헌복권등 의견교환.
3. 1 「팀스트리트 80」한미연합작전 개시.
3. 6 김영삼 신민당총재, 김대중과 회담하고 입당, 대통령후보문제 논의.
4. 14 전두환 보안사령관, 중앙정보부장서리 취임, 정보요직 겸임.
5. 1 계엄사령부 전군지회관회의, 사북사태ㆍ학원사태 논의 후 '혼란사태를 막기 위해 국가안보적 차원에서 단호한 조처를 취할 것'을 결의
5. 15 서울시내 30개 대학 10만여 명, 서울역 광장에 모여 계엄해제 요구 야간 시위.
5. 16 전국 총학생회장단. 가두 교내시위 일단 중단키로 결의.
5. 17 계엄사, 김종필ㆍ이후락 등을 부정축재혐의로, 김대중ㆍ문익환 등을 소요조종혐의로 연행. 정부, 비상계엄 전국 확대, 계엄포고 10호 발표.
5. 18 전남대생의 가두시위를 시작으로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시민들의 대규모 시위 발생, 인접 시군으로 확대 (광주민주화운동 시작).
5. 21 광주시위군중, 시내 전공공건물과 시내 일원 완전장악.
5. 22 계엄사, 김대중 씨가 학생시위를 배후조종했따는 중간수사결과를 발표.
5. 23 위컴 한미연합군사령관, 연합사 소속 병력 광주시위 진압동원에 동의.
5. 27 계엄사,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을 위해 계엄군진입시켜 광주시 장악. 이 과정에서 민간인 17명, 군인 2명이 사망하고 295명을 보호중이라고 발표.
5. 31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기구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신설.상임위원장 전두환 정보부장.
6. 17 계엄사, 부정축재 국기문란 시위주모배후조종 등 협의로 정치인, 교수, 언론인, 학생 등 329명 지명수배.
6. 18 계엄사, 김종필, 이후락, 박종규 등 9명의 권력형 부정축재자 수사결과 발표, 부정축재액 853억 1,154만원.
7. 4 계엄사, 김대중 등 37명에 대한 내란음모수사전모 발표.
7. 30 국보위, '교육정상화 및 과열과외 해소방안' 발표 대입본고사 폐지, 졸업정원제 실시, 과외금지 조치. 문교 부, 교육공무원의 숙정을 매듭. 교수 86명 등 611명 해직. 전국 언론기관에서 숙정과 관련 715명 해직.
7. 31 문공부, 사회정화 작업을 이유로 『창작과 비평』,『씨 의 소리』,『뿌리깊은 나무』,『文學과 知性』등 정기간행물 172종 등록 취소 계엄사, '내란음모사건'관련자 김대중, 문익환, 예춘호, 이문영 등 24명을 계 엄보통군법회의에 기소.
8. 16 최규하 대통령 사임.
8. 17 미『워싱턴포스트』, 미국정부는 전두환 장군이 대통령에 추대되는 데에 반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도.
8. 27 전두환, 통일주체국민회의서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 1 전두환 제11대 대통령에 취임.
10. 22 제5공화국 헌법 확정. 국민투표서 투표율 95.5%, 찬성 91.6%로(27일 공포).
10. 27 국가보위입법회의 발족, 의장 이호.
11. 1 정부, 국무총리 직속기관으로 社會淨化委員會 설치.
11. 3 육군 계엄고등군법회의, 내란음모사건과 관련 김대중에 사형 선고.
11. 14 신문협, 방송협,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동아, 동양방송은 KBS로, 『新亞日報』는『京鄕新聞』으로, 서울 경제는 『韓國日報』로,지방지는 1도 1 사,『合同ㆍ東洋通信』은 통합, 중앙지의 지방주재 기자 철수.
12. 22 정부,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칭. 기능 일부조정.
12. 30 입법회의, 반공법 폐지하고 그 내용을 국가보안법에 흡수.
