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관념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시간관념 없이는 시대의 전후 관계를 알기 어려우며 역사의 과정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역사가들은 역사를 시간적 변화에 따라 이해하고 각 시대를 인식한다. 역사교육에서도 시기 구분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 이해를 도울 수 있다. |
|
<보 기> |
|
|
| |
ㄱ. 김 교사 : 역사에서 설명의 일반화가 필요하므로 역사의 다양한 개별 사실들을 시대에 따라 일정 범주로 분류하도록 한다. ㄴ. 박 교사 : 역사적 시간의 본질적 특성은 지속과 변화이므로 역사 전개의 시간적 계기성과 단절적 변화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ㄷ. 최 교사 : 과거의 어느 부분이 그 내용에서 현재적일 수 있고, 현재의 어느 부분이 어떤 의미로는 과거의 모습일 수 있음을 강조한다. ㄹ. 정 교사 : 역사의 발전은 단선적이 아님을 이해하고 비이성적인 것, 불합리한 것, 우연적인 것이 역사에 미친 영향을 알도록 강조한다. ㅁ. 이 교사 : 고대, 중세, 근대의 삼분법은 단순히 왕조 변화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실들에 기초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
① ㄱ, ㄴ ② ㄱ, ㅁ ③ ㄷ, ㄹ
④ ㄱ, ㄴ, ㅁ ⑤ ㄴ, ㄷ, ㄹ
2.다음 글에 제시된 ‘역사 내러티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2.0점)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는 역사 서술과 인식 도구로서 그 유용성이 부각되었다. 특히 밍크와 화이트가 강조한 ‘역사 내러티브’개념이 주목을 받았고, 이 개념은 역사 교재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
|
<보 기> |
|
|
| |
ㄱ. 집단적이고 일반적인 것보다 개별적이고, 독특한 것을 다룬다. ㄴ. 두 사건의 필연적인 인과 관계를 지시하기보다 두 사건 간의 개연성을 강조한다. ㄷ. 인간의 의도와 행위에 대한 기술적(記述的) 묘사보다 분석적 설명에 초점을 맞춘다. ㄹ. 특정한 화자(話者)가 드러나지 않도록 인물과 사건을 시공간 속에서 구축한다. ㅁ. 역사적 사실들의 중립적 용기(容器)가 아니라 특정한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함의를 갖는다. |
① ㄱ, ㄹ ② ㄱ, ㅁ ③ ㄷ, ㄹ
④ ㄱ, ㄴ, ㅁ ⑤ ㄴ, ㄷ, ㄹ
3.교사가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를 이끌고자 했다. 다음 학생들의 활동 중 드레이크가 ‘역사가의 생각습관’을 반영하여 제시한 역사적 사고 과정과 거리가 먼 것은? (2.0점)
° 카타이 지방의 처녀들이 어느 누구보다 순결하고 겸양의 미덕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들은 방에만 들어앉아 자기 일에 몰두하기 때문에 아버지나 형제 혹은 집안의 어른들에게 모습을 나타내는 일조차 드물다. 그들이 친척들과 함께 목욕탕이나 증기탕에 가는 일은 결코 없다.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 이곳에서 내가 목격한 기이한 사실은 여성들을 존대한다는 것이다. 여성의 지위는 남성보다 확실히 높다. 상인이나 서민의 부인 행차도 목격한 바 있다. 그녀는 얼굴을 드러내놓고 있다. 터키 여성들은 얼굴을 가리지 않는다. 남성들이 입는 옷이란 고작 허름한 양가죽 옷이다. -『이븐 바투타 여행기』- |
① 지영 : 마르코 폴로의 저술을 당시 프란체스코 교단의 수도사 등이 몽골과 중국을 다녀와 쓴 여행기와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판단한다.
② 명수 : 두 자료에 제시된 사실과 추측, 증거와 주장에 입각하여 터키와 중국 여성의 당시 지위와 풍습을 구별한다.
③ 경호 : 13세기와 14세기에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전개된 역사를 두 자료에 기술된 사실 및 사건들과 비교한다.
④ 영희 : 두 저자가 타 문화와 관습에 대해 기술한 것을 당시 유럽과 이슬람 사회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검토한다.
⑤ 철수 : 두 자료를 분석하기 전에 두 저자의 저술 의도와 당시의 상황 등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4.다음은 ‘노예제’를 주제로 한 역사 수업 장면이다. ㉮~㉲의 설명 방식을 바르게 연결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0점)
교사: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노예는 대부분 백인이었다고 해요. ㉮노예는 전쟁에서 포로가 되었거나 빚을 갚지 못해 예속된 사람들이었죠. 사하라 사막 이남에서 온 흑인 노예는 쉽사리 찾아볼 수 없었어요. 학생 : 중세부터는 유럽에서 노예가 사라졌나요? 교사 : 그렇지는 않아요. 슬라브 국가로 노예를 구하러 가기도 했고, 지중해 무역이 활발해지자 갤리선에 북 아프리카인을 이용했어요. ㉯사슬에 묶인 채 채찍을 맞으며 노를 젓는 일은 모두 기피하는 일이었으므로, 죄수들과 노예들이 갤리선을 젓는 일에 동원되었어요. 학생 : 그러면 백인 노예들과 흑인 노예들이 함께 섞여 있었겠네요? 교사 : 그렇죠. ㉰17세기에 모로코와 리비아 사이에 위치한 북 아프리카 노예시장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붙잡혀 온 백인 노예들과 흑인 노예들이 함께 거래되었다고 해요. 학생 : 백인들이 노예였던 역사는 잘 상상이 되질 않아요. 교사 : ㉱흑인들만 노예였던 것은 아니죠. 오늘날 가난한 나라의 백인 여성들이 부유한 나라로 노예처럼 인신매매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 학생 : 그래도 노예제로 가장 큰 고통을 당한 사람들은 아프리카 흑인들인 것 같아요. 교사 : 그렇게 생각할 수 있죠. ㉲노예제의 역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인종차별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고, 우리가 지금 흑인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쳤어요. |
