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잘치는 방법
1. 매일 머리위에 배드민턴 공을 달아놓고(있다고 생각)
치는 연습을 500번이상 해야 함
2. 칠때 치기전 수비 준비 자세는 팔이 항상 겨드랑이 에서 떠야하고
배드민턴도 위로 세워야 한다는 것을 명심(왼손으론 배드민턴공을 가르킬것)
3. 칠때는 배드민턴채를 뒤로 놓듯이 떨어뜨리면서 회젼을 시켜(원을 그림) 타격을 할것
->최근에는 회전을 그리면 늦기때문에 회전없이 바로 타격을 가하는 추세이다.
4. 칠때는 팔을 쭉 펴야하고 팔뿐만아니라 자세도 같이 틀어서(몸이 돌아가야함) 타격을 해야함
5. 복식,단식 둘다(복식이 더중요) 내선에서 한방에 끝낸다는 생각을 버려라
->내가 공격할때는 기회가 왔더라도 70~80% 정도의 힘으로 스매싱을 네트에 걸리지 않게
날리는 것이 중요하고..
그렇게 함으로 반구의 높이를 낮추고 그때 파트너가 결정타로 마무리 하게 해야 함
(아니면.. 내가 치기 좋은 완벽한 찬스의 반구가 왔을때 결정타를 날림-> 이때는
계속 공격하던 한사람한테만 집중적으로 때려야 성공 효과가 높다)
6. 배드민턴의 실수를 안하려면..(일단 자기가 실수에서 점수를 잃는일은 없애야 좋은 선수가 됨)
-> 랠리를 길게 가지고 가라 게임을 할때 어떻게하든(수법?, 또는 잔기술?) 이기면 된다는 생각
보다는 흐름이 끊기지 않고 계속 치고 받아내고 놓고 넘기면서 주고 받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운동을 한다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즐겨야 된다.
[자리이동]
1. 복식 자리는 항상 오른쪽보다는 왼쪽이 약하니까 왼쪽으로 더붙여서 수비자세를 갖출것
나머지 한사람은 서브넣을때 뒤쪽에 위치하며
중요한것(^^)은 서브넣고 받는 사람의 몸의 움직임을 먼저 캐치해서 내몸을 움직일것!(방어방법)
2. 공은 네트를 중심으로 상대편에 있으면 우린 수비고
네트를 중심으로 우리편에 있으면 공격 형태로(일자형) 자세를 갖춤
3. 공이 상대편 지역에 떠있다면 빨리 자리를 수비형(양쪽으로벌림)으로 변경해야함
이렇게 자리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바꿔줘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기를..
[준비운동]
1. 배드민턴은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사용하기때문에 힘들고 아프다
우선 팔목운동은 꾸준히 해주어야 한고, 곤봉을 가지고 돌려주는 운동이 효과적이고 유연성에 좋다
팔목-허리-무릎-발목-어께-목 운동을 게임전에 꼭 풀어줘야 한다.
2. 배드민턴을 귀에 닿도록 하고 배드민턴채로 손목꺽기운동을 100번씩 3회이상 할것
그리고 아령으로 손목꺽기 운동을 계속 해줄것
3. 팔목은 점프하면서 동시에 팔목을 꺽어줘라
배드민턴채를 들고 점프할때 동시에 스매시를 해는 운동이다
20회씩*3회 반복하면 효과가 큼
4. 악력운동은 필수 조건
배드민턴을 스매싱할때 채를 잡는 악력힘을 필요하다
반드시 악력기를 꾸준히 해줘야 하고 악력기 힘을 준뒤 팔목 꺽기운동 동시에 하면 효과가 있다
5. 무엇이든지 천천히 그대신 정확히 하라
어떠한 자세든 빨리 해서 적당히 폼을 잡는것 보다는 한번을 해도 정확하게 하는것이 더 좋다
6. 팔목,어께,허리,복근,점프운동이 필수 조건
[발이동]
1. 스매싱 때릴때 발은 두발을 서로 바꿔주듯이 해야 하며 왼쪽다리를 들었다고 오른쪽다리있는부분으로 바꾸면서
스윙을 하는데 이때 중요한것은 허리가 돌아 가야 한다는 것이다
스윙은 권투의 스트레이트처럼 허리를 같이 틀어줘야 강력해진다 그리고 몸의 중심이 앞으로 있어 야한다
그래야 처음위치로 돌아올수가 있는것이다.
