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시(序詩)
윤동주
죽는 그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작품해설
이 시는 해방 후 간행된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모두(冒頭)에 놓여
참 삶을 추구, 지향하는 윤동주의 모든 것을 대표하는 명시(名詩)이다. 윤동주는 식민지
라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지성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고뇌와 아픔을 섬세한 서정
과 투명한 시심(詩心)으로 노해한 시인이다. 그는 고요한 내면의 세계를 응시하려는 순결
한 정신의 소유자요, 자신이 걸어야 할 삶의 길에 순응하고자 했던 인간이다. 그를 일제
말기라는 문학적 공백기에 민족적 의지와 양심을 지켜주던 대표적 시인으로 형가하는 것
은, 무엇보다도 그의 시가 시대적 상황의 투시와 양심에서 배태된 ‘부끄러움’의 인식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구조은 2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연은 둘로, 즉 1~4행과 5~7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단락은 과거 시제로
지금까지 화자가 살아온 생활의 고백이고, 둘째 단락은 미래 시제로 미래의 삶에 대한
화자의 신념의 표명이다. 셋째 단락인 2연은 현재 시제로 현재의 시적 상황의 제시이다.
결국 이시는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이며, 지금 현재는 어떠
하다는 구조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의 배경은 별과 밤하늘이다. 별이 빛나는 그 밤하늘 아래 시적 화자인 ‘나’가
존재하고 있다. ‘밤’은 암울한 시대 상황으로 자아의 실존적 암흑 의식을 표상하고 있
으며, ‘별’은 외로운 양심의 표상이자 구원(救援)의 지표로 희망과 이상 세계를 상징하고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화자는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럼 없기를’ 희원(希願)하며,
도덕적 결백성과 순결성 때문에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고 있다. ‘별’과 대조가
되는 ‘바람’은 화자가 추구하는 참 삶과, 지켜 오고 있는 양식을 흔들리게 하는 현실적
시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는 우주 섭리(攝理)에 따라 자신에세 주어진 인생에 충실한 한편,
‘별을 노래하는 마음’(이상 세계를 지향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죽어가는 모든 것과 조국
과 민족의 고난을 포근히 감싸 안고자 했던 시인의 지극한 휴머니즘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특히 마지막의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라는 시행은 그가 처한 암담한
현실 상황을 대변하는 동시에, 바람에 부대낄수록 더욱 밝은 빛을 발하는 별과 같이 자
신의 이상도 빛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렇듯 이 시는 24세 때(1941.11.20.)의 젊은 나이에 창작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시
적 화자의 비판적 현실 인식과 냉철한 자기 인식으로 드러나는 시인의 인간적 성숙도를
짐작하게 해 준다. 그러므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28세의 젊은 나이로 후쿠오카의 어두운
감옥에서 숨을 거둔 시인이 하늘과 양심 앞에 조금도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자 했던
번민과 의지의 결실인 이 시는,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살 것인지에 대한 귀중한 교훈을
주는 데 조금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작가소개]
윤동주(尹東柱)
1917년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1925년 명동소학교 입학
1929년 송몽규(宋夢奎) 등과 문예지 『새 명동』발간
1932년 용정(龍井)의 은진중학교 입학
1935년 평양 숭실중학교로 전학
1936년 숭실중학 폐교 후 용정 광명학원 중학부 4학년에 전입
1938년 연희전문학교 문과 입학
1939년 산문 「달을 쏘다」를 『조선일보』에 동요 「산울림」을 『소년』지에 각각 발표
1942년 일본 릿쿄(立敎)대학 영문과 입학, 가을에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로 전학
1943년 송몽규와 함께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
1945년 2월 16일 큐슈(九州) 후쿠오카(福岡) 형무소에서 옥사
시집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유고시집, 1948), 『별을 헤는 밤』(1977),
『윤동주 시집』(1984), 『윤동주자필시고전집』(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