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 장영희
초등학교 때 우리 집은 제기동에 있는 작은 한옥이었다. 골목 안에는 고만고만한 한옥 네 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었다. 그때만 해도 한 집 아이가 네댓은 되었으므로 그 골목에만 초등학교 아이들이 줄잡아 열 명이 넘었다. 학교가 파할 때쯤 되면 골목 안은 시끌벅적 아이들 놀이터가 되었다.
어머니는 내가 집에서 책만 읽는 것을 싫어하셨다. 그래서 방과 후 골목길에 아이들이 모일 때쯤이면 어머니는 대문 앞 계단에 작은 방석을 깔고 나를 거기에 앉히셨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구경이라도 하라는 뜻이었다.
딱히 놀이 기구가 없던 그때, 친구들은 대부분 술래잡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고무줄놀이 등을 하고 놀았지만, 나는 공기놀이 외에는 어떤 놀이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 하지만 골목 안 친구들은 나를 위해 무언가 역할을 만들어 주었다.
친구들이 고무줄놀이나 달리기를 하면 내게 심판을 시키거나 신발주머니와 책가방을 맡겼다. 그뿐인가? 술래잡기를 할 때에는 한곳에 앉아 있는 내가 답답할까 봐, 내게 어디에 숨을지를 말해 주고 숨는 친구도 있었다.
우리 집은 골목 안에서 중앙이 아니라 구석 쪽이었지만 내가 앉아 있는 계단 앞이 친구들의 놀이 무대였다. 놀이에 참여하지 못해도 나는 전혀 소외감이나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아니, 지금 생각하면 내가 소외감을 느낄까 봐 친구들이 배려를 해준 것이었다.
그 골목길에서 있었던 일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하루는 우리 반이 좀 일찍 끝나서 나는 혼자 집 앞에 앉아 있었다. 그런데 그때 마침 깨엿 장수 아저씨가 골목길을 지나고 있었다. 그 아저씨는 가위만 쩔렁이며 내 앞을 지나더니 다시 돌아와 내게 깨엿 두 개를 내밀었다. 순간 그 아저씨와 내 눈이 마주쳤다. 아저씨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주 잠깐 미소를 지어 보이며 말했다.
"괜찮아."
무엇이 괜찮다는 것인지는 몰랐다. 돈 없이 깨엿을 공짜로 받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아니면 목발을 짚고 살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내가 그날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다. 이 세상이 그런대로 살 만한 곳이라고, 좋은 사람들이 있고, 선의와 사랑이 있고, “괜찮아”라는 말처럼 용서와 너그러움이 있는 것이라고 믿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참으로 신기하게도 힘들어서 주저앉고 싶을 때마다 난 내 마음속의 작은 속삭임을 듣는다. 오래전 따뜻한 추억 속 골목길에서 듣는 말,
“괜찮아! "
아! 그래서 '괜찮아'는 이제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의 말이 되었다.
[장영희] 수필가, 번역가, 칼럼니스트, 영문학자.
* 올해의 문장상, 한국문학번역상 등 수상.
* 작품집 《그러나 사랑은 남는 것》《문학의 숲을 거닐다》《내 생애 단 한번》등.
소아마비 1급 장애에도 끊임없는 연구와 저술 활동으로 학계에서 업적을 인정받았습니다. 유방암, 척추에 암, 간암, 세 차례의 암 발병에도 희망을 버리지 않고 투병하며 꾸준히 집필 활동을 하다가 2009년 소천하셨어요.
그의 글은 군더더기 없이 간결합니다. 언제나 전하고자하는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걷기에 장애가 있었지만 늘 밝은 표정이 인상적이었어요. 글은 희망적이고 밝고 한량없이 따뜻하구요.
2년 여 기간, 코로나는 전방위에 걸쳐 우리의 생활을 위축시켰습니다. 터널의 끝은 어디쯤일까요? 봄을 기다리듯 빛이 환할, 이 질곡의 끝을 상상하며 희망을 가져봅니다. 이 글을 읽고 힘을 얻습니다. 곧 '괜찮아'지겠지요? 우리 모두 다시 한 번 힘을 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