2. 그리고 배드민턴을 네트아래에서 상대방으로 올릴때는 채를 항상 앞으로 약 45도 방향으로 해서 앞에 놓고
먼저 배드민턴채를 공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채를 향하게 한후 처음스텝은 짧게 다음스텝은 크게 해서
공을 올리는게 하니라 상대편 뒤쪽으로 보내는 것으로 걷어 올려야 한다
->이때 주위할것은 맨처음 동작할때 팔꿈치가 옆구리에 붙어 있으면 안된다는 점과
먼저 자세 잡은후 멀리 보내줘야 한다는 것임
[스매싱]
1. 스매싱의 스윙은 항상 위에서 똑바로 해야 하며 공이 날라오면 기다렸다가 계속 끝까지보면서
포인트가 왔을때 라켓을 뿌리듯이 스윙을 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팔꿈치를 뻗어주시고 배드민턴의공이 닫는다싶으면 그때 손목을 좀더 앞으로 꺽어줍니다^^
그러면 당연히 멀리날라가겠죠 그리고 치고나서도 스윙은 끝까지 해야합니다
[원점프 드라이브]
1. 라켓이 머리뒤로 빠졌다가 쳐야 함 팔과 손목으로 치라는 얘김(그래야 나중에 어깨로 치지 않기때문에
어깨에 염증이 생기지 않음)
[드라이브]
1. 드라이브도 뿌리듯이 하고.. 백 드라이브는 공이 올때 잡아서 치는 동작을 해야 한다(끊어 쳐라)
[벽치기]
1. 벽치기를 할때 스매싱 연습은 세게 해야 팔운동이 되고 빠르게 해야 적응능력이 생긴다.
[복식 경기에서 피해야 할 공격 5가지]
복식 경기에서 피해야 할 공격이 있다. 하기도 어렵고 멋져 보이지만 당장 되치기를 당하는 허무한 전술을 살펴보자.
1. 헤어핀의 헤어핀
헤어핀으로 넘어온 공격을 또다시 헤어핀으로 넘기는 것은 성공확율이 제로에 가깝다.
헤어핀을 한 상대는 아직 코트 근처에 있다. 거기다 헤어핀을 다시 준다는 것은 자실 행위다.
공이 네트에서 5센치만 떠도 푸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설사 반대 코트로 꺽어서 헤어핀을 하더라도 준비가 된 상대에게는 효과적인 공격이 못된다.
상대의 헤어핀 공격에 대한 대처(푸쉬)가 늦었을 때는 최대한 높이 올려 시간을 번 다음 상대의 스매싱 공격을 대비한 수비자세를 취하는 것이 낫다.
2. 대각선 스매쉬
스매쉬는 가장 빠른 공격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짧은 거리로 보내야 만점효과를 볼 수 있다.
상대가 한쪽으로 몰려 있지도 않은데 대각선으로 스매쉬를 하면 그만큼 상대에게 시간을 더 주는 셈이 된다.
복식의 경우 두 사람의 가운데, 특히 못치는 사람으로 약간 치우친 가운데를 공략해야 한다.
쓸데 없이 몸을 틀어 대각선으로 스매싱을 하면 나의 허점만 노출 시킬 뿐이다.
3. 직선 공격의 직선 반구
상대가 구석에서 직선공격을 해오면 대각선으로 빼고 대각선으로 공격해오면 직선으로 받아야 한다.
상대가 공격 스크로크를 한 다음 내가 보낸 공을 받으러 뛰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대각선 공격을 대각선으로 받으면 스매싱의 밥이 된다.
4. 변화없는 스매싱
나의 스매싱을 상대가 잘 받아 내면 열이 받아서 똑같은 코스로 계속 때린다. 그러지 말아야 한다.
한참을 때리다 보면 그때서야 방향을 바꿔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얼떨결에 방향을 바꾸면 실수를 하고 만다.
똑같은 방향으로의 스매싱이 효과가 없는 것은 상대가 리듬을 타버렸기 때문이다. 백으로 두번 때렸다면
다음엔 포핸드 쪽으로 때려야 한다. 사람마다 좋아 하는 수비형이 있다. 백핸드를 선호하던지 포핸드를 선호하던지....
아무튼 그것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 해도 두세번 같은 방향으로 하여 상대가 리듬을 탄 것 같으면 방향을 바꿔야 한다.
5. 클리어의 클리어
상대가 클리어를 올리면 공격의 주도권을 포기 한 것이다. 이를 습관적으로 다시 클리어를 쏘아서는 안된다.
상대가 클리어를 올리면 나의 파트너는 전진한다. 그러므로 나는 어떤 식으로든 공격을 해 줘야 한다.
다시 클리어로 넘겨 주면 내 파트너는 다시 뒤로 나와야 하는데..... 내가 못따라 가는 곳으로 클리어가 와서
어쩔 수 없이 클리어로 다시 넘기며 수비를 하고자 하는 생각이 아니면 클리어를 클리어로 받으면 필패한다.
** 참고로 복식의 경우 두 선수의 가운데가 빈곳보다 약한 곳이다.
두 선수의 가운데란 양옆으로 선 가운데 뿐 아니라 앞뒤로 섰을 때도 가운데가 취약하다.
두 선수가 앞 뒤로 섰을 때 앞 선수 머리 약간 뒤에 올려 두면 앞사람은 뒤로 가서 치려 하고
뒤사람은 앞으로 와서 치려한다. 서로 미루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