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모시밭 (Ramie Field)
모시풀(저마)을 재배하는 모시밭은 여름철에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은 곳이 적지로 모시풀의 재배는 다년생 모시풀 뿌리를 옮겨 심은 후 번식 시킨다. 수확은 1년에 3회(5-6월,8월,10월)
2.태모시 만들기
수확한 모시의 껍질을 벗겨 모시 칼로 가장 바깥층을 벗겨 내고 속껍질로 섬유인 태모시를 만든다. 이를 물에 네·다섯 번 적셔 햇볕에 말려서 물기와 불순물을 제거하면(탈색과정) 바탕색이 깨끗한 모시 원료인 태모시가 된다.
3.모시째기
태모시를 이로 쪼개서 모시섬유의 굵기를 일정하게 하는 과정으로 상저, 중저, 막저로 구분되는 모시의 품질이 나온다. 태모시의 품질과 모시째기의 숙련정도에 따라 모시의 품질이 좌우된다.
4.모시삼기
모시째기가 끝난 저마섬유를 한뭉치 "쩐지"라는 버팀목에 걸어놓고 한올씩 빼어 양쪽 끝을 무릅 위에 맞이어 손 바닥으로 비벼 연결시켜 광주리에 차곡차곡 쌓아 놓는 과정이다
5.모시날기
10개의 모시굿에서 "젖을대"의 구멍에 실끝을 통과시켜 한 묶음으로 하여 날틀에 걸어 한 필의 길이에 맞추어서 날실의 길이로 날고 새수에 맞추어 날실의 올 수를 맞춘다. 이와같이 하여 모시날기가 끝난 날실 다발은 고리 모양으로 연결하여 날틀에서 빼어서 뭉치로 만든다.(1새 = 80올)
6.모시매기
모시날기가 끝난 날실을 새수에 맞는 바디에 끼워(바디쓰기) 한쪽끝은 도투마리에 매고 다른쪽 끝은 "끌개"에 말아 적당한 길이를 고정시킨 다음 날실을 팽팽하게 한 뒤 콩가루와 소금을 물에 풀어 만든 풋닛가루를 벳솔에 뭍혀 날실에 골구루 먹여 이음새를 매끄럽게 하고 왕겨불로 천천히 말려 도투마리에 감아 모시 짜기에 알맞게 완성하는 과정이다.
7.꾸리감기
모시를 나는작업과 매는작업은 모시 직조 과정에서 날줄을 매는 작업이지만 꾸리는 모시굿을 씨줄로 사용하는데 알맞게 모양을 만드는 작업이며 모시굿 10개가 한필의 원사량이 된다.
8.모시짜기
모시는 베틀이라고 일컫는 방직기로 짠다. 날실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의 누운 다리위에 올리고 바디에 끼운 날실을 빼어 2개의 잉아에 번갈아 끼우고 다시 바디에 끼워 "매듭대"에 매고 말코에 감아 날실을 긴장시켜 놓고 베틀의 쇠꼬리채를 발로 잡아 당겨서 날실을 벌려 손으로 준비된 씨실꾸리가 담긴 북을 좌우로 엮어 짜는 과정이다.
9.모시짜던 장소
모시를 짤 때는 공기가 건조하면 날실의 이음부분이 끊어지므로 조심 하여야 한다. 보통 움집이라 불리는데 지면보다 약 60㎝아래로 땅을 파서 만든 지하에 방을 이용한다. 방의 크기도 베틀을 들여 놓을 정도이고 문이라고 사람이 겨우 드나들 수 있는 협소하고 채광도 제대로 되지 않는 장소이다
(모시홈페이지에서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