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순종, 참여 – 성 베네딕트 축일 (7월 11일)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 베네딕트(480-540년)는 서방 교회 수도회의 아버지라 불린다. 당시 수도회 전통과 규칙을 집대성하여 6세기에 베네딕트 규칙서와 수도회를 만들었고, 이후 많은 수도회의 모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원래 축일은 별세한 날로 알려진 3월 21일이었으나, 사순절기에 겹쳐서 중요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우려 때문에, 1969년 이후부터 7월 11일로 옮겼다. 8세기 말 어느 전례력에서도 그의 생일과 별세일을 같이 기념하여 7월 11일을 축일로 지킨 적이 있다는 증거와 판단이었다.
‘복되다’는 이름 뜻을 지닌 베네딕트 성인은 로마 귀족 출신이었고 좋은 교육을 받았으나, 상류 계층이 주도하던 사회와 문화에 큰 의문을 품고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성인의 신앙과 신학은 ‘베네딕트 규칙서’에 가장 잘 드러난다. 후대 사람들은 이 규칙서와 수도회가 서구 유럽의 문화와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한다. 영국 교회 초기 역사를 쓴 성 베다(762-735년)의 기록과 이후 역사를 보면 성공회의 영성과 신학에 끼친 영향이 역력하다.
“베네딕트는 공동 생활의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었다. 욕심 없이 살며, 다른 사람이 거저주는 것에 만족하며, 기도로 일치하여 사는 삶이다. 주교직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교회의 삶이다”(성 베다). 그런 탓일까? 영국의 대다수 주교좌성당들은 베네딕트 수도회로 운영됐다. 공동체의 삶이 교구 조직의 중심이며, 그 핵심 생활은 성무일도와 성찬례라는 확신이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신학자 로완 윌리엄스 캔터베리 대주교(2012년 은퇴)는 베네딕트 영성 전통을 ‘시간의 균형, 순종, 참여’의 측면에서 요약한다.
첫째, 삶의 시간은 노동과 공부와 기도의 균형과 조화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시간은 무엇을 성취하는 데 대부분 사용되고, 그 피로를 풀려고 지나치게 노는 일로 채워지기 일쑤이다. 열심히 살기는 하지만 자신이 누구인지 잊고 사는 시간이 되고 만다. 그러니 잠시 멈추어 “기억을 되살리고 지성을 깊이 하고, 사랑이 성장하도록 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공부와 기도로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밖에 있는 남을 발견하고, 하느님을 즐기는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순종은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고집과 생각을 포기하는 훈련이다. 순종은 굴종과는 다르다. 경청하는 일이다. 지위고하, 나이, 신분을 넘어서 서로 경청하는 행동이 진정한 권위의 시작이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경쟁적인 싸움을 거절하면서도, 자신의 삶과 조직에 균형과 억제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받아들여야 권위가 생긴다. 서로 피어나도록 돕고, 거룩함을 위해 서로 격려할 때 참 공동체가 마련된다.
셋째, 참여는 사회와 조직의 삶에서 소임을 찾아 책임을 다하는 일이다. 자신의 소임을 누구에게 맡겨놓고 방관해서는 권위가 나오지 않는다. 이러면 계속 수동적인 삶을 강요받게 되고, 그 영혼은 상처를 입는다. 그 상처 난 영혼에서 난폭한 분노와 테러리즘이 나온다. 중앙집권적인 문화는 참여가 없는 문화이다. 관료정치는 비인간적인 정치이다. 이에 맞서는 힘과 내용을 갖추고 활발히 연구하고 논쟁하는 일은 그리스도인의 책임이요 참여이다.
윌리엄스 대주교는 베네딕트 영성 안에서 성서의 인간학을 이렇게 요약한다. “우리 인간은 서로 섬기고, 모든 이를 위해 각 사람에게 주어진 특별한 선물을 존중하고 격려하며, 이로써 관상적인 기쁨을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축일 본기도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사랑이신 성부에 관한 지혜를 우리에게 가르치셨으니,
우리에게 은총을 내리시어,
주님의 종 베네딕트의 가르침과 모본을 따라
주님을 섬기는 공동체 안에서 사랑과 기꺼운 의지로 걷게 하소서.
우리의 기도에 주님의 귀를 열어 들어주시고,
주님의 축복으로 우리 손이 펼치는 일을 번성케 하소서.
성부와 성자와 함께 영원히 사시며 다스리시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