1981년 1. 15 民主正義黨창당, 전두환 대통령을 초대 총재로 선출하고 제 12대 대통령 후보로 지명.
1. 17 民主韓國黨 창당, 유치송 창당준비위원장을 총재 및 제12대 대통령 후보로 추대.
1. 23 대법원,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관련 피고인 12명의 상고 기각, 김대중 사형 등 형량 확정. 정부, 김대중의 형량을 무기로 감형.
1. 24 정부, 456일 만에 비상계엄 전면 해제.
1. 28 全 대통령후보, 레이건 미국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 공식방문 등정.
2. 1 81년 팀스피리트 한미합동 군사훈련 시작.
2. 3 全 대통령, 미국서 레이건 미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주한미군 철수 백지화 등 14개 항의 공동성명발표.
2. 7 경제계, 對日 민간교섭창구 일원화위해 韓日經濟協議會 발족.
2. 25 전두환 후보, 제12대 대통령에 당선.
3. 3 전두환, 제12대 대통령 취임. 제5공화국 출범.
3. 25 제 11대 국회의원 선거실시, 투표율 78.4%. 민정 90, 민한 57, 국민당 18, 무소속 18석 차지. 민정당 전국구포함 151석 확보.
3. 31 국가보위입법회의 154일간의 활동 종결.
4. 11 제11대 국회 개원, 국회의장 정래혁.
6. 7 자민당 간사장, 獨島가 일본 고유영토라고 주장하며 일본어선의 안전조업 보장을 요청.
6. 10 한일의원연맹(회장 이재형) 정식 발족.
8. 21 경제기획원, 제5차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확정 발표.
8. 24 건설부, 제2차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발표.
12. 15 全 대통령, 국가 司正활동 5대지침 시달.
1982년 1. 22 서울형사지법, '학림사건'의 이태복에게 무기징역 선고.
2. 13 「팀스피리트 82」한미 연합군사훈련 개시.
3. 18 고신대생 문부식 등, 반미 유인물 뿌리고 부산미문화원에 방화(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4. 3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의 배후인물로 지목된 김현장 검거됨.
4. 8 경찰, 천주교 원주교구교육원장 최기식 신부를 김현장 은닉혐의로 구속.
5. 7 대검, 大和산업회장 이철희 부부를 외국환관리법위반혐의로 구속.
5. 18 장영자 사건과 관련, 형부이며 대통령 처삼촌인 이규광 구속.
5. 20 검찰, 이철희ㆍ장영자 거액어음사기사건 전모발표.
7. 27 정부, 일본역사교과서 왜곡기술 관련 진상규명을 일본정부에 공식요구.
9. 28 워커 주한미대사. 한미수교 1백주년 기념강연서 한국은 민족중심적 행동양식을 회피하라고 언급.
12. 31 세네월드 UN군사령관, 한미연합사의 육해공군 현대화계획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언명.
1983년 1. 11 中會根康弘 일총리 방한. 한일 정상회담 갖고 40억 달러를 7년에 걸쳐 제공받기로 합의.
2. 1 제8차 팀스피리트 한미군사훈련 시작.
2. 4 中會根康弘 일수상, 대한해협에서 일본의 방위행위는 당연하며 유사시 해협 봉쇄작전 때 한국에 통고할 것이라 언명.
4. 15 제15차 한미안보협의회, 워싱턴서 한국에 대한 조기경보체계 강화등 15개 항의 공동성명 발표.
5. 2 미 칼럼니스트 잭 앤더슨, 미국이 이미 한국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했으며 휴전선지역에 핵지뢰를 부설했다고 발표.
8. 17 대검. 明星그룹 회장 김철호와 사채 변칙조달을 중개한 상업은행 대리 김동겸 구속(명성그룹사건).
9. 30 「민주화운동청년연맹」(민청련) 창립.
10. 9 버마 아웅산 묘소 폭발사건,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 사망.
11. 12 레이건 미대통령, 방한하여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15개 항의공동성명 발표.