|
<보 기> |
|
|
| |
ㄱ. ㉮ - 헴펠의 연역적-법칙적 설명 ㄴ. ㉯ - 인과적 설명 ㄷ. ㉰ - 비교적 설명 ㄹ. ㉱ - 유추적 설명 ㅁ. ㉲ - 월쉬의 총괄적 설명 |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ㄴ, ㅁ
④ ㄱ, ㄷ, ㄹ ⑤ ㄱ, ㄷ, ㅁ
5.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역사 수업 내용이 조직된 것은? (2.0점)
역사 교과서의 단원을 수업 내용으로 조직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 가운데에는 학습자들의 인식 범위와 이해 수준을 확장하여 기초- 심화-일반화의 과정으로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학습자들이 역사 학습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편적으로만 기억하기 쉬운 역사 지식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
|
단원 |
주요 내용 |
(가) |
삼국의 불교수용 |
삼국의 불교 수용과 관련된 설화들을 조사해보자 |
설화에 나타난 각국 불교 수용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자 | ||
고대 사회에서 불교 수용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기술해보자 | ||
(나) |
개항과 강화도 조약 |
개항 시기 조선의 상황을 살펴보자 |
강화도 조약의 내용을 알아보자 | ||
조, 일 수호조규 부록과 통상장정의 내용을 기술해 보자 | ||
(다) |
미국의 남북전쟁 |
남북전쟁 전 남부와 북부의 경제적 차이를 조사해 보자 |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 나타난 노예의 생활상을 알아보자 | ||
남북전쟁시기 철도 산업 발달에 대해 기술해보자 | ||
(라) |
아시아 아프리카 민족운동 |
민족운동의 의미를 알아보자 |
아시아 각국의 민족운동을 살펴보자 | ||
아프리카의 민족운동을 살펴보자 | ||
(마) |
제 2차 세계대전 |
전체주의 국가의 등장 배경을 살펴보자 |
전체주의 국가들의 대외 정책의 특징을 알아보자 | ||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대량 학살 사례를 조사해 보자 |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6.다음은 답사 일정을 정리한 글이다. ㉠~㉤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경주 시내 답사를 마친 우리는 북쪽으로 안강을 향해 떠났다. 안강에서는 먼저 조선시대의 저명한 성리학자 이언적을 모신 ㉠ 옥산서원을 찾았다. 그리고 그 근처에 있는 국보 제40호 ㉡정혜사지 13층 석탑도 둘러보았다. 다시 차를 몰고 포항시의 신광면 쪽으로 가다가 신라 왕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조성되었다는 ㉢ 흥덕왕릉을 답사하였다. 그리고 신광면사무소를 찾아 비각 속에 보관된 ㉣냉수리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포항시 흥해읍으로 가서 2009년 5월에 발견된 ㉤ 흥성리비가 어느 지점에서 나왔는지 수소문하였다. |
① ㉠ - 16세기 후반에 인쇄 간행된 삼국유사}전질이 보관되어있다.
② ㉡ - 고려 후기에 원나라 양식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다각 다층탑이다.
③ ㉢ - 무인석과 문인석이 배치되고, 봉분의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④ ㉣ - 재물의 귀속을 둘러싸고 왕경인들 사이에 벌어진 분쟁에대한 처결 내용을 담고 있다.
⑤ ㉤ - 법흥왕 대에 반포된 율령에 의거하여, 죄를 범한 지방민들을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7.밑줄 친 ㉠을 강조하는 교사의 진술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역사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원리에는 중요성의 원리가 있다. 여기에는 본질적 중요성, ㉠도구적 중요성, 과거의 가치로서의 중요성, 현재의 가치로서의 중요성 등이 있다. |
|
<보 기> |
|
|
| |
[‘동남아시아 각국의 민족운동’ 교재 연구회의] ㄱ. 김 교사 :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근대국가 건설 과정에 끼친 영향을 보여줄 수 있는 주제로 구성했으면 좋겠어요. ㄴ. 이 교사 : 베트남의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판 보이 쩌우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했으면 좋겠어요. ㄷ. 박 교사 : 아시아의 민족운동이 당시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저항 정신을 보여준 것임을 알 수 있는 주제로 구성했으면 좋겠어요. ㄹ. 최 교사 : 아시아 민중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가져왔는지 보여줄 수 있도록 구성했으면 해요.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전공역사 최용림 교수(http://cafe.daum.net/NARRATIVE)
8.다음 ㉠에 들어갈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夫帝王之政 莫先於制禮 其沿革也 損益也 宜一定之 以淑人心 以齊風俗矣 安可因循姑息 不卽立常典 使之紛然異同哉 本{朝自 有國來 其禮制之損益 隨代靡一 病之久矣 至仁廟朝 集古今同異 商酌折中 成書五十\卷 命之曰 ( ㉠ ) - 동국이상국집 - |
① 최우가 이 책을 다시 금속활자로 인쇄하였다.
② 현존하는 우리나라 역사서 중 가장 오래되었다.
③ 예제를 밝히기 위해 효행록이란 책을 참고하였다.
④ 이규보가 중국과의 외교 실패 사례를 모아 편찬하였다.
⑤ 백성들의 성리학적인 생활 관습을 정착시키기 위해 편찬하였다.
9.다음 설명에서 교사가 의도하고 있는 ‘수업 목표’와 ‘수업 방법’을 적절하게 제시한 것을 고른 것은?
