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단촐한, 젓가락도 없이 이쑤시개 달랑 하나 꽂아먹는 충무김밥. 통영에 가면 꼭 먹어보라고 하는 충무김밥은 왜 충무김밥이라고 불릴까요? 한번 먹으면 그 맛을 잊을 수 없어서 다시금 찾아와서 먹게된다는 충무김밥의 맛의 비법은 뭘까요? 이런 저런 궁금증을 안고 찾아갔던 통영, 통영항에서 맛본 충무김밥은 정말 감탄이 절로 나왔는데요!
▲ 충무김밥 충무김밥은 충무에서 먹어야지, 왜 통영에서 먹냐고 물을 분이 혹시 있을까요? 사소한 질문일 수도 있는데요 통영의 한때 지명이 바로 충무였죠. 통영은 통제영의 줄임말이고 충무는 이순신 장군의 시호이니 이젠 알 수 있겠죠? ^^ 그나저나, 정말 단순해보이는, 특별할 것 없는 충무김밥이 어떻게 유명해 졌을까요? 이것 또한 수수께끼입니다. 너무나도 단순해보이는 충무김밥인데요, 아무리 먹어봐도 답은 쉽게 나오질 않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건 한번 먹고 뒤돌아서면 꼭 다시 먹고 싶어지는 여운을 남기는 음식이라는 점입니다. 통영에서 만난 충무김밥의 첫인상은 평범 그 자체였죠. 고슬고슬 하얀 밥에 김을 싼 김밥 한 무더기와 양념한 어묵, 굵게 썬 무김치, 매콤한 오징어무침. 그리고 숟가락, 젓가락 대신 이쑤시개가 꽂혀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할수가! 이게 충무김밥의 포인트죠. 바로 초 간단 식사라는겁니다. 충무김밥이 탄생하게 된 것도 거슬러 올라가보면 바로 이 간단함에 있다는 거죠. 뱃일 나가는 어부들은 바쁘기도 하지만, 뜨거운 여름날에 어부들에게 김밥을 파는 아낙네들 역시 고충이 대단했습니다. 김밥을 말아도 자꾸 쉬다보니 버리는 것이 너무 많아졌다는거죠. 그래서 한가지 고안해냅니다. 밥이 쉬지 않도록 밥과 반찬을 분리한건데요. 그 후, 이 반찬과 밥을 분리한 김밥은 여행객과 뱃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시작했고, 그 맛은 지금까지 이어져내려옵니다.
▲ 어묵, 오징어 무침
젓갈과 고추가루, 양념을 넣어 만든 무침, 상당히 매콤해보이는데요. 맛도 알싸합니다. 옛날에는 홍합이랑 주꾸미 김치를 주로 넣었다고 하는데요 요즘은 주꾸미는 중국산이 많아서 잘 안 쓰고 오징어를 많이 쓴다고 합니다. 충무김밥과 함께 호래기 무침도 인기라고 하는데, 호래기는 꼴뚜기와 흡사한데 통영에서는 오래전부터 먹어왔던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점심시간도 아니지만서도 가게는 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렸습니다. 이 가게의 특징이라면? 셀프라는 겁니다^^; 그리고 다들 젓가락 없이 이쑤시개에 김밥을 꽂아 먹는 게 보이죠? 빨리 먹고 빨리 나가기에 기다리는 것도 그렇게 지루하지 않더군요.
하얀밥을 김에 돌돌 말아서... 이러면 김밥이죠. 밥에 뭔가 특별한 걸 넣었나봅니다. 흰 밥에 김 한장인데도 불구하고 이것만 먹어도 입이 심심하지 않더라구요. 새콤한 무김치와 간이 잘 밴 오징어무침도 백미지만, 통영지역에서 자란 벼를 방아찧은 새하얀 쌀밥으로 지은 기름기 잘잘 흐르는 밥이 원래 그렇게 맛있나봅니다.
오징어가 듬뿍 들어가있구요. 저는 개인적으로 오징어를 너무 좋아해서 이 충무김밥에 반해버렸습니다. 통영 주민들도 이곳을 많이 추천해주더군요.
아삭아삭 무김치예요. 김밥에 한 입 베어물면 그 매콤함이란 이루말할 수가 없죠.
통영 어느 가게에서나 만나는 충무김밥은 까만 생김과 흰 쌀밥, 빨간 슥박김치 이렇게 만날 수 있습니다. 1인분에 4000원이며 손가락만한 김밥이 8개 나옵니다. 보기엔 양이 적은 것 아닌가 싶지만, 성인 남자가 먹기에도 모자람이 없습니다. 통영에서 충무김밥을 처음 먹어본 관광객들은 하나 같이 “생각했던 것과 다르다”고 말합니다. 여태까지 휴게소를 비롯한 타지에서 맛본 충무김밥과 김치 양념 맛이 달라서죠.
아무것도 넣지 않은 손가락 만한 김밥에, 멸치젓갈로 잘 삭힌 아삭아삭한 무김치와 먹음직스러운 오징어무침을 곁들이면 가히 으뜸인 충무김밥. 함께 나오는 시래깃국도 일품입니다.
통영의 대표 향토 음식인 충무김밥은 강구안 항남동 문화마당 분수대 부근과 여객선터미널 부근에 판매하는 곳이 많습니다. 항남동 뚱보할매김밥(055-645-2619)과 엄마손충무김밥(055-641-9144) 소문난 3대할매김밥(055-643-0336)이 유명하구요. 가격은 3,500~4,000원이며 포장도 됩니다. |
출처: 사고뭉치 꼬양 _ 원문보기 글쓴이: 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