1984년 2. 1 210만여 명의 병력이 참가한 가운데 84년 팀스피리트 한미합동군사 훈련 시작.
9. 6 全대통령, 일본 공식방문. 일본천황, 만찬서 과거의 한일관계에 유감표명.
1985년 1. 22당총재, 대통령직선제 개헌주장.
2. 12 제12대 국회의원총선거 실시, 新韓民主黨 제1야당으로 부상.
2. 21 국제그룹, 경영부실을 이유로 해체됨.
3. 6 정부, 정치규제 전면 해금조치, 김대중ㆍ김영삼ㆍ김종필 등 미해금자 14명.
4. 3 民韓黨 조윤형 총재, 신민당에 무조건 합당선언.
4. 23 全대통령 방미.
5. 13 12대 국회 개원.
5. 30 신민당, 소속의원 103명 전원의 이름으로 광주사태진상조사를 위한 국정조사결의안'을 국회에 제출.
5. 31 신민당, 소속의원 전원의 이름으로 '헌법개정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
7. 3 미국, 제4차 한미경제협의회에서 금융보험시장 개방을 강력히 요청.
8. 27 제9차 남북적십자 본회담(평양).
9. 20 남북 고향방문ㆍ예술공연단 각 151명 서울과 평양 교환방문.
12. 4 민주화추진협의회, 개헌추진운동의 일환으로 천만 명 서명운동을 벌이기로 결정.
1986년 2. 12 라 개헌할 수 있다고 언급.
5. 3 학생노동자 등 5천여 명, 신민당 개헌추진위 인천지부 결성대회에서 경찰과 충돌(5.3사태).
8. 4 신민당, 대통령직선제 개헌안을 당론으로 확정.
1987년 1. 14 서울대 박종철,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 조사받던 중 고문으로 사망(박종철군 고문치사사건).
4. 13 全대통령, 특별담화를 통해 '개헌논의유보' '현행헌법으로 정부이양' '대통령선거 연내실시 예정' 발표
(4ㆍ13호헌조치).
5. 1 신민당 탈당의원 66명 등, 김영삼을 총재로 하는 통일민주당 창당.
5. 27 민주당ㆍ신구교ㆍ재야단체 등 발기인 2, 917명,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 발족하고 4ㆍ13조치 철회및 직선제개헌 공동쟁취 선언.
6. 10 경찰, 민주당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주최의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 봉쇄. 전국 18개 도시에서 가두시위. 민정당 전당대회, 노태우 대표위원을 차기 대통령 후보로 지명.
6. 26 전국 27개 도시서 '평화대행진' 시위, 경찰 3, 467명 연행.
6. 29 노태우 민정당대표위원, 직선제개헌ㆍ김대중 사면복귀 등 8개 항의 시국수습을 위한 특별선언을 발표 (6.29선언).
8. 5 민정당, 노태우를 제2대 당총재로 선출.
8. 19 전국 95개 대 3천 5백여 명, 충남대에서 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全大協) 결성.
9. 29 김대중ㆍ김영삼 후보단일화 담판 결렬.
10. 10 김영삼 민주당총재, 대통령 출마 공식선언.
10. 12 대통령중심 직선제개헌안 국회의결.
10. 27 대통령중심 직선제의 새헌법안, 국민투표로 확정(찬성 93.1%)
10. 28 민주당 김대중 고문, 대통령 출마와 신당창당 식선언.
10. 30 新民主共和黨, 김종필을 총재 및 대통령후보로 추대.
11. 4 고르바초프 소련서기장, 「공산주의 운동은 새롭고 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소련은 더 이상 동맹국에 정책을 명령하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
11. 9 민주당, 김영삼 총재를 제13대 대통령후보로 추대.
11. 12 平和民主黨, 후보자지명대회를 열고 김대중 위원장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
12. 16 제13대 대통령선거 실시, 노태우 후보 당선.
2. 25 노태우, 제13대 대통령으로 취임. 제6공화국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