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타리(하늘수박, 쥐참외, 과루, 괄루)
식 물 명 : 하늘타리
학 명 : Trichosanthes kirilowii
과 명 : 박과
다 른 이 름 : 하눌타리,과루,하늘수박,천선지루,쥐참외
생 약 명 : 괄루
분 포 지 : 산야지 낮은 지대, 들판
파 종 시 기 : 3월
개 화 시 기 : 7~8월
수 확 기 : 10월
꽃 말 : 재롱동이
용도 : 식용, 공업용, 약용(뿌리, 열매)
약용 : 당뇨병 황달 중풍 타박상 해열 이뇨 유두염 기침 항균 항암
식물의 생태와 특징
● 산야의 저지대 초원 및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덩굴성 다년생초본으로 길이가 2~5m에
이른다. 뿌리는 고구마 같이 굵고 줄기는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에 붙어 뻗어 올라간다.
● 잎은 서로 어긋나기를 하며 손바닥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찢어진 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 꽃은 이가화(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 것)로서 7~8월에 피며 암꽃은 잎 가장자리에 1개
씩 달린다. 수꽃은 여러 개 짧은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 열매는 처음에는 초록색이었다가 익으면 오렌지색으로 변하며, 둥글고 지름이 7cm 정도
이며 종자는 다갈색을 띤다.
● 여름에 그늘을 만들거나 거실 앞 베란다를 시원하고 운치있게 장식하고자 할 때, 재배하
면 좋다. 가을이 되면 오렌지색의 열매가 더욱 가을을 풍성하게 만들 것이다.
약 용 법
1. 사용부위 - 뿌리, 열매, 씨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취와 조제 - 열매와 종자는 가을에 채취하고, 뿌리는 수시로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3. 성 분 - 뿌리에는 트리코산틴, 쿠쿠르비타신(쿠퀘비타신) B, 쿠쿠르비타신 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에는 사포닌, 유기산, 종자에는 아르기닌, 리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아르기닌 - 염기성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성장 호르몬의 분비촉진, 면역 기능 강화의 생리
작용이 있다. 성인에게는 비 킬수 아미노산이지만 유아에게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암모니아나 대량의 아미노산의 독작용에 대하여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쿠쿠르비타신 - 박과 식물 특유의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쓴 맛이 난다. 오이, 멜론, 수박,
참외 등의 설익은 부분에 포함되어 있다.
사포닌 - 라틴어의 sapo(비누)에서 유래되어, 물과 섞여 흔들면 지속성의 거품을 내는 천
연계면 활성 물질이다. 동양에서는 생약으로서 예로부터 제염, 진핵, 소염제로서 사
용되어 왔다.
트리텔페노이드계의 사포닌인 연명피는 환자목의 과육으로 일본 각지의 산림 속에
서 자생하고 생약보다 세안료로서 이용되어 왔다. 강한 대전방지력과 항염증작용이
있고 피부와 모발에 대한 자극완화성, 거품질과 모발의 윤활성 개량제로서 샴푸와
린스에 첨가되고 있다.
키라야사포닌은 칠레, 페루, 볼리비아 지역에 분포하는 통칭 비누나무라고 불리는
상록수의 껍질에서 얻어지는 사포닌이다. 다른 사포닌에 비해 대단히 뛰어난 계면
활성과 균질성이 있고, 남미와 유럽에서는 옛날부터 세정제와 발포제로 사용되어
왔다.
이 외에 사포닌에는 항산화작용이 있고, 흑피증, 간반, 재발성 피부염 등의 피부 이
상을 예방하고 건강한 피부를 지킬 수 있다.
4. 약 효 - 한방에서는 뿌리를 왕과근(王瓜根), 열매를 생약명으로 괄루(括樓) 혹은 토
과실(土瓜實), 종자를 토과인(土瓜인)이라 한다. 뿌리는 특히 당뇨병에 좋으며 통경
˙이뇨˙배농(排膿)에도 사용되며 과육은 민간에서 화상과 동상에 사용하고 종자는 거
담, 진해, 진통에 쓰이거나 소염제로 쓰인다. 뿌리의 녹말은 식용하거나 약용으로 쓴
다. 최근에는 항균 항암작용도 밝혀졌다.
통경(痛經) - 여성의 월경 기간 전후에 하복부와 허리에 생기는 통증
배농(排膿) - 곪은 곳을 째거나 따서 고름을 빼냄.
5. 용 법
● 뿌리를 하루에 40g씩 약 1,200ml의 물에 넣고 약한 불에서 서서히 달여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나누어 약 2~3주 정도 복용하면 좋다. 또는 분말로 만들어 한 번에 3~4
g씩 하루에 세 번 복용하여도 좋다. 뿌리에 들어 있는 많은 양의 사포닌은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과 갈증을 멈추는 작용이 있는데, 예로부터 당뇨병에 유용한 약이다.
● 하늘타리 뿌리와 까치콩을 각각 12g씩 약 1,200ml의 물에 달여 세 번에 나누어 먹어
도 좋다고 한다. 하늘타리 뿌리는 혈당량을 낮추고 까치콩은 갈증을 멈추는 작용이
있다.
재 배 법
깊이가 있는 큰 화분에 마사와 퇴비를 5:4로 혼합한 후 가을에 채취한 씨앗을 이른 봄에 뿌
리거나 가을에 덩이뿌리로 일부 옮겨 심는다. 물은 적당히 주어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게 하
고 반 그늘진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약 3주 간격으로 깻물이나 퇴비를 조금씩 뿌려주
고 싹이 약 30cm 정도 자라면 지주대를 세워 줄기가 감아 올라갈 수 있게 해 준다.
참조 : 질병을 치료하는 약용식물의 효능과 재배법(하), 화장품 생물신소재, 위키백과, 화
학용어사전, 식품과학기술대사전,
[출처] 당뇨와 항암작용에 좋은 하늘타리 작성자 : 세상건너가기
하늘타리 (하늘수박) 효능과 부작용에 알아보기.
하늘타리 먹는법 | SHARE 건강정보
하늘이 내린 이것!!대박 뿌리가 어마무시 굵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