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미즈쿡 레시피 원문보기 글쓴이: 아몬드봉봉
팥 성미; 성질은 약간차고 맛은 달고 시다. 귀경; 심장경, 소장경, 비경으로 들어간다.
효능; 수액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황달을 치료하며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그리고 청열해독작용이 있으며 종기나 습진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으며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적응증; 여러가지 수종을 치료하는데 심장성수종, 신장염수종, 간경화복수, 영양불량성수종, 각기병부종, 산후부종등에 효과가 있으며 산모가 젖이 부족할 때도 효과가 있고, 심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이나 비만증을 치료하며 황달이나 종독, 창상,습진등도 치료한다.
주의사항; 이뇨작용이 강해 평소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 양이 많은 사람은 좋지 않다. 또한 진액이 적고 혈액량이 적은 사람이나 몸이 마른사람은 좋지 않다. 그리고 팥과 상사자는 외형이 비슷하여 모두"홍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상사 자는 중국광동지방에서 많이 나며 독을 가지고 있어 팥으로 잘못알고 먹어 중독을 일으키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기타; 팥의 단백질함량은 검정콩이나 황두에 비해 적으나 리수해독등 약효는 다른 콩에비해 우수하다. -약선식품동의보감중
팥 신장병,방광염에 좋다 팥은 이뇨작용, 해독작용이 강한 식품이다. 그래서 신장병이나 방광염에 효과가 있다. 소양인은 '비대신소'의 체질로 신장, 방광이 약하니 분명 팥은 소양인의 식품이다. 팥은 종기를 없앤다. 열성체질로 종기가 잘 나고 헌데가 잘 생기는 소양인에 게 그래서 좋다. 팥은 어혈을 제거하며, 조혈작용, 보혈작용을 한다. 비타민 B1과 사포닌이 많이 들어 있어 독을 풀고 배변 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하게 해 준다. 그래서 소양인에게 좋다. 알아두자. 팥은 작고 적색인것을 약으로 쓴다. 알이 굵고 선홍, 또는 담홍색인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 겉껍질에 영양분이 풍부하므로 껍질째 먹는것이 좋다. 팥을 삶고 첫물을 그냥 버리는것은 사포닌도 몽땅 버리는것과 같다. 오래 먹으면 피부가 거칠하게 마른다고 했다.
팥 이뇨작용이 부기에 효과를 낸다 신장병, 심장병, 각기병 등이 있으면 몸이 붓는다. 팥에는 강력한 이뇨 작용이 있어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부기에 높 은 효과를 발휘한다. 팥을 약으로 먹을 때는 간을 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생팥을 삶아서 즙을 내거나 죽을 쑤어 먹거나 밥 대신 주식으로 먹으면 된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므로 적당량만 먹도록 한다. 또, 팥은 외용약으로 쓸수 있으므로 부기가 있는 부위에 팥가루를 바르면 부기가 내리게 된다.
팥가루 주근깨의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킨다. 팥은 피부를 탄력있게 만들어 주고 종기에도 좋다고 한다. 특히 주근깨에 효과적이므로 팥 가루를 만들어 주머니에 넣고 주근깨가 있는 부분을 가볍게 문질러 주면 좋다. 하루에 2~3회, 5분씩 되풀이한다. 팥가루는 매번 새것을 갈아주어야 하며 주머니도 새것으로 갈아서 청결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팥파즙 방광염으로 혈뇨가 나올 때 먹는다. 특별한 원인도 없는데 방광염에 잘 걸리는 사람은 약보다는 음식으로 고치는것이 좋다. 음식은 쉽게 구할수 있는 재료가 좋은데, 그 대표적인것이 팥파즙이다. 팥 한줌과 파 한뿌리를 끓여 즙을 마시면 방광염으로 소변의 색이 흐리거나 혈뇨가 보일때,배뇨통이 있을때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팥은 깨끗이 씻어 물에 30분정도 담가 불리고, 파는 씻어서 흰줄기만 4~5 cm길이로 썰어 프라이팬에 볶는다. 잘 불려진 팥을 냄비에 담고 팥을 담갔던 물을 부어 끓이다가 볶은 파를 넣고 끓인뒤 청주를 1컵정도 붓고 한소끔 끓인다. 잘 끓여진 팥과 파를 체에 걸러 즙만 받는데, 이때 숟가락으로 꼭꼭 눌러주면 즙이 많 이 나온다. 따뜻할때 먹어야 먹기쉽다.
팥 부기를 가라앉힌다. 통풍 발작은 기름기 많은 음식이나 고단백질 음식을 먹고 난후, 술을 마신후에 나타나기 쉽다. 통풍 발작으로 통증이 자주 나타나는 사람은 팥을 이용한 음식을 자주 해먹도록 한다. 팥은 통증을 가라앉히고 부기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 팥을 삶아 서 즙을 내어 먹거나 치자를 섞어 죽을 끓여 먹어도 좋다. -체질음식 동의보감중 |
재료; 팥2대접, 찹쌀반컵(어린이용물컵), 함초소금반큰술, 설탕3큰술(또는 올리고당,꿀),
견과류(아몬드,호두,잣외), 물
1. 팥은 물에 팍팍 씻어 찬물에 담가 불린다. 6시간이상
/전날 저녁에 씻어 불리면 아침에 일어나 조리하기 쉽다.
2. 불린 팥은 부르르 끓여(5~10분정도) 물을 쏟아버린다.
3. 찬물에 한번 헹군다.
4. 물을 넉넉히 부어 팥이 물러질때까지 푹 익힌다.
/ 팥양의 두세배 가량 물을 붓는다.
5. 찹쌀을 씻어 물에 불려둔다.
/ 팥이 무르게 익을동안 불려두면 된다.
6. 불린 찹쌀은 곱게 간다.
/ 취향에 맞춰 곱게 갈거나 살짝 갈거나..아예갈지 않고 사용하기도 한다.
7. 팥이 푹 삶아졌으면 반만 덜어 믹서로 곱게 간다.
/ 반만 간 이유는 전체적으로 다 갈았을때보다 모양이 더 먹음직스러워 보여서...(개인적인취향임^^)
/ 전체적으로 다 갈아도 되고 거칠게 갈아서 사용해도 됨
8. 팥에 찹쌀곱게 간걸 조금씩 넣어 농도를 맞춘다.
9. 바닥에 늘어붙지 않게 중간중간 저어가며 익힌다.
10. 소금과 설탕(또는 꿀,올리고당)을 넣어 간을 맞춘다.
/ 효소로 단맛을 낼경우 다 식은후 넣어준다.(효소는 뜨거우면 좋은 성분이 없어짐)
11. 먹기직전 견과류를 섞어준다.
개인적으로 뜨거운 팥죽보단 차가운 팥죽을 좋아하여 냉장고에 넣어뒀다 며칠씩 먹는답니다.^^ 더 달달한걸 좋아하시면 설탕의 양을 늘리시면 됩니다. 뜨거울때 간을 다 하지 말고 약간 식을때 간을 본후 다시하는게 좋답니다. 뜨거울때 간을 맞추면 식은후 너무 달거나 짜게 될수 있습니다. 뜨거울땐 조금 덜 짜게, 덜달게 느껴집니다. ^^
행복가득한시우네집; http://blog.daum.net/dmstlf-q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