광해군은 명나라가 약해지고 후금이 강해지자 신중한 외교정책을 썼어요. 명나라에서 원군을 요청했을 때 강홍립을 보내 정세에 따라 대처하도록 했지요. 그래서 조선은 후금과의 전쟁을 피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은 광해군 때와는 달리 명을 가까이하고 후금을 배척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어요. 그래서 조선은 두 차례에 걸쳐 침략을 받게 된 것이지요. |
|
수업 목표 |
수업 방법 |
(가) |
후금의 침입원인을 조선의 대외 정책과 관련지어 파악할 수 있다. |
당시 상황을 보여주는 사료를 분석하여 발표하는 수업을 전개한다. |
(나) |
광해군이 중립 외교 정책을 추진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인물의 행위결정분석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전개한다. |
(다) |
서인이 일으킨 인조반정의 과정을 알 수 있다. |
이야기 자료를 재구성하여 극화 수업을 전개한다. |
(라) |
광해군과 서인의 외교 정책을 평가할 수 있다. |
역사 개념을 인식시키는 수업을 전개한다. |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나), (라) ⑤ (다), (라)
10.다음 지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점]
① 여백에 수록된 해설은 선교의 필요에 따라 편집되었다.
② 알레니의 직방외기(職方外紀)에 근거하여 편찬되었다.
③ 당시 중국인들은 중국이 너무 작게 그려졌다고 비판하였다.
④ 조선과 중국에 관해서는 중국 측 지식을 근거로 제작되었다.
⑤ 불교적 세계관과 유교적 세계관을 변화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11.(가)와 (나)시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역사 교육의 목표는 국민정신을 함양시킴으로써 국민으로서의 사명감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게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여사 전개 과정에서 국가에 대한 충성이나 문화적인 진전을 강조하고, 이를 주된 교육 내용으로 선정했다. 외국사의 경우도 항상 자구사와 연결을 지으면서 자국 역사의 이해를 명확하게 하는 역사적 사실을 중요시했다. 그리하여 ‘동양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신질서 건설에 매진하는 국민정신 함양’을 강조했다. (나) 국난 극복의 정신 자세를 강조하면서 대외 전쟁사를 다룬 교재가 중, 고등학교에 보급되었다. 또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역사교육을 목표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민족적 자부심과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민족 문화나 민족적 전통의 우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내용이 중시되었다. 세계사의 경우에도 서양의 역사 못지않게 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이 교육과정에 표방되었다. |
|
<보 기> |
|
|
| |
ㄱ. (가)시기에는 중학교에서 역사와 지리를 통합하여 가르쳤다. ㄴ. (가)시기에는 신교육 구국운동에 힘쓴 인물들을 중심으로 교과서 내용을 구성했다. ㄷ. (나)시기에는 전쟁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역사교육 정책을 바꾸었다. ㄹ. (나)시기의 중학교 교과서는 정치사 중심의 통사적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12.다음은 김 교사의 수업 장면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백제 성왕은 신라와 힘을 합하여 고구려에 빼앗겼던 한강유역을 되찾았어요. 하지만 곧 신라의 공격을 받아 한강 유역을 빼앗겼지요. ㉮ 진흥왕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긴 성왕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고구려가 수나라, 당나라와 전쟁을 하고 있는 동안 백제는 신라를 자주 공격했어요. 신라는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당에 구원을 요청했어요. ㉯ 신라의 대당 외교는 당시 상황에서 적절한 정책이었을까요? 신라는 당나라와 함께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어요. 그런데 당나라는 한반도를 직접 지배하려고 했어요. 신라는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기 위해 전쟁에 나섰지요. ㉰ 신라는 어떤 전투에서 나, 당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나요? 마침내 신라는 대동강 이남 지역을 통일했어요. 신라는 통일 이후 민족 융합 정책을 사용했어요. ㉱ 민족 융합 정책의 역사적 의의는 무엇일까요? |
|
<보 기> |
|
|
| |
ㄱ. ㉮- 학생에게 역사적 감정 이입을 요구하는 수렴적 질문이다. ㄴ. ㉯-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가치 판단을 요구하는 평가적 질문이다. ㄷ. ㉰- 역사적 사건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하는 인지기억 질문이다. ㄹ. ㉱- 다양한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확산적 질문이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13.㉮~㉱에 대한 진술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인 ㉮랑케는 ‘그것이 본래 어떠하였나’를 밝히는 것이 역사가의 임무라고 말했지만, 그것은 실현 불가능한 꿈에 불과하다. 역사는 카아가 말한 대로 역사가와 과거 사실 사이의 대화가 될 수밖에 없으며, 크로체가 말한 대로 ㉯현재의 역사가 될 수밖에 없다. 역사가는 자기가 살고 있는 시대의 관점과 요구에 입각하여 과거를 조명하고 재구성한다. 역사가는 과거의 사실을 그대로 열거하지 않는다. ㉰역사가는 사실들의 인과 관계를 하나의 거대 담론으로 환원시켜 설명하거나, ㉱개념과 모델들을 사용하여 일반화시킨다. |
|
<보 기> |
|
|
| |
ㄱ. ㉮- 세계사의 전개 속에는 신(神)의 질서가 나타나 있다고 보았다. ㄴ. ㉯- ‘신라가 당을 끌어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킴으로써 우리 민족의 영역은 축소되었다’는 진술은 여기에 해당된다. ㄷ. ㉰- ‘난징조약으로 청은 영국에 홍콩을 떼어주는 한편 5개의 항구를 열어 영국의 선박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였다’는 진술은 여기에 해당된다. ㄹ. ㉱- ‘동학농민운동은 반봉건적, 반제국적 성격을 지녔다’는 진술은 여기에 해당된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14.김 교사는 문항을 출제한 후 교과 협의회를 통해 문항을 수정하였다. 김 교사의 ‘수정 후 문항’에 올바르게 반영된 의견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수정 전 문항] 다음 자료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된 곳이다.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① 계급이 나누어지기 시작하였다. ② 식량을 찾아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③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④ 돌 갈판에 곡식을 갈아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⑤ 부족장은 고인돌을 만드는데 사람들을 동원하였다. [정답] ④ |
⇓
[수정 후 문항]
그림과 같은 생활이 이루어지던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① 계급이 나누어지기 시작하였다. ② 사냥과 물고기 잡이를 통해 식량을 얻었다. ③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④ 돌 갈판에 곡식을 갈아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⑤ 부족장은 고인돌을 만드는데 사람들을 동원하였다. [정답] ④ |
|
<보 기> |
|
|
| |
[교과 협의회] ㄱ. 이 교사 : 유적지명을 제시해 주지 않아도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 같아요. ㄴ. 박 교사 : 답지에는 여러 시대 생활 모습이 고르게 안배될 필요가 있어요. ㄷ. 최 교사 : 당시 사회 모습을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해 주면 좋겠어요. ㄹ. 정 교사 : 답지 ②도 신석기 시대에 나타날 수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답이 될 수있어요.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전공역사 최용림 교수(http://cafe.daum.net/NARRATIVE)
15.㉠~㉤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도평의사사는 국초에 ㉠도병마사라 칭하였다. 문종이 관제를 정할 때에 ㉡ 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 지문하성사를 판사(判事)로 삼고, ㉢ 6추밀 및 직사 3품 이상을 사(使)로 삼았다. 충렬왕 5년(1279)에 도병마사를 ㉣ 도평의사사로 하였다. 무릇 큰 일이 있을 때는 사(使) 이상이 모여 회의하였던 고로 이를 ㉤ 합좌(合坐)라고 하였다. -『고려사』- |
① ㉠- 원종 대에는 전란의 영향으로 국방, 군사 문제 이외의 다른 업무도 관장하였다.
