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잡초의 종류에 따른 생리의 차이에 의하여 선택성이 있다.
제초제를 크게 분류하면 선택성 제초제와 비선택성 제초제가 있습니다. 휴경농지에는 당연히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방제 해야하는데 실제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해보면 100% 방제가 되지않고 있는 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시중에는 비선택성 제초제가 많은 종류가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휴경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잡초를 조사하여 해당되는 제초제를 2개 내지 3개를 선택하여 혼합하여 살포하면 방제 효과를 높일 수가 있습니다. 다만 제초제를 혼합 할때에는 혼합여부를 확인하기 바람니다.
2. 이런 제초제를 사용해 보세요.
잡초의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초제의 설명서를 참고해야하는데 보통 잡초의 키가 30cm이하 일때 살포를 권장하고, 그 이상이면 약액의 농도를 높이 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크면 클수록 저항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1) 근사미....이 제초제는 많이 알려저 있는 제초제로서 비선택성 제초제이며,일년생 잡초는 바랭이, 망초, 둑새풀, 여귀, 강아지풀, 쇠비름, 명아주, 개피, 참방동산이, 벼룩나물, 깨풀, 광대나물, 냉이.등에효과가있고, 다년샌 잡초에는 쑥, 억새, 메꽃, 띠, 엉겅귀, 고사리, 크로바, 씀바귀, 새, 실새풀, 싸리, 등에 방제 효과가 광범위 합니다. 사용후 효과는 10에서 15일 후에 발생 합니다. 사용방법은 제초제를 구입하면 있습니다.
2). 바스타......비선택성 제초제이며, 잡초가 20에서 30cm정도 생장 때에 살포 하세요.
망초, 쑥, 닭의 장풀, 쇠뜨기, 여귀, 드에 효과가 있습니다.
3). 터치다운아이큐.......비선택성 제초제이며, 잡초가 20에서 40cm정도 생장에 살포하시요, 이 제초제는 흡수 이행해서 뿌리까지 이행하여 전부 죽이는 제초제입니다.
제초제를 혼합할 때는 어린 잡초를 기준하면 전부 방제가 가능 합니다.
4). 솔솔.......이 제초제는 영일케미칼에서 생산 판매하는 제초제로서 소나무 이외의 모든 식물을 제초(죽이는)하는 성질이 있어 잘못사용하면 연못, 남의 전답, 과수원에 막대한 피해를 줄수 있는 제초제이므로 농약점포에서는 개인에께 잘 판매를 하지않는 제초제입니다 구입한다해도 성명, 기타를 적어 잘못사용시 문제 해결에 참고를 할려고 합니다.
이 제초제를 구입한다면 그 지역의 농촌 기술센타의 직원이 입해하에서 살포하는 까다로운 방법이 있으나 효과는 틀림없습니다. 한번쯤 생각해보세요. 농업 기술센타직원과 상의하여 하세요. 많은 이야기는 구입하면 라벨을 참고하세요.
3. 제초제는 잔효기간이 짧다.
대부분의 제초제를 살포하면 일부분은 토양에 떨어지면 문제가 될것으로 생각하나 토양에 떨어진 제초제는 빨리 흡수되어 불활성화로(제초효과가 없는 성분으로 변함)되어사용후에 바로 작물을 파종한다든가 이식을 해도 피해가 없습니다. 또 일부 제초제의 성분은 토양 표면에 닿으면 분해되어 약효가없는 성분으로 바끼어 피해를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솔솔은 제외 입니다. 그래서 분해되어 잔효성분이 없을 때까지 다른 곳에 피해를 줄가 그렇게 어렵게 사용하도록 합니다.
4. 근사미를 선택하세요.
근사미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멸하였습니다. 크라목슨도 비선택성 제초제는 맞으나 살초작용이 살포한 용액이 묻은 위치에 있는 엽록체를 파괴하여 광합성을 하지못하게하여 잡초를 살초하는 작용기구를 갖이고 있는 제초제입니다. 살포 때에 온도가 높으면 살포 후에 5분 정도만 지나도 엽록체가 파괴되어 잡초의 엽색이 변하여 살초되는 것을 볼수가 있는 속효성 제초제인데, 단점은 성분이 흡수이행 하지않고 약액이 묻은 곳에만 작용해서 뿌리에서 다시 재생하여 잡초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