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재성상
이 약은 고르지 않은 덩어리(靈脂塊)와 길이 5-15mm, 지름 3-6mm의 원주상-타원구형이며 양끝이 둔한 알맹이(靈脂米)로 되어 있다. 덩어리의 바깥면은 회갈색-흑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기름기 있는 윤택을 나타내며 질은 단단하여 깨어지기 어렵다. 알맹이의 바깥면은 흑갈색이고 속은 회록색이며 가볍고 깨어지기 쉽다. 영지괴의 깨어진 면은 황갈색-갈색을 띄고 섬유성이다.
이용부위
똥을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생용(生用)하면 행혈지통(行血止痛)하고, 초탄(炒炭)하면 거어지혈(祛瘀止血)하여 어혈성(瘀血性) 혈붕(血崩)과 월경과다(月經過多)에 응용되고, 초초(醋炒), 주초(酒炒)하면 지혈(止血), 지통(止痛)작용을 나타낸다. 또는 분말(粉末)로 한 후 수비(水飛)하여 쓴다.
금기
허증(虛證) 특히 혈허증(血虛證)과 잉부(孕婦), 소화기능이 약한 자는 신용(愼用)하며 인삼(人蔘)을 외(畏)한다.
성미
고감(苦甘), 무독(無毒), 온(溫)
작용부위
효능산어(散瘀)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지통(止痛)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화어(化瘀)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임활혈(活血)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주치병증경폐(經閉)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사충교상(蛇蟲咬傷)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산후혈어동통(産後血瘀疼痛)산후에 생긴 혈어(血瘀)로 동통(疼痛)이 있는 것질박종통(跌撲腫痛)넘어지거나 부딪쳐서 붓고 아픈 것을 말함통경(痛經)월경 중에 또는 월경 전후에 아랫배나 허리가 아픈 병증. 경전복통(經前腹痛), 경행복통(經行腹痛), 월수내복통(月水來腹痛), 경후복통(經後腹痛)이라고도 함. 심하면 통증이 심하여 참기 어려울 정도이다
포함처방 (총 222건)
각통산(卻痛散)갈환자(褐丸子)소아가 감(疳)병에 걸려 배가 부풀어진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계령산(桂靈散)가슴과 배가 너무 아파서 위급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구담환(狗膽丸)A며칠 동안 계속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기침산(起枕散)A산후(産後)에 주기적으로 복통이 극심하게 있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도노산(桃奴散)A혈고(血蠱), 어혈(瘀血)이 정체되어 쌓여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도노환(桃奴丸)혈창(血脹)과 부인이 월경이 통하지 않아 창만(脹滿)하게 되어 남자의 혈고(血蠱)처럼 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비금산(備金散)A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중풍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근맥(筋脈)이 굳어지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소체환(消滯丸)A승금산(勝金散)A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A출산후 상한열병(傷寒熱病)으로 인해 열(熱)이 혈실(血室)로 들어가서 오로(惡露)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신령단(神靈丹)전적으로 급성 심통(心痛)을 치료하는 처방임실소산(失笑散)A분만후 배꼽 주위가 아파서 죽을 듯 한데 온갖 약을 써도 효험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심통원(尋痛元)여러 가지로 상(傷)한 것을 치료하여 통증을 멎게 하고 속을 시원하게 하며, 기(氣)와 혈(血)을 잘 돌게 치료하는 처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