② ㉡- 이들 중 일부는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한 식목도감의 사(使)가 되었다.
③ ㉢- 이들이 속한 관부는 군기 사무와 왕명 출납을 관장하였는데 여기에도 판사와 사가 있었다.
④ ㉣-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정무 기관이었으며, 조선 태조 대에 이르러 폐지되었다.
⑤ ㉤- 충렬왕 원년에 개편된 첨의부의 첨의와 밀직사의 밀직이 모두 참여하였다.
16.다음 자료에 나타는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이들의 명칭이 유래된 데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현재 가장 유력한 설은 서울의 조시(朝市) 근처에 살았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곧 이들은 서울의 고관대작들이 많이 살던 가회동이나 삼청동 등 북촌과 세력을 잃은 빈한한 선비들이 살던 남산 회현동의 중간 지점인 청계천 일대에 거주하여 이런 명칭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광교에서 장통교를 지나 수표교에 이르는 지역에 집중 분포했던 것으로 보인다. |
<보 기> ㄱ. 법제상으로는 문과 응시가 가능하였다. ㄴ. 서얼이 기술관으로 등용됨에 따라 동류로 인식되어 중서층 이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다. ㄷ. 조선 후기에는 많은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문학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위상을 높여 갔다. ㄹ. 기술직이 천시되고 세습화되면서 15세기부터 양반과 상민의 중간 집단으로 신분이 고착되었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17.최 교사는 다음 교수 학습지도안에 따라 수업을 전개하였다. 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진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수업 주제 |
송, 원 왕조의 발달 | |
수업 목표 |
송, 원 왕조의 정치, 경제, 문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 |
단 계 |
교수․학습 활동 | |
교사 |
학생 | |
도입(5분) |
․ 전시 학습 내용을 확인한다. ․ 본시 학습 내용을 안내한다. |
-질문에 대답한다. -학습 내용을 이해한다. |
전개(35분) |
․ 연표를 제시한다. - 송과 원 왕조를 연표에서 찾아보자. ․ 두 왕조를 비교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 송의 문치주의 정책과 원의 몽골인 제일주의 정책을 비교해보자. - 두 왕조의 농업, 상업, 무역 등 경제 활동을 비교해보자. -두 왕조의 문화를 비교해 어느 문화가 더 나은지 판단해보자. -두 왕조의 특징을 학습지에 적어보자. |
-연표에서 확인한다.
-학습 자료에서 두 정책의 차이를 비교해본다. -경제 활동을 비교해본다. (강남농법, 지폐사용, 시박사)
-학습 자료를 바탕으로 생각을 정리하여 판단한다. -학습지에 정리한다. |
정리(5분) |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차시 학습 내용을 예고한다. |
① 두 왕조 경제 활동의 공통점을 간과하고 있다.
② 문화의 수준을 비교하여 편견을 심어주고 있다.
③ 사실의 선후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④ 서로 다른 성격의 정책을 비교 대상으로 삼고 있다.
⑤ 비교를 통해 두 왕조의 차이를 이해시키려 하고 있다.
18.다음은 고려시대 어느 전시과의 일부를 도표화한 것이다. 이전시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2.5점]
<보 기> ㄱ. 문반 외에 무반과 잡업층도 지급 대상에 포함되어 있었다. ㄴ. 인품을 고려하고 있어 역분전의 성격을 탈피하지 못하였다. ㄷ. 지급 등급에 미치지 못한 관리들에게는 전 15결이 지급되었다. ㄹ. 자삼층의 구성원은 재상들로서 관직이 없는 산관은 제외되었다.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19.다음 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5점]
延興二年 其王餘慶始遣使上表\曰 ㉠ 臣與高句麗源出夫餘 先世之時 篤崇舊款 其祖釗輕廢隣好 親率士衆 凌踐臣境 臣祖須整旅電邁 應機馳擊 矢石暫交 梟斬釗首 自爾以來 莫敢南顧 ㉡今璉有罪 國自魚肉 大臣强族 戮殺無已 罪盈惡積 民庶崩離 是滅亡之期 假手之秋也 且高麗不義 逆詐非一 或南通劉氏 或北約蠕蠕 共相脣齒 謀凌王略 |
① ㉠은 부여의 시조 동명을 백제 건국자의 조상으로 내세운 건국설화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② ㉡은 안원왕이 죽고 양원왕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고구려 귀족 사회의 내분을 가리킨다.
③ 백제 동성왕이 남제에 보낸 국서의 내용으로 고구려의 침공을 막아낸 사실을 적고 있다.
④ 고구려와 백제 사이의 원한이 광개토왕의 백제 침공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언급하고 있다.
⑤ 당시 고구려는 북연의 멸망 과정에서 생긴 갈등으로 북위와 관계를 끊고, 남조 및 유연과 연계해 북위를 압박하고 있었다.
20.(가), (나)의 집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ㄱ. (가) 유형에서는 빗살무늬 토기가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ㄴ. (가) 유형이 조성된 시기에는 환호나 목책을 갖춘 방어취락이 나타났다. ㄷ. (나) 유형은 영서 지방을 비롯한 한반도 중부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ㄹ. (나) 유형에서는 토기와 더불어 여러 종류의 철기가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21.다음 건의를 받아들여 시행한 정책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채제공이 말하길, “조정의 금난전법은 육의전으로 하여금 국역에 응하게 하고 전리(專利)를 누리게 하기 위해 제정한 것입니다. 근래 빈둥거리며 노는 무뢰배들이 삼삼오오 떼를지어 스스로 가게 이름을 붙여 놓고 사람들의 일용품에 관계되는 것들을 제각기 멋대로 전부 주관을 합니다. …… 이 때문에 그 값이 나날이 올라 물건 값이 비싸기가 신이 젊었을 때에 비해 3배 또는 5배나 됩니다. …… 형조와 한성부에 분부하여 육의전 외에는 금난전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반좌율을 적용하게 하시면, 장사하는 사람들은 매매하는 이익이 있을 것이고 백성들도 곤궁한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 비변사등록, 정조 15년 정월 - |
① 송파나 마포 등 경강 지역의 부상대고들이 새로운 유통 체계를 장악하였다.
② 도시 상인층의 분화가 심화되고 사상도고에 대한 도시 빈민의 반발이 거세어졌다.
③ 상품유통 체계에서 발생한 여객 주인의 지위 변화로 주인권의 가격이 급등하였다.
④ 관청과 결탁된 운부(運負)도고가 혁파되어 운부계의 독점적 영업 체제가 붕괴되었다.
⑤ 수공업자들이 자신들이 생산한 물건에 대한 독자적인 판매망을 구축하여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게 되었다.
22.다음 건의를 받아들여 실행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左政丞 成石璘等上言 …… 本{府{則 無所不摠 而持其大體者也 今乃勞於煩冗細務 反若六曹之所役屬 大失設官分職之體 自今 凡事之有前例者 皆委各曹 有別例然後 呈報本{府 本府參酌輕重 應啓聞者啓聞 應行移者行移 其各曹所爲 如有錯誤住滯者 本府考察勤慢 定奪是非 - 태종실록, 태종 8년 정월 - |
① 관제를 개혁하여 6조를 정3품 아문에서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켰다.
② 주례의 운영 원리에 따라 재상 중심으로 국정을 이끌어 가게하였다.
③ 의정부는 정책 의결권만을 가지고 행정적인 서무는 6조로 넘기도록 하였다.
④ 설관분직의 원칙에 따라 의정부는 사대문서와 중죄수 재심만을 관장토록 하였다.
⑤ 문하부를 폐지하고 그 재신들만을 의정부에 귀속시켜 독립 관부가 되게 하였다.
[전공역사 최용림]
23.㉠과 관련된 다음 논쟁의 배경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노동자는 노동조합에, 농민은 농민조합에 돌아가서 투쟁해야한다. 우리는 투쟁을 통하지 않고는 확대화, 강화될 수 없다. ( ㉠ )의 조직에 쓰던 노력을 산업별 조합의 조직을 위해 쓰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하여 소부르주아를 고립화ㆍ무력화해 놓고, 그들의 비명을 듣고 발악을 보면 우리는 그 정체를 잘 알 수 있다. ◦ 조선인의 대중적 운동의 목표는 정면의 일정한 세력을 향하여 집중되어야 할 것이니 이에서 민족운동과 계급운동은 동지적 협동으로 병립 병진하여야 할 것이요, 전체적으로 협동하여 진행하기보다도 그 자체 내 상호의 영도권이 다르므로 역량의 분산 및 자기 마모의 과오를 범하여서는 아니 된다. |
<보 기> ㄱ. 만주사변 이후 ㉠의 민족운동에 대한 탄압이 심해졌다. ㄴ. 프로핀테른 9월 테제가 ㉠을 개량주의 단체로 규정하였다. ㄷ. 민중 대회 사건 이후 ㉠의 본부 간부들이 타협주의 노선을 보였다. ㄹ. 경제 공황 이후 일제는 농민운동의 개량화를 위해 조선 농지령을 실시하였다.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24.다음은 조선 후기 어느 역사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 목차이다.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首卷: 題東史篇面․序․目錄․凡}例․傳授圖․地圖․官職圖 卷1: [朝鮮] 箕子․箕否․箕準, [馬韓] 武康王箕準(附: 衛氏 朝鮮․四郡二郡․辰韓․弁韓․夫餘․濊․貊․沃沮), 三國(附: 二郡․夫餘․駕洛) 卷2~卷4: 三國(附: 二郡․帶方․夫餘․駕洛․渤海)․新羅 (附: 渤海) 卷5: 新羅(附: 後百濟․泰封․高麗․渤海) 卷6~卷17: 高麗(太祖 19年~恭讓王) 附錄 卷1: 考異․怪說辨․雜說 附錄 卷2: 地理考․疆域考正․分野考 |
① 단군, 기자, 마한을 정통이 없는 시대로 간주하는 것은 부당한 것으로 보았다.
② 고려사를 저본으로 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강목법과 정통론에 의해 서술하였다.
③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사건의 경과를 인과 관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④ 삼국 중 어느 한 나라를 정통으로 삼기 어렵다는 견해를 비판하고 신라를 정통으로 내세웠다.
⑤ 한강을 중심으로 북의 삼조선과 남의 삼한이 독자적으로 역사를 전개하였다는 남북 이원적 국사 체계를 세웠다.
25.㉠~㉢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5점]
<보 기> ㄱ. ㉠에는 토지개혁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지주들이 농지를 임의처분한 결과가 반영되었다. ㄴ. ㉡은 신한공사가 관리하던 농지를 중앙토지행정처가 매각 처리하는 가운데 나타난 변화로 볼 수 있다. ㄷ. ㉢은 농민의 상환액과 지주의 보상액의 차이를 정부 재정에서 부담하는 법안으로 농지개혁을 단행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ㄹ. <표>에 나타난 과정을 통해 자작지가 크게 늘었지만 영세 소농 경영 체제의 문제점은 미해결의 과제로 남게 되었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26.(가)~(라)는 한국통사(韓國痛史)}내용의 일부이다. 관련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묄렌도르프는 그 섬이 조선의 영토이므로 영국이 강제로 점령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항의하고, 조선과 조약을 체결한 각국에 호소하여 공정한 판결을 요청했다. 영국 정부는 대답이 궁색하여 조선의 독립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고 변명했다. (나) 민영익이 “불이야” 소리를 외치며 밖으로 나가자 도랑에 숨어 있던 자객이 뛰어나와 그를 찔러 부상을 입혔고, 연회에 참석했던 손님들이 모두 놀라 웅성거렸다. 일당(日黨})은 이때 청당(淸黨})을 모두 죽이려고 했지만 민영익한 명만을 부상시켰을 뿐 성공하지 못했다. (다) 일본군은 위해위를 점령한 다음 다시 유공도로 진격하면서 수뢰정을 항구 안으로 잠입시켜 정원호를 격침시켰다.…… 정여창은 진원호로 바꿔 타고 항전하여 수일간 혼전이 거듭됐는데, 청의 수뢰정 12척이 도망가려다가 일본군에게 격침당했다. (라) 군중들이 믿지 않자 어쩔 수 없이 승정원에 명하여 국상령을 공포하라고 했으나 승지 조병호, 김학진 등이 반대했으므로 다른 사람을 시켜 공포하게 하니 비로소 군중들이 물러갔다. 이에 온 나라 사람들이 다 상복을 입었는데 대원군이 왕비의 시신을 난중에 찾지 못했다고 하여 의관장으로 결정했다. |
① (가) 무렵 이홍장은 친러파를 견제하기 위해 대원군을 귀국 시켰다.
② (나) 사건이 실패로 돌아가자 홍영식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③ (다) 이후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어 근대적 개혁을 시도하였다.
④ (라) 사건 직후 이범진 등은 춘생문 사건을 일으켰다.
⑤ 시기 순으로 나열하면 (나) - (가) - (다) - (라)가 된다.
27.다음과 같은 비판의 대상이 된 정부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민족사는 바야흐로 위대한 결단을 요구하는 전환기에 섰다. 4월 항쟁의 참다운 가치성은 반외세․반매판․반봉건에 있으며 민족 민주의 참된 길로 나가기 위한 도정이었으나 5월 군부 쿠데타는 이러한 민족 민주 이념에 대한 정면적인 도전이었으며 노골적인 대중탄압의 시작이었다. 민족적 민주주의는 수렵적 정보정치를 합리화하기 위한 행상적 탈춤으로 변장됐고 굶주린 대중의 감각적 해방을 위한 독화의 미소를 띠었다. 국제 협력이라는 미명 아래 우리 민족의 치떨리는 원수 일본 제국주의를 수입, 대미 의존적 반신불수인 한국 경제를 이중 예속의 철쇄로 속박하는 것이 조국의 근대화로 가는 첩경이라고 기만하는 반민족적 음모를 획책하고 있다. - 「민족적 민주주의를 장례한다」(1964. 5.) - |
<보 기> ㄱ. 정부는 이 정책에 대한 반대를 탄압하던 중 ‘인민혁명당사건’을 발표하였다. ㄴ. 베트남전에서의 미군 철수와 냉전 체제의 완화라는 국제정세 속에서 추진되었다. ㄷ. 국제 협력의 대가로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한국군의 현대화 계획을 위한 장비 제공을 약속받았다. ㄹ. 한일 합병 및 그 이전의 한일 간 모든 조약ㆍ협정은 무효임과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확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28.다음은 제자백가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의 주장들이다.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자신을 극복하고 예에 돌아감으로써 인(仁)을 행하게 된다. (나) 배우지 않고 만들지 않아도 사람에 있는 것을 성(性)이라하고 배우거나 만들어서 가능한 것이 위(僞)*이다. (다) 나라도 작고 백성도 적어야 한다. 열 가지, 백 가지 도구 들이 있다 해도 쓰이지 않고 …… 배나 마차가 있다 해도 타지 않고 갑옷과 무기가 있다 해도 쓰이지 않는다. (라) 군주에게 술(術)이 없으면 위에서 고단해지고, 신하에게 법(法)이 없으면 아래에서 고단해진다. 이들은 하나라도 없으면 안 되는 제왕의 도구이다. *위(僞) : 후천적 행위 |
<보 기> ㄱ. (가)를 주장한 인물은 ‘文成至聖’의 존칭으로 종교적인 숭배대상이 되었다. ㄴ. (나)를 주장한 인물의 사상은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性卽理’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ㄷ. (다)를 주장한 인물의 사상은 ‘歲在甲子’․‘黃天當立’이라는구호를 내세운 종교 운동의 이론적 단서로 이용되었다. ㄹ. ‘王覇雜道’라는 말은 (라)의 정신이 한대의 통치 방식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
① ㄴ, ㄷ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29.(가)~(라)를 주장한 인물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수천 년 동안 우리 정치의 도덕적 기능은 물론 인심과 풍속도 유교에 그 바탕을 두어 왔는데 유교는 그것들을 용접하고 통합했던 것이다. 만일 유교를 버린다면 사람들은 안내자를 잃게 된다. (나) 나는 공자를 사랑하지만 그보다 진리를 더욱 사랑한다. 공자는 결코 신이 된다고 생각해 본 일이 없고 신비적인 힘으로 그의 제자를 귀의시키려 하지 않았다. (다) 삼강(三綱)은 비인간적이며 평등의 원리를 노골적으로 위배하고 진보를 방해하였다. 이것을 파괴하기 위해서 가족제도를 송두리째 폐지해야 한다. (라) 옛날에 사람을 잡아먹는 것이 보통이었다고 내가 어디서 들은 것 같았으나 분명하게는 알 수 없었다. 역사책을 뒤져보니, 매 페이지마다 ‘인의도덕(仁義道德)’이라는 몇 글자가 씌어 있었다. 한밤중까지 자세히 살펴보니, 온 책 가득히 다만 ‘흘인(吃人)’이라는 두 글자가 씌어 있음을 알았다! |
<보 기> ㄱ. (가) - 장쉰[張勳]이 주도한 청 황제 복위 운동에 적극적인역할을 하였다. ㄴ. (나) - 입헌 운동을 하고, 위안스카이의 황제 즉위를 막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ㄷ. (다) - 민주주의와 과학을 기치로 신문화운동을 선도하였다. ㄹ. (라) - 후스[胡適] 등이 주장한 문학혁명을 적극 실천하였다. |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30.다음은 일본의 정체(政體) 문제와 직결된 천황의 위상에 관한 사건과 자료들이다. 시기 순으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가) 일본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통치하고(제1조), 천황은 신성 하므로 침해할 수 없으며(제3조), 천황은 조규에 따라 통치를 행한다(제4조). (나) 미노베 다쓰키치가 ‘천황은 국가를 위한 기관이고 의회가 독자적 기능을 갖는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다) 제정일치를 선언하고 천황의 신격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신도(神道)를 불교로부터 분리하여 국가 종교화하는 길을 열었다. (라) 천황 친정을 주장하는 세력이 준동하는 가운데 ‘국체명징(國體明徵) 성명’이 발표되었다. |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다) - (나) - (라)
③ (다) - (가) - (나) - (라)
④ (다) - (가) - (라) - (나)
⑤ (라) - (다) - (가) - (나)
31.다음 상황을 초래한 로마 사회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을 시도한 인물과 그 개혁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이탈리아에 떠도는 야생 짐승들도 각기 은신할 굴이나 집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탈리아를 위해 싸우고 죽은 사람들은 공동의 공기와 햇빛을 향유할 뿐, 정말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습니다. 집도 없이 처자식과 함께 떠돌아다닙니다. 장군들은 전쟁터에서 병사들에게 적에 대항하여 묘지와 신당을 방어하라고 촉구합니다만, 그것은 거짓말입니다. 왜냐하면 병사들 중에서 아무도 세습할 수 있는 제단을 가진 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병사들은 오직 다른 사람들의 부와 사치를 위해서 싸우다 죽는 것입니다. 세계의 지배자가 됐지만 자기 소유라 할 단 한 조각의 땅도 없습니다. |
<보 기> ㄱ. 키케로- 원로원의 해산과 농민 부채의 총체적 말소를 추진하였다. ㄴ. 마리우스- 재산 자격을 무시하고 신체조건을 갖춘 자원자를 군대에 받아들였다. ㄷ. 가이우스 그라쿠스- 로마 시민에게 곡물을 유상으로 공급하는 법안을 제안하였다. ㄹ. 티베리우스 그라쿠스- 토지 보유 상한성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토지를 로마 시민 에게 분배하는 법안을 제안하였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⑤ ㄴ, ㄷ, ㄹ
32. 다음은 중국 역대 통일 왕조의 수도가 위치하였던 지점들을 표시한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점]
① 고대에 A를 수도로 정한 것은 방어상의 필요에서 지역적 근거를 중시한 때문이었다.
② B 일대가 천하의 중심이라는 의식은 통일 이후에도 수도 선정에 영향을 끼쳤다.
③ C를 수도로 정한 왕조부터는 경제적인 선진 지역을 수도의 배후지로 삼았다.
④ D를 수도로 정한 왕조가 E로 천도한 데에는 정변 및 적극적 대외 정책으로의 전환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⑤ E가 수도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에는 대운하를 통한 수운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3. 다음의 연설을 한 아테네의 정치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우리의 정체는 이웃 나라의 것을 흉내 낸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타국을 모방하는 경우보다 그들이 우리를 모범으로 삼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우리의 국제를 민주정치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권력이 소수의 수중에 있지 않고 전 시민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 있어 개인적인 분쟁을 해결하는 경우 만인은 법 앞에 평등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어느 개인을 타자보다 우선하여 공직에 임명할 때 그것은 그가 어느 특정한 계층에 속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갖고 있는 실질적인 재능 때문입니다. 국가에 대하여 유익한 봉사를 할 수 있는 자라면 누구든지 빈곤 때문에 정치적으로 햇빛을 보지 못하는 일이 없습니다. |
<보 기> ㄱ. 인기가 높아 아르콘으로 연임되어 민주정치를 이끌었다. ㄴ. 공무 수당제 실시로 빈민들의 정치 참여를 가능케 하였다. ㄷ. 타협적 외교 정책을 펴 스파르타와의 전쟁을 피할 수있었다. ㄹ. 양친이 모두 시민인 자에게만 시민권을 인정하는 법을 제정하였다. |
①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34. 밑줄 친 ‘그’의 대외 원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그는 차가타이한국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사마르칸트를 도읍으로 왕조를 세웠다. 그는 각지를 원정하여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에 걸친 이슬람 제국을 건설하였다. |
<보 기> ㄱ. 러시아를 지배하던 킵차크한국을 격파하였다. ㄴ. 페르시아 지역을 지배하던 일한국을 분열시켰다. ㄷ. 인도 원정으로 델리 술탄의 한 왕조가 급속히 해체되고이어서 새 왕조가 출현하였다. ㄹ. 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을 격파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이 내분에 휩싸였다. |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35. A~F는 13세기 동남아시아에 있던 왕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는 몽골군의 침공으로 왕이 살해되었으며, 쿠빌라이 칸은 이곳에 행성을 설치하고자 하였다.
② B, E는 몇 차례에 걸친 몽골군의 침략을 물리쳤으나 그 후 B와 E 사이의 장기간의 전쟁으로 E가 망했다.
③ C는 원의 입조 요구를 거절하고 몽골군의 침략을 격퇴함으로써 동남아시아의 강자로 떠올랐다.
④ D를 방문한 원의 사절 주달관(周達觀)은 진랍풍토기(眞臘風土記)라는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⑤ F의 비자야(Vijaya)가 몽골군을 격퇴하고 새 왕조를 개창하였다.
36. 밑줄 친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726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레오 3세는 그의 관리들로 하여금 콘스탄티노플 황궁의 입구에 있는 ㉠ 성상을 파괴하고 그것을 십자가로 대체하게 했다. 성상 옹호론자들은 분노하며 이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이에 굴하지 않고 730년 레오 3세는 성상 파괴를 명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이로써 ㉡ 성상 파괴 운동이 시작되었다. 성상 파괴 운동은 국내외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비잔티움 제국은 ㉢ 성상 파괴론자와 성상 옹호론자 사이의 논쟁으로 심각하게 분열된 채 ㉣ 이민족의 침입에 대처해야 했다. 또한 ㉤ 성상 파괴를 주장하는 황제와 이에 반대하는 교황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었다. |
① ㉠에는 그리스도의 초상이나 조각상이 포함되지 않았다.
② ㉡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수도원이었다.
③ ㉢은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까지 지속되었다.
④ ㉣은 사산조 페르시아인을 말한다.
⑤ ㉤을 계기로 교황은 프랑크 왕국과 제휴를 맺게 되었다.
37. 다음 사료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독일 제후들과 자유 도시들은 한 목소리로 과인이 ㉠ 독일 제국을 회복시켜 60년이 넘도록 공석이었던 독일 제국의 황제지위를 부활시키고 떠맡을 것을 요청하는 까닭에, 그리고 이를 위해 독일 연방 헌법상에 적절한 개정이 이루어진 까닭에, 그리고 이를 위해 독일 연방 헌법상에 적절한 개정이 이루어진 까닭에, 신의 은총에 의해 ㉡ 프로이센의 왕인 나 빌헬름은 통일된 독일의 제후들과 자유 도시들의 요청에 부응하여 독일 제국 황제의 지위를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 모두의 조국에 대한 의무라고 생각하노라. |
<보 기> ㄱ. ㉠은 신성로마제국을 가리킨다. ㄴ. ㉡은 대독일주의에 의한 통일을 달성했다. ㄷ. 이 선포는 1871년에 베르사유에서 행해졌다. ㄹ.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남부 독일은 프랑스 편에 가담했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38.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위대한 군주이신 ㉠짐의 조부 ㉡앙리 대왕께서는 국내외의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백성들에게 당신께서 마련해주신 평화가 당신의 선대왕들의 치세 중에 일어났었듯이 ㉢‘소위 개혁종교’ 때문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시기 위해 ㉣1598년 4월에 낭트에서 공포하신 칙령을 통해, 전술한 종교를 믿는 사람들과 그들이 예배를 갖기 위해 모이는 장소에 대해 취해져야 할 행동을 규정하셨고 … 왕국의 평안을 유지하고 두 종교의 신자들 사이의 상호 반감을 줄이는 데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모든 것을 하시기 위해 특별 조항을 마련하시었다. … 하지만 짐은 짐의 지식과 전권과 국왕의 권위로 지금 공포하는 영원하고 폐지될 수 없는 ㉤ 칙령에 의해, 짐의 조부께서 1598년 4월에 낭트에서 공포하신 칙령을 폐지하노라. |
① ㉠은 루이 14세를 가리킨다.
② ㉡은 종교전쟁 시기에 ㉢세력을 이끌었다.
③ ㉢은 칼뱅의 교리를 따르는 종교를 말한다.
④ ㉣은 교황의 지지를 받았다.
⑤ ㉤은 개종을 원하지 않는 일반 신자들의 국외 이주를 허용하지 않았다.
39. A~E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이나 사실을 바르게 기술한 것은?
① A- 스콜라 철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기독교 신앙의 조화를 시도하였다.
② B- 노르망디 공 윌리엄은 해롤드 왕이 이끄는 앵글로색슨 군대를 물리쳤다.
③ C- 루터는 면벌부 판매에 항의하며 성당 문에 95개조 반박문을 붙였다.
④ D- 샤를마뉴는 800년 성탄절에 서로마제국 황제로 대관되었다.
⑤ E-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하기아 소피아를 보며 “솔로몬이여, 내가 당신을 이겼다!”라 고 외쳤다.
40.(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법의 집행을 정지시킬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불법 이다. …모든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그리고 법을 개정하고 강화하고 보존하기 위해 의회는 자주 열려야 한다. (나)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게 태어나며 그 후로도 그러하다. 사회적 인 차이는 공공의 유용성에만 의거한다. 모든 정치적 결사의 목적은 인간의 자연적이고 양도 불가능한 권리들의 보존이다. 이러한 권리들은 자유, 소유, 안전, 그리고 압제 에 대한 저항이다. (다) 우리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창조되었으며 그들의 창조주에 의해 양도할 수 없는 권 리를 부여받았다는 것, 이러한 권리에는 생명, 자유, 행복추구의 권리가 있다는 것, 이러한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정부의 인민들 사이에서 구성되며 정당한 권력은 피통치자들의 동의에서 나온다는 것, 그리고 어떤 정부가 이러한 목적을 파괴하면 인민은 그것을 바꾸거나 없애고 새로운 정부를 세울 권리를 가진다는 것은 자명한 진리라고 주장한다. |
<보 기> ㄱ. (가)의 선언은 국왕 제임스 2세의 동의를 받았다. ㄴ. 1789년 프랑스 삼신분회는 (나)의 내용이 들어 있는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을 발표했다. ㄷ. 토마스 제퍼슨은 (다)의 내용이 들어 있는 ‘독립선언’을 기초했다. ㄹ. (나), (다)는 계몽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ㅁ. (가), (나), (다)는 공화국의 수립을 천명했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ㄴ, ㅁ
⑤ ㄷ, ㄹ
[최용림 전공